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네 장 담그기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6
이규희 글, 신민재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아이들이 전통 ‘장’이라는 것을 알고 있을까? 문을 열면 온통 인스턴트에 패스트푸드 점이 더 많은 거리에서 아이들은 장을 담근다는 말조차도 아마 생소할 듯하다.
그러고 보니 아주 오래전에 장을 담그던 때가 생각난다. 그 때 그 시절에는 장을 담그는 날이면 정말 잔치집 같았다. 이른 아침 누런 콩을 씻어 큰 솥에다 올려놓으면 우리는 그 솥 옆에 옹기종기 달라붙어 있었다. 그것이 언제 삶아지나 지켜보기 위해서였다. 엄마가 뚜껑이라도 열기라도 하면 우르르 달려들어 콩 몇 알을 주워 먹기도 했다.
오전 내내 삶아진 콩이 다 익으면 그 콩을 다시 커다란 자루에 넣어 하양 고무신으로 밟으면 어느새 단단하던 콩은 아이들의 살결처럼 부드러워진다. 엄마를 도우겠다고 함께 그 자루위에 올라가기도 하고, 나머지는 절구를 찧기도 했다. 조금 큰 아이들의 특권은 그 으깬 콩을 네모모양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절대 어린 동생들을 할 수가 없다. 그래도 조금은 손끝이 야문 큰 아이들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 만들어진 메주덩어리는 장독 위에다 하루를 말려놓는다. 햇볕에 이리저리 굴려 잘 다듬는다. 그것을 먹으려고 찾아온 비둘기를 쫓아내기도 하는 것은 아이들 몫이다.
조금 단단해지면 그것을 미리 구해둔 볏짚에 묶어 바람이 잘 드는 처마 끝에 매달아 놓았다. 다시 따뜻한 방으로 가지고 들어가 그것이 특별한 냄새를 가질 쯤에야 진짜 장을 담글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다시 햇볕으로 나가 말려지고 그렇게 장을 담그는 날이면 고사리 손도 보태질 만큼 바쁘다. 숯과 고추도 띄우고 버선그림도 붙여 금줄로 두르면 그날의 일은 마무리가 된다. 그렇게 시간이 더해지면 오랫동안 두고 먹을 간장도 나오고 밥상위에 없어서는 안 될 된장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렇게 보고 컸다. 그렇지만 지금의 아이들에게는 이런 것들을 이야기로만 들려주어야 한다. 조금은 아쉽다. 하지만 이 그림책을 보면 그 아쉬움을 조금 달래볼 수 있다.

역시 맛나게 곰삭은 맛을 내는 것은 할머니 손맛에 비길 수가 없다.
이 그림책에서는 할머니가 손녀 가을이에게 장을 담그는 법을 아주 상세하게 차근차근 설명해주고 있다. 시간을 두고 그 맛을 내는 장은 나이가 들수록 그 맛이 더욱 새로워진고 그립기만 하다.
이 그림책에서는 우리의 전통을 알려주고 있지만 내게는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아이들에게는 우리의 전통을 알려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네 음식은 오랜 정성과 노력을 기울인 정말 과학적인 음식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