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랑새] 서평단 알림
딸랑새 온 겨레 어린이가 함께 보는 옛이야기 2
서정오 글, 홍영우 그림 / 보리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서운 호랑이를 만난 소금장수가 기막힌 지혜로 위기를 모면하는 이야기이다.
우리의 옛이야기를 살펴보면 정말 호랑이가 많이 등장한다. 때로는 무섭기도 하지만 때로는 조금은 겁이 많거나 아니면 정말 무섭거나 어수룩하게 나온다. 호랑이를 실제 본 일을 없지만 호랑이는 정말 무서운 동물이라고 생각하고 있기는 하다.
그런데 이 호랑이는 정말 모자라다. ‘모자라다’라고 표현하기도 그렇지만 달리 적당한 표현이 없다.
지금의 호랑이도 무섭다고 생각하는데 왜 유독 우리의 옛이야기 속에 나오는 호랑이는 대체로 이렇게 모자라고, 어수룩하고, 잘 속고, 겁이 많게 나오는 걸까? 결코 옛이야기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닐 것인데 기억 속에 있는 호랑이는 약간의 빈틈(?)이 보이기도 한다.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까?’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호랑이 꼬리에 방울 달기이다. 그 작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기보다 호랑이 꼬리에 방울을 달기는 더 무서운 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이것이 힘으로는 될 수 없는 일이다. 어디 덩치 큰 호랑이가 감히제 몸에 딸랑이를 다는 일을 허락할 일이 없다. 역시 지혜로 대처한다.

사람들은 현실에서 하지 못한 일을 때로는 꿈이나 이야기로써 풀어내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가슴 속에 담아둔 것을 풀어내기도 하고, 그렇게 대리만족을 느끼기도 한다.
아마도 옛이야기도 그런 힘이 있기는 하는가 보다.
현실에서는 결코 힘으로써는 호랑이를 이길 수가 없다. 그렇지만 이야기에서는 가능하다. 그 도구가 ‘지혜’이다. 이야기라고 해서 너무 허구적이면 사람들에게 공감의 폭이 좁다. 하지만 이렇게 지혜를 곁들이면 마치 그렇게 일이 전개된 것처럼 그 이야기 속으로 푹 빠져들게 한다.
그림책 속에는 이야기의 재미도 있지만 지혜도 있고, 웃음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