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로 산다는 것 - 융 심리학으로 보는 남성의 삶과 그림자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제임스 홀리스‘라는 작가가 여러 철학가와 작가의 말을 분석하고 연구해 ‘남자‘라는 종족을 해부해놓은 책이다.
사실, 뻔하다면 뻔한 이야기를 길고 어렵고 복잡하게 설명했다 볼 수 도 있겠다.
어머니 콤플렉스, 성장과정에서 지켜본 아버지의 모습, 성 역할에 대한 부담감 같은 것들이 현시대에 가장 보편적으로 보이는 ‘남자의 모습‘을 만들었다고.

잘 생각해보면, 여자들은 ‘여자다움‘을 강요받는 것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하고 운동하는 것에 반해 남자들은 ‘남자다움‘ 강요받는 것에 대해 크게 들고일어나지 않는 편이다.
남자들이 태초부터 짊어진 ‘가장으로서의 무게‘같은 책임감은 여자가 ‘여자다움‘ 강요받는 문제 보다 어쩌면 더 심각하고 고통스러울 수도 있는데 말이다.
여자는 자기 내면의 감정을 들여다볼 줄 알고, 적극적으로 표현할 줄 알지만 남자는 상대적으로 자기 내면을 바라보고 표현하는 데 있어 소심한 태도를 보인다.
요새 흐름으로 보면, 여자들은 ‘여자니까 치마 입어!‘라는 말에 강력하게 반발하며 적극적으로 기분 나빠하는 태도를 취하는 반면에
남자들은 ‘남자니까 형광등 갈아야지!‘라는 말에 그냥 별 불만 없이 당연히 ‘남자답게‘ 수긍하는 분위기다.
‘여성 해방 운동‘이 성행이라면 ‘남성 해방 운동‘도 같이 성행해야 하지만 남자들은 여자에 비해 끝까지 그 ‘남자다움‘의 끈을 쉽게 놓지 못한다.
아이러니컬하다.
이 책은 그 이유를 남자가 가진 어머니 콤플렉스에서 주로 찾고 있다.
아버지 결핍증에 대한 이야기도 중간중간 나오지만,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한다.
사실 뭐 이건 남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여자든 남자든 부모의 역할이 아이가 성인이 될 때 까지의 성격과 삶을 결정하기 때문에
꼭 ‘남자‘에만 편중된 문제로 볼 필요 없이 ‘인간‘ 문제에 초점을 맞춰 읽는 것도 하나의 재미였다.
책이 대략 280페이지 정도 되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같은 말의 반복 같아서 조금 지루한 면이 없잖아 있었지만
남자를 좀 깊이 있게 알고 싶은 여자들은 한 번쯤 읽어볼 만하다.
오히려 남자보다 여자가 읽어보면 더 도움이 될만한 책인듯.
결론적으로 ‘역시 남자는 애야...‘ ‘잘 보살펴 줘야지‘ 하는 모성본능이 깨어난 건 나만 그런 건지 모르겠지만,
남자가 여자보다 정서적으로 나약한 존재라는 게 더 정확하게 와닿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