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낙원 - 현대 도시 문화와 삶에 대한 성찰
정윤수 글.사진 / 궁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라고 꼭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사유만 하라는 법은 없다. 오히려 철학자들은 예의 사려 깊은 태도와 날카로운 시선으로 우리가 사는 현실의 주변부를 고찰하기도 한다. 소크라테스로부터 시작된 철학자들의 산책자로서의 전통은, 그들의 사유가 오히려 서재보다 길 위에서 더 활발함을 대변해 주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들이 섰던 공간과 길이 철학적 사유의 촉발점이 된다고 해도 이상할 게 없다. 이를테면, 발터 벤야민의 경우 ‘도시’는 매혹적인 사유의 공간이었다. “어떤 장소를 이해하려면 동서남북에서 다가가 보아야 하며, 동서남북으로 떠나가 보아야 한”다는 그의 말로써, 우리는 길 위 철학자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인공낙원』의 저자인 정윤수는 철학자는 아니다. 오히려 문화평론가라는 말이 더 어울릴 법한데, 그렇다고 그에게 철학자란 직명이 과분하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여러 매체를 통해 발표한 바 있는 그의 글을 읽어 보면, 우리가 사는 시대와 공간에 대한 어떤 의미있는 성찰에 도달할 때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를 도시의 철학자라고 한들, 공간과 인공물에 대한 그의 사유의 의미가 크게 과장되거나 퇴색하진 않을 것이다. 

서평작인 『인공낙원』은, 저자가 글의 소재로 즐겨 삼곤 했던 ‘인공 공간’에 대한 사유를 본격적으로 담았다. 부제는 ‘현대 도시 문화와 삶에 대한 성찰’인바, 저자는 인공 공간도 인공 공간이지만, 그보단 인공 공간에 살고 있는 우리 삶의 궤적에 더 방점 찍고 있다. “도시는 거대해졌고 인간은 왜소해졌다. 인공 공간은 찬란한 빛을 발하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은 점점 주눅들고 있”다는 그의 말 속엔, 도시의 ‘인공낙원’을 바라보는 문제의식이 전적으로 드러난다.  

저자는 우리 일상의 풍경을 가득 메우고 있는 인공의 공간들을 찾아다녔다. ‘역사성의 회복’이라는 당위를 들며 재정비된 ‘광화문 광장’, 현대인의 물신적 상징이 된 ‘멀티플렉스 극장’, 한국 중산층의 욕망이 구현된 ‘모델 하우스’, 더이상 어두운 골목길에 숨지 않은 ‘모텔’ 등, 특히 거대하고 우리의 삶과 문화를 잘 대변해주는 인공 낙원의 모습을 담아냈다. 머리론 사유를, 손으론 글을, 다리론 경험을, 눈으론 사진을 담았으니, 이만한 성찰의 결과도 드물다.  

인공 낙원에 살고 있는 이들의 삶이 다분히 인공적인 가치와 행복으로 전도되는 것은 어쩌면 필연적이다. 저자는 인공 낙원을 대면하는 대부분의 장면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하지만, 예외로 서울 월드컵 경기장만큼은 느슨하게 바라본다. 아마도 저자는 월드컵 경기장에서 경험하는 어떤 뜨거운 열정을 통해서, 현대인의 탈출구를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비록 인공의 낙원이라고 하더라도, 그 속에 인간적 삶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 책이 ‘현대의 도시에서 과연 인간적 삶이란 가능한가?’에 어떤 근원적인 질문도 대답도 내놓지 않지만, 그 모습을 꼼꼼히 기록함으로써 인간적 삶의 가부를 넌지시 제시하고 있다.

-11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