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반 체육 싫은 애
김수현 지음, 장선환 그림 / 풀빛 / 2024년 7월
평점 :
저마다 좋아하는 과목도 있고, 싫은 과목도 있다. 좋은 하는 일이 있고, 정말로 싫어하는 일이 있다. 이건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에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그러하겠다.
주인공 노루는 미술을 좋아하고 체육을 싫어한다. 노루는 달리기나 피구는 못한다, 특히 피구가 싫어서 체육시간이 싫다. 그런데 그림은 잘 그린다. 친구들이 부러워할 정도다. 노루는 그림을 많이 그리고 싶어서 유치원 대신 미술학원에 다녔다. 좋고, 싫음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이런 노루가 가장 갖고 싶은 것은 120색 그림물감이다. 이 물감으로 마음껏 그림을 그려보고 싶다. 예를 들어 그날의 기분을 색으로 표현한다든가이다.
노루라는 이름도 지어진 것이 특별하다. 엄마, 아빠는 달리기도 잘하고 수영도 잘하는 노루가 생각나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아마도 그러하기를 바란 마음이겠다. 하지만 노루는 체육 시간이 있는 날만 되면 기분이 좋지 않다. 꾀병도 부려보기도 한다. 체육시간에 치마를 입고 와서 체육을 하지 않고 앉아 있는 친구가 부럽기만 하다. 특히 싫어하는 피구는 친구가 쓰는 말때문이라도 하기가 싫다.
어느 날, 선생님이 운동회에 반대표로 나갈 이어달리기 선수를 뽑는다는 말에 관심이 가져진다. 노루는 왠지 도전해보고 싶다. 친구에게 정정당당하게 이겨보고 싶다. 그래서 노루는 도전한다. 반대표 이어달리기 선수에.
작가가 이 책을 쓰게 된 동기가 책의 이야기와 닮았다. 작가 자신이 체육을 너무 싫어했단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잘 쓰지 않는가.
싫어하는 것이 있다고 잘못된게 아니라는 작가의 이야기가 참 좋다. 노루처럼 잘 하는 것이있고, 싫어하는 것이 누구나 있다. 좋아하는 것도 있고, 못하는 것도 있다. 그냥 사람마다 다를 뿐이라는 것을 알면 된다. 다만 조금의 노력이 필요하거나 할 땐 도전하면 된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읽게 한다. 이런 모습, 저런 모습도 모두 자신의 것이니 자신을 미워하지 말고 많이 이뻐하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한다.
노루처럼 무언가를 잘하고 싶다면 노력하면 된다. 하지만 그 결과가 원하는 것 만큼 나오지 않아도 된다. 내가 노력하고 움직였다는 것만으로도 해낸 것 못지않다는 것임을 동화는 잘 전달하고 있다.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인 의견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