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의 민족: 범인은 여기요
박희종 지음 / 텍스티(TXTY)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텍스티 출판사 좋아지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리의 민족: 범인은 여기요
박희종 지음 / 텍스티(TXTY)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어떤 민족? 배달의 민족! 그런데, 이 책의 제목은 <추리의 민족> 이다. 흠, 추리라면 내가 너무 좋아하는 건데~ 무조건 읽어야겠다! 그리고 결국 우리가 배달의 민족인 것처럼, 제목은 <추리의 민족>이었지만, 결국은 배달의 민족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ㅋ 또, 표지를 자세히 보면 제목은 <추리의 민족>이지만, 범인은 여기요! 라고 소심하게 적혀 있다. 느낌이 오지 않는가!

이 책의 재미는 세 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번째는 사라진 여자친구를 찾아 떠나는 주인공과 그의 친구 두 명이다. 그들의 이름부터 재미있다. 배달 라이더 일을 하는 주인공 온종일, 편의점 사장 정정석, 만년 공시생 진순경이다. 온종일의 여자친구 한다정이 사라지자, 다정이의 김밥을 좋아하는 정정석과 진순경도 함께 다정이를 찾으러 가게 된다. 본인들의 생업을 내팽겨치고 의리로 뭉쳐지는 그들의 대화나 장면이 매우 재밌다. 특히, 진순경이 애플와치를 활용하여 탈출하는 부분은 좀 억지스러운 면이 있긴 했지만 ㅋㅋㅋ 나름 좀 웃겼다.

두번째는 바로 라이더들의 활약이 펼쳐진다는 점이다. 제목이 <추리의 민족>인 만큼, 소설 내내 한다정을 찾기 위한 추리가 계속 이어진다. 그리고 그것에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은 바로 온종일의 동료들인 라이더들의 활약이었다. 예를 들어, 카니발 자동차를 찾는다고 하면 라이더들의 단체카톡방을 통해 꼬리를 물고 물어 결국 찾아내는 장면들이 등장한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읽고 나서 도로에서 만난 라이더들을 보면 자꾸 이 소설 속 라이더들이 생각나기도 했다.

세번째는 이 책의 작가가 이야기한대로 현실과 아주 맞닿아 있는 소설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아예 챕터 제목이 GS25 이고, 정정석은 GS25의 사장이다 ㅋㅋ 또, 그들의 추리과정 중에 중요한 것이 배달 영수증에 쓰여 있는 요청 사항이라는 점도 굉장히 현실적이었다. "절대 초인종 누르지 마세요. 절대" 라는 문구를 본 적이 있는 라이더가 있는지 물어보는 장면도 있었다. 또한, 부동산 갭투자가 나오는 것도 지금 현실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들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전문 작가가 썼다는 느낌보다, 뭔가 매일 연재되는 아마추어의 웹소설을 읽은 느낌도 들었다.

<추리의 민족>이라는 소설은 여느 추리물과는 좀 다르다. 킥킥대면서 뭔가 병맛이라고 해야 하나? (나쁜 뜻 아님 ㅋㅋ) 가독성도 좋기 때문에 추리소설을 좋아하며, 배달앱을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책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 뿌미맘 가계부 - 2024.09~2025.12
상큼한 뿌미맘 차지선 지음 / 시원북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4년 9월부터 쓸 수 있어요 ㅋㅋ 얼른 지금부터 절약해 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 뿌미맘 가계부 - 2024.09~2025.12
상큼한 뿌미맘 차지선 지음 / 시원북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세상에서 제일 힘든 것 중 하나가,
다이어리 끝까지 쓰기 혹은 가계부 끝까지 쓰기 인것 같다. 매년 초, 그리고 겨울을 앞둔 계절이 오면 나도 모르게 새로운 다이어리 혹은 가계부를 검색하고 있는 습관을 발견한다 ㅋ

그리고 다시 한 번 (또 지켜지지 않을 확률이 크지만 언젠가 정복하고 싶은) 가계부를 써보기 위해
시원북스 출판사에서 나온 <2025 뿌미맘 가계부>를 펴본다. 뿌미맘 가계부를 출판한 지은이는 두 명의 아이를 키우는 엄마 차지선 이라고 한다. 첫 회사를 다닐 때부터 가계부를 써왔고, 그러한 노하우를 SNS 를 통해 기록하고, 그러다보니 이렇게 가계부까지 출판하게 되었다고 한다. 일단 복잡해보이지 않고, 너무 두껍지 않으며, 매우 튼튼해보이는 제본이 마음에 든다.

