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 모든 엄마와 딸 사이
수잔 포워드.도나 프레이지어 지음, 김보경 옮김 / 푸른육아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나이가 들고 나면 가족과의 기억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곤 한다. 가족끼리 모여서 이야기도 하지만, 다른 공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럴 때 엄마와의 기억들을 떠올려 이야기하곤 하는데 좋은 기억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기억도 많다. 때론 그러한 기억 때문에 한 사람이 성장하는 데 상처를 많이 가지고 있어 힘들게도 한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한 사람이 성장하는데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 가장 먼저 배우는 곳이 가족, 부모이다. 이때 엄마라는 대상은 사회생활이나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분명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책을 읽기 전, 목차부터 차례차례 읽어본다. 이 목차만으로도 자라면서 엄마로부터 마음을 나누지 못한 사람들은 할 말 참 많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엄마들은 이 말을 한다. ‘다 너 잘되라고 하는 말이야사실 이 말은 정말 그럴까를 생각해보게 한다. 모든 것이 엄마의 관점일 수 있다. 아이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 자신의 의견이 있다. 하지만 엄마는 어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잣대로 아이를 판단하고 다그친다. 이런 엄마로부터 아이는 평생 상처를 안을 수 있다.

엄마가 건강하게 감정을 해결하지 못하면 당연히 감정의 대상이 아이에게 옮겨진다. 감정적 욕구를 채우기 위해 아이의 건강한 독립을 방해한다는 작가의 말에 공감된다.

 

엄마라는 존재는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존재이다. 하지만 이 가까운 존재이기에 상처를 주고 받기 쉽다. 그러므로 상처받은 딸이 자신의 내면을 깊게 들여다보는 시간이 분명하게 필요하다. 이 책은 엄마와 딸 사이를 좀 더 냉정하게 이야기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