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랜드
토미 더글러스 연설, 한주리 그림 / 책으로보는세상(책보세)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마우스 랜드’는 쥐들이 모여 사는 사회다. 쥐들은 마우스 랜드에서 태어나서 살고, 놀다가 죽는다. 쥐들도 우리처럼 5년마다 투표로 정부를 뽑는다. 특이한 건 정부가 거대하고 뚱뚱한 검은 고양이라는 점이다. 어째서 쥐들이 마우스 랜드의 통치자로 검은 고양이를 뽑았는지 알 수 없지만, 여하간 정치라는 것은 항상 그런 식이었기 때문에 쥐들은 5년마다 부지런히 검은 고양이에게 표를 던질 뿐이다. 하지만 검은 고양이들은 고양이에게 좋은 법만 통과시켰기 때문에 쥐들의 삶은 피폐해져만 갔다. 더는 참을 수 없었던 쥐들은 검은 고양이를 몰아내고, 이번엔 흰 고양이를 대표로 뽑았다. 흰 고양이는 마우스 랜드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고양이에게 좋은 비전일 뿐이었다. 쥐들의 삶은 더 어려워졌고, 그때마다 쥐들은 다른 색깔의 고양이를 정부로 선출했지만, 색깔이 달라도 고양이는 여전히 고양이일 뿐이었다. 고양이는 결코 쥐를 위해서 마우스 랜드를 통치하지 않았다. 이 사실을 깨닫게 된 한 생쥐가 다른 쥐들을 모아놓고 말했다. “대체 왜 우리는 고양이들을 정부로 뽑는 거야? 생쥐로 이루어진 정부를 왜 뽑지 않는 거지?” 이 말을 들은 다른 생쥐들이 일제히 외쳤다. “빨갱이가 나타났다. 잡아넣어라!”


짧으면서 강렬한 이 우화는 캐나다 정치인 토미 더글러스가 1962년 캐나다 의회에서 연설한 내용이다. 토미 더글러스는 1944년 사회주의 성향인 CCF(합동공화연합) 당대표로 북미대륙 최초로 사회주의 정권을 이끌어낸 인물이기도 하다. 서평작인 『마우스 랜드』는 그런 그가 의회에서 연설한 내용을 그림책으로 옮긴 것이다. 다소 짧은 분량이지만, 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풍자가 통렬하다.
고양이는 고양이기 때문에 색깔 따위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 생쥐의 권리는 생쥐만이 대변할 수 있다는 사실. 기득권의 ‘빨갱이 프레임’에 눈이 먼 생쥐들은 그 명백한 현실을 보지 못한다. 하지만 이 이야기가 생쥐의 혁명으로 끝났다면, 그래서 고양이를 완전히 마우스 랜드에서 퇴출하는 것으로 결말이 났다면 『마우스 랜드』는 그저 흔한 유토피아의 동화가 됐을지도 모른다. 오히려 비극적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여기서 요청되는 것이 비단 혁명적 구호는 아니다. 우리도 마우스 랜드의 생쥐들처럼 그저 태어나서 살고, 놀다가 죽을 뿐이다. 복잡할 것도 없이, 그저 우리의 권리를 진정으로 대변할 이가 누군지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된다. 그 상식적 생각이 우리가 지닌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테니까 말이다.

 

-1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