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돈이란 무엇일까? - 돈 길담서원 청소년인문학교실 3
이시백 외 지음 / 철수와영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에 물질 만능 주의가 만연할수록,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물질만능적인지를 잊고 산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가 물질을 추구하는 것이 마치 당연하다는 듯이 사회가 반응하기 때문이다. 특히 티비 광고와 같은 매체는 물질에 대한 우리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재현한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아파트 브랜드 광고가 있다. 여자 친구를 자기 아파트로 초대한 초등학생, 결혼할 남자친구를 부모님께 소개하기 위해 집으로 초대한  20대 여성, 고교 동창의 차를 타고 자신의 아파트를 찾아가는 40대 여성이 각각 등장한다. 광고의 마지막 멘트는 이러하다. “OOO씨는 OOO에 살고 있습니다.” 이 일련의 아파트 브랜드 광고는 자녀가 친구를 집에 초대한다든가, 동창생이 집을 찾아오는 등의 매우 일상적인 상황, 그 속에서 벌어지는 사람들의 내밀한 속물근성을 매우 자연스러운 것인 양 재현한다. 물질에 대한 욕망을 부채질하고, 더 나아가 그런 욕망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재현하는 이러한 광고는 우리 사회가 물질 만능 주의에 만연한 정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게 아닐까.


따라서 우리 사회의 물질만능 주의의 심각성을 잊지 않기 위해 계속하여 경고를 날리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 시민에 대한 경제학 교육이 유행하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돈을 갈구하면서도 돈의 본질엔 아는 바가 거의 없다. 그러다 보니 돈을 버는 것도 맹목적이게 된다. 이를 극복하자면 결국 본질에 접근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질문해야 한다. ‘나에게 돈이란 무엇일까?’
인문학 교육터인 ‘길담서원’에서 청소년인문학교실을 마련했고, 그 세번째 주제로 ‘돈’에 관한 일련의 강의를 진행했다. 일종의 청소년 경제학 강의인 셈인데, 강사 면면과 강의 내용을 살펴보면 ‘청소년용’이라는 수식은 불필요해 보인다. 서평작인 『나에게 돈이란 무엇일까?』는 그 강의를 엮은 책이다.


청소년 대상의 경제학 강의라면 돈의 쓰임새나 출처, 용돈을 제대로 활용하는 법 같은 실용적인 측면을 다룰 것 같지만, 이 강의에선 총 7강으로 돈의 다양한 면모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 특히 돈의 본질적인 측면도 놓치지 않는다.


소설가 이시백은 돈이 사회를 지배하는 방식에 대해서 살피고, 에듀머니 이사인 제윤경은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길담 서원의 대표 박성준은 돈과 전쟁의 역학관계를, 『88만원 세대』의 공저자인 박권일은 자본주의의 한계를 살핀다. 철학자 강신주는 돈의 역사적 맥락과 기호성에 대해서 강의 한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교사인 송승훈은 문학 작품 속에 등장하는 돈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전체 강연이 강의 형태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아무래도 강연 주제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을 볼 수 없다. 강의 마지막에 짧은 질의응답을 다루는 정도다. 청소년인문학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과 글을 볼 수 있다면 더 좋은 청소년 인문학 시리즈가 될 것 같다.

 

- 1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