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닌 햄버거의 역사
조현 지음 / 민음사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단정적일까? 하지만 현실이 그렇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그래왔다. 시가 세상을 바꿔왔다면, 세상이 지금의 모습은 아니어야 한다. 충분히 아름답지는 않아도, 비유와 은유가 넘치는 그런 세상이어야 할 텐데, 별로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시가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가장 큰 증거, 세상을 보라.

말하자면, 시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 사람들이 시를 읽지 않는 바에야, 그건 애당초 불가능한 상상이다. 문학은 줄곧 세계의 창이나 거울 노릇을 자임해 왔지만, 사람들은 문학을 통해 투과되거나 반사된 이미지가 아니라,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길 더 좋아했다. 아니면 현실에 매몰돼 현실 밖에 보질 못했다. 문학의 자리는 좁아졌고, 앞으로도 좁아질 것이다. 하물며 시는, 말할 것도 없고.

문학이나 시가 처한 현실이 암담하긴 하다. 믿기 어렵겠지만, 그래도 세상엔 여전히 시의 힘을 믿는 이들이 있다. 적어도 시인들은 그럴 것이고, 시 애호가들은 그럴 것이다. 그들에겐 대다수 사람들이 시를 읽지 않는다는 현실은 아무런 장애도 되지 않는다. 이미 그들의 세계는 시로 요동치고 있으므로, 그 운동을 어떻게 전이할 것인가가 진정 문제일 따름이다.
그런 믿음은 상상력이 더해져 어떤 구체적인 형태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조현의 소설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닌 햄버거의 역사」와 같은 작품이 그런 노골적인 믿음을 숨기지 않는다.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닌 햄버거의 역사」는 이른바 평행우주를 다룬 작품이다. 작가가 다소 뻔뻔하게 전개해 나가는 작중의 우주는, 우리가 사는 우주와 비슷한 듯하면서도 전혀 다르다. 비틀스의 멤버가 네 명이 아니라 다섯 명이라는 것은 오히려 사소한(?) 차이일 뿐이다. 이 우주에 태어난 마이클 햄버거라는 시인은, 이본 마멜이라는 편집자의 완전히 개인적인 취향 때문에 ‘펭귄현대시인선집’에 이름을 올리게 되고, 대형 햄버거 프렌차이즈 때문에 경영난에 허덕이는 소형 햄버거집 아들이었던 커닝스 주니어는 서점에서 가서 ‘햄버거’란 키워드가 들어간 모든 책을 사들이게 됐다. 그 속에 마이클 햄버거의 시선집이 끼어 있었던 것도 우연이었고, 이 책이 이태원 헌책방으로 굴러 오게 된 것도 우연이었고, 맥도널드 햄버거의 새로운 광고기획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던 기획c 부팀장 김경주의 손에 들어가게 된 것도 전적으로 우연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 우연이 빚어낸 우주의 모습은 참으로 시적이다. 비록 시가 대형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의 홍보 수단으로 쓰이는 모습이 한편으로 애처롭기도 하지만, 결국 정크푸드 회사는 이를 계기로 친환경·친인간적 기업으로 거듭하게 된다. 하여간, 시가 세상을 바꾸긴 한 것이다.

비록 우연으로 점철되긴 했지만, ‘미시적 사건의 연속’이야 말로 ‘역사적 필연’이라고 누군가 주장할지도 모른다고, 작가는 주장한다. 시가 세상을 바꾸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들, 그걸 꿈꾸는 것 조차 불가능할까. 조현은 이른바 ‘시적 상상력’으로 시가 세상을 바꾼 평행 우주를 그린다. 한편으로 애처롭지만, 또 한편으로 경이롭다. 우연이 낳은 우연은 필연이 되고, 그 시점에서 기형(畸形)의 음식인 햄버거는 오히려 모든 사물의 역사를 대변하게 된다.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니’지만, 사실은 모든 것의 역사를.

소설은 이런 문장으로 마무리된다.

아무래도 인간에게 세계는 사랑의 기억에 대한 애틋한 연민이나 가족에 대한 이해심, 혹은 시적 상상력과 진보에 대한 점진적인 확신이 적절하게 버무려지면서 조금씩 사랑스러워지는 모양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우주도 있을 터이지만 말이다.

소설이 그렸던 그 모든 필연적 우연과 만유하는 시적 상상력에도 불구하고, 독자가 마침내 도달하게 되는 지점이 일장춘몽이고, 불가능함이라니! 그러나 조현 작가는 ‘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단정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그는 마음속 깊이 시가 세상을 아름답게 바꿀 우연의 우연을 기다리고 있을 게 분명하다. 다만 이 우주에선 아직 시적 필연이 될만한 애틋한 삶의 ‘얼룩’들이 부족할 따름이다. 그러니까 세상을 바꾸려거든, 시인이 되던가 아니면 사랑하던가. 어쩌면 난해할지도 모르는 그의 사유 속에 깃든 메시지는 이 한가지일 지도 모른다. 하여간, 사랑하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