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상서점 - 잠 못 이루는 밤 되시길 바랍니다
소서림 지음 / 해피북스투유 / 2023년 2월
평점 :
품절

잠 못 이루는 밤 되시길 바랍니다 라는 부제가 붙은, 소서림 장편소설 <환상서점>을 읽었다. 나는 제목과 표지가 으스스한 느낌이 들어서 사실 서스펜스를 기대했는데, 알고보니 정말 제목 그대로 판타지 장편소설이었다.
<환상서점>은 이렇게 책으로 나오기 전에 먼저 오디오 드라마로 등장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아직 오디오북을 듣기 전이고 / 책만 읽은 상태지만..) 책으로 읽는 것보다는, 오디오북으로 듣는 것이 훨씬 더 흥미로울 것 같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어보길 권하는 이유에 대해서 주절주절 해보려 한다.
(스포 포함할 수 있음 주의)

목차의 폰트나 제목의 분위기, 그리고 간지의 느낌으로 일단 옛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대신 서장, 그리고 후일담. 우연한 방문, 필연의 정원, 영원의 매듭 이라는 챕터 제목으로 이 이야기가 어떤 식으로 흘러가는가에 대해 살짝 알 것도 같다. 어떤 연인이 우연하게 다시 만난 것이 역시 필연이기에 영원한 매듭으로 이어지리라... 뭐 이런 느낌이랄까 ㅎ
그리고 계속되는 액자식 구성을 통해 또 다른 이야기로 등장인물이 서서히 소개되고,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자연스럽게 결론까지 이어지게 된다.
1장 우연한 방문 챕터에서는, <구색록 : 어린 도둑과 아홉 빛깔의 사슴 이야기> 에서 저승차사를 소개하였고,
<옥토 : 별과 함께 태어난 아이> 에서 소녀 신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3장 영원의 매듭 챕터에서는, <불가록 상 : 영생을 사는 남자> 를 통해 서주가 이렇게 살게 된 배경을 알 수 있게 되고, <불가록 하 : 서주> 에서는 서주와 연서의 관계에 대해 풀어주고 있다. 또한, <소화담 : 화창한 봄의 경치와 작은 담화> 에서는 (서주를 처음 만났을 때의) 연서의 인생에 대해 보여준다.
이것이 바로 오디오북에서는 느낄 수 없는, 작가의 뛰어난 구성력이 돋보이는 장면이라 할 수 있겠다. 독자들에게 이런 일이 있어서 이렇게 되었다 라고 정확하게 시간 순서대로 풀어주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통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아 이런 일이 있어서 이렇게 되었구나 하고 스스로 풀 수 있게 만드는 이 구성은 작가의 뛰어난 능력이라 생각한다. 독자로서 아주 읽는 맛이 있음은 물론이고.
시간이 흘러도 쉽게 변하지 않는 게 있다. 사랑과 증오처럼 낭만적인 감정. 혹은 광활한 우주같이 인간과는 다른 궤적을 걷는 존재. 아니면 지금 눈앞에 보이는 화강암 절벽 같은 것이다. 연서는 어두운 산속에 혼자 남아있었다. 길을 헤맨 끝에 나온 건 이 절벽이었다. p13
다만 지금은 험악한 남자의 발밑에 박혀있었다. 이방인의 침범을 경고하는 창 같았다. 석장의 끝에 매달린 고리가 서로 부딪치며 맑은 소리를 냈다. 서점주인이 막 투창을 끝낸 손을 털며 말했다. p71
이 때만 해도 그는 이런 한량 같은 삶을 살다가, 봄이 오면 눈이 녹듯 어느 날 세상에서 사라져버리리라고 생각했다. 따가운 볕에 스러지고 증발해 버릴 것을 기대했다. 사람들이 보통 죽음이라고 부르는 일이었다. 그는 되도록 빨리 그 날이 오길 바랐다. 자신의 운명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는 날 말이다. 182p
첫 번째 꽃에 뼈가 올랐다. 두 번째엔 피가 돌았다. 세 번째엔 살이 돋고 네 번째에 숨이 솟았다. 파리하던 그의 안색에 온기가 돌았다. 222p
그이는 단지 고개를 들어 나를 바라보았다. 생전 처음 보는 물건을 대하듯 한참 동안. 262p
인상깊었던 몇 문장을 골라 적어보았다. 사실, 이 문장들 외에도 정말 시적이고 살아 움직이는 듯한 문장들이 정말 많았다. 그래서 분명 나는 책을 읽고 있는데, 장면 장면이 마치 어제 본 영화가 머릿속에서 재생되듯이 바라볼 수 있었다. 이것 또한 작가의 힘이 아닐까 생각되고, 책을 읽는 재미를 찾을 수 있는 포인트겠거니 하는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또 하나의 놀라운 구성 혹은 반전.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사실 서주와 연서다. 그렇지만, 마지막 챕터 후일담 에서는, 그들이 아닌 완전 조연급으로 등장한 상훈과 다은의 이야기가 나온다. 사실은 그들을 이 책에서 거둬낸다 한들, 전혀 내용에도 문제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존재감들인데.. 왜 도대체 후일담에 그들의 이야기가 외전 처럼 등장했는가.
그것은 아마 작가가 의도한 이 책의 제목 <환상서점>을 한층 더 강조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었나 싶다. 이미 130p 에서 상훈은 평생 자신은 다은이를 좋아할 것이며, 다은이랑 본인은 다시 만난다고 확신하고 있다. 그들 역시 서주와 연서처럼.. 계속되는 삶 속에서 인연을 이어가는 운명의 짝꿍이라는 것으로 나는 이해했다.
어느 봄날, 다은의 계획적인 삶에 돌연 변수가 생겼다. 앞으로 긴 시간 동안, 어쩌면 죽는 날까지 그녀와 함께할 끈질긴 녀석이었다. 295p
다시 정리하자면, (나는 오디오북을 아직 듣진 않았지만) 오디오북과 책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오디오북이 훨씬 더 흥미롭고 재미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는 것. 그리고 그 이유로는.. 사실 내용 자체가 좀 밋밋하다. 이렇게 끝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뭐 시작도 안했는데 끝나는 느낌. 게다가 많은 리뷰에서 이야기하듯, 드라마 <도깨비>가 떠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 내가 아줌마가 되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사실 눈물이 날 만한 장면은 전혀 찾을 수가 없었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하는 이유는.. 작가의 뛰어난 구성력과 문체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원래 소설책이라는 것이 한 번 읽고 틱 버림 받을 수 있는 존재인데, <환상서점>은 다시 한 번 읽으면 또 다른 생김새로 다가올 수 있는 그런 책이다. 그래서 소서림 장편소설 <환상서점> 오디오북과 책을 동시에 흘리며 리뷰를 마치려 한다.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