-
-
다산의 제자 교육법 - 자투리 종이와 천에 적어 건넨 스승 다산의 맞춤형 가르침
정민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9월
평점 :
다산의 책을 읽으면 마음이 절로 다스려진다는 느낌을 받곤 한다. 뭐라고 일러주는 것도, 이래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읽고 있으면 이럴 때에는 이런 마음을 지녀야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책 표지에 있는 ‘자투리 종이와 천에 적어 건네 스승 다산의 맞춤형 가르침’이라는 글이 눈에 먼저 뜨인다. 아마도 때때로 누군가에게 알려주고자 하는 마음 가르침이 아닐지 짐작해본다.
첫 장을 펼쳐 읽으니 인간이 사물을 보는 눈, 그리고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부터 일러준다. 그런데 그 말들이 어렵지 않다. 차분히 읽고 있으면 어느새 책의 중반부분까지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다시 앞으로 목차부터 읽어보았다. 보통의 경우 책을 보면 목차부터 보는 습관이 있지만 대충 보고는 책의 내용부터 집중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분의 글은 허투루 읽으면 괜히 덜 알고 간다는 느낌이 들어서일지도 모르겠다. 차분히 이해하며, 알아가며 읽어야 할 글들이라는 믿음이 있다는 이유다.
작약에 대한 이야기에도 꽤 집중하여 읽게 된다.
이 책은 다산의 책을 조금 접하기 어렵다고 여기는 사람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울림의 책이 될 수도 있다. 평소 곁에 두고 읽되, 이 책을 한꺼번에 읽지 않고 하루에 한 주제씩 읽어가는 것도 좋을 일이다. 사물을 바라보는 눈, 내 환경에 대해 생각해보고, 공부를 왜 평소에도 해야 하는지도 스스로에게 묻고 답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이다.
제자에게 꼭 전해주고 싶은 말을 종이나 천에 구애받지 않고 전해주는 이유는 글에 담긴 뜻에 집중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할지도 모르겠다. 이름을 불러주며 전해주던 스승의 마음을 제자는 얼마나 뜨겁게 받아들였을까도 생각해본다. 스승의 가르침이 때론 무겁게, 때론 다정하게 전달되지만 현재의 우리, 독자로서 읽는 것도 살아가는데 울림을 줄 수 있기도 하다.
어렵지 않게 설명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자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