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 우리가 정말 가족일까? 물음표로 따라가는 인문고전 11
강영준 지음, 홍지혜 그림 / 아르볼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화홍련전을 떠올리면 그냥 몇 줄 안 되게 그 이야기를 떠올리게 된다. 옛날 어느 마을에 부부에게 두 딸이 있고,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두 딸을 위해 아버지가 재혼을 한다로 시작되던 이야기는 장화홍련의 억울한 죽음을 알게 된 마을 원님이 나쁜 일을 한 계모에게 벌을 내리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늘 그러하듯 전래동화를 읽으면 떠올려지는 것이 권선징악이다.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복이 오고, 나쁜 일을 저지르는 사람에게는 벌을 받는다이다. 단순하게 이러한 주제만을 놓고 이 이야기를 접해온 것이 오래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전래동화나 고전을 읽게 되는 요즘이다.

 

이 책은 그러한 관점에서 보면 꽤 의미 있게 다양한 시각으로 읽을 수 있다.

장화홍련에서 계모와 장화홍련은 끊임없이 갈등이다. 하지만 이 갈등에서 지고 마는 것이 장화홍련이다. 이 때 아버지의 역할도 살펴보게 했다. 그래서 위험한 소설이라고 했나? 어디 아버지뿐만일까? 장화홍련이 자라기에는 가족의 보살핌이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이다. 어머니로 새로 들어온 계모조차 자신들을 미워한다. 이 책의 이야기로는 장화가 장녀로서 재산분배에 있어서 혹 자신이 낳은 아들에게 돌아갈 몫이 작다는 이유이다. 가족은 이렇게 새롭게 구성되기도 하지만 늘 대치된 관계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그러한 관점에서 한번 되돌아보게 한다.

 

가족은 늘 나에게 안정과 위로, 힘이 되어주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새롭게 구성된 가족 구성원이라도 그러한 힘이 되어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마음의 단단함이 없을 때는 개인에게는 엄청난 아픔이 있을 수 있음도 읽게 한다. 단순화된 주제로 읽혀지던 전래동화가 책을 통해 다양한 시각을 지니고, 여러 생각을 내어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토론 수업에도 괜찮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