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탄한 독서력 - 읽고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곽동우 지음 / 카시오페아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어떤 것을 알려주기 위해, 배우기 위한 이론서는 첫 장부터 읽기가 부담스럽기도 하다. 배워야 한다는 의무감도 생기고, 알아두고, 이해하고 해야 한다는 마음도 생기기 때문이다. 어떠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어야하는 책의 내용이 좀 더 쉽고, 간단하고, 명쾌했으면 조겠다는 생각을 곧잘 한다.

이 책은 보자마자 밑줄 그어가며 쉽게 읽게 되는 책이다. 독서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공부를 하고 싶어 선택한 책이라 어려우면 어떻게 하지 했다. 그런데 책의 목차를 읽어보면서 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독서’의 이론이라고 생각되기 시작했다.

이 책의 첫 머리에 책을 왜 읽는지 스스로에게 묻는다. 순간 고민을 한다. 내가 책을 왜 읽지? 그리고 책 속에서 혹시 자신의 변화를 위해서 읽는지, 다시 묻는다.

책을 읽고 나면 무엇인가 해내었다는 성취감은 있다. 그러나 곧 그 내용을 잊어버리기도 한다. 왜 그럴까? 어떤 독서의 방법이 있어야 책 속의 내용을 이해하고 알아두고, 정보, 지식으로 남겨둘 수 있을까?

책의 저자는 일단 수준에 맞는 책을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읽은 책을 통해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고 답하는 사고하기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한다.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과정또한 필요했다. 이런 독서의 과정이 있어야 독서의 의미를 아는 것이라고 한다.

아마도 지금까지 닥치는 대로, 아님 권장도서나 베스트셀러만 골라서 읽는 등 나름대로의 편독이 있었다면 그것보다는 정독을 하기를 권한다.

이러한 독서의 과정이 있어야만 독서의 진짜 목적인 변화하는 독서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책을 제대로 읽는 것이 탄탄한 독서력의 기본이다. 이렇게 쉬운 정의를 우리는 왜 이리 몰랐을까? 실용적인 독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껴본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면 변화의 삶도 기대하게 한다.

이렇게 집중하여 읽는 독서력이 있어야 더 많은 책을 읽어도 그 내용 속에 생각하는 것들이 자신의 것으로 돌아온다. 이것이 진정한 독서의 방법이다. 어떤 독서방법이 좋으냐고 묻기 전에 자신의 독서습관이 어떠한지도 한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