가계부를 쓰기로 했다면, 일단 매달 우리 집에 들어오는 수입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수입을 알았다면 지출을 체크해야 되는데, 고정비와 생활비, 예비비로 나눠서 계획을 짠다.

나는 수입과 지출에 대해 상담해주는 똑똑이 친구가 있어서 그 친구의 도움을 받아서 올해 초부터 고정지출과 생활비를 잘 적어서 체크카드로 생활 중이다.

뿌미맘 가계부 앞쪽에도 적혀 있지만, 고정비용에는 각종 공과금, 연금 및 보험, 통신비, 렌털비, 가족들용돈, 대출금, 적금, 자녀교육비 등이 있겠다. 아후, 그냥 나가는 돈이 이렇게나 많다. 답답하다 ㅋㅋ

다음으로 생활미 목록으로는 식비, 생활용품이나 꾸밈비, 병원비, 주유비, 여가비 등이 있겠다.
병원비가 아주 요즘 많이 들어간. 답답하다 ㅋㅋ

이외에 예비비에는 경조사나 여행비가 들어간다. 돈이 줄어들 구멍은 보이지 않기에 예비비는 뭐 거의 어떻게든 메꾸는 것이 되어 버리긴 했다. 다 살아지긴 한다 ㅋㅋ

뿌미맘 가계부의 형식은 매우 단순하다. 사실 이것이 뿌미맘 가계부의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생각한다. 아주 자세히 적었다가는 뿌미맘의 이야기대로 작심삼일로 끝날 확률이 매우 높다. 그렇기에, 뿌미맘도 일주일마다 한 번 정리하는 루틴으로 하는 것도 좋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매월 시작될때마다 일정을 정리할 수 있게끔 달력으로 시작한다. 따로 다이어리를 쓰지 않아도 가계부에 한꺼번에 일정 정리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다음으로 수입을 쓰고, 고정비용과 예비비를 적는 칸이 나온다. 아쉬운 점은 고정비 칸이 너무 모자라다고 생각한다. 나는 좀 구체적으로 쓰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인데, 용돈 칸도 한 칸이고, 자녀교육 칸도 한 칸이기 때문에 아주 작은 글씨로 좀 구체적으로 적어놔야만 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항목별로 지출을 쓸 수 있는 칸이 나오고, 합계도 낼 수 있다. 여기는 또 마음에 드는 것이 일일이 형식별로 쓰는 것이 아니라, 내가 쓰고 싶은 형식으로 칸을 채울 수 있어서 좋았다.
(구체적인 것이 좋다고 해놓고 또 넓어서 좋다고 하는 모순쟁이 ㅋㅋ)

여튼, 결론적으로 편리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군더더기 없는 형식으로 가계부는 반복을 여러 번 한 후 끝이 나게 된다.

별책부록으로 월결산을 하는 것도 있어서 매달매달 결산 후에, 한 해의 정리도 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의문점 하나~ 굳이 이것을 별책부록으로 만들 필요가 있었을까 싶은 점이다. 그냥 본책에 매달매달 뒤에 월결산을 해놓게 해도 괜찮지 않았을까?
뭐, 이건 아직 한 달 다 안써봤으니.. 다 써보고 이것의 이점을 찾아보도록 해야지.

여기서 기쁜 소식은 2025년이 되지 않아도 지금 당장 사서 뿌미맘 가계부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2024년 9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쓸 수 있게 해놨으니까ㅋ 역시 다이어리나 가계부는 찬바람 불 때부터 쓰는 것이 정답인것이여 ㅋ

사실 가계부를 쓰기 시작하면 숨이 막힐 때도 있다. 또 모든 일이 다 그렇듯이 재밌는 순간들이 오기도 한다. 만약 가계부를 쓰는데 있어서 너무 초조하고 불안하고 짜증만이 솟구친다면 굳이 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초반 우리집 경제상황에 대한 스트레스를 이기고 나면, 아마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힐 것이고, 마음을 차분하게 먹고 가계부를 끄적거리다보면 뭐 익숙해지고 부자되는 날이 오겄지뭐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 나만의 유튜브 영상, 스마트폰 하나면 충분해!
에이럭스 교육연구소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영진닷컴. 요거 책 한 권이면 바로 유튜브 가능합니다 진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