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키 바트만 - 19세기 인종주의가 발명한 신화
레이철 홈스 지음, 이석호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인종주의’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끔찍한 것들 중 하나다. 유럽인들이 바다를 건너 새로운 땅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자신들과는 전혀 다른 신체적 특징을 가진 원주민들을 만나게 된다. 다른 인종 간의 만남은 역사적인 경이로 기록될 수도 있었다. 유럽인은 그러는 대신 원주민을 하등인간으로 정의 내리고, 정복하고 착취했다. 인종주의는 새로운 땅과 인종을 정복 가능하게 만드는 합리화의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신의 계시, 과학적 탐구, 영토 확장에 대한 제국적 욕망 등, 당대의 건전하지 못한 모든 사상들이 인종주의를 뒷받침했다. 아프리카가 쌓아온 오랜 문명을, 유럽인들은 삽시간에 망가트렸고, 검은 피부의 아프리카 인들을 자신의 발아래 놓았다. 피부색은 다르지만 같은 인간임을 유럽인들은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사르키 바트만’은 그런 인종주의가 낳은 끔찍한 신화다. 남아프리카 코이산족의 처녀였던 사르키는 유럽인들에 의해 노예로 끌려갔다. 비록 노예이긴 했지만, 그녀의 고향 땅 케이프타운에서 생활이 그리 끔찍했던 것은 아니었다. 자유민 흑인 밑에서 유모로 일했고, 군가대 군인과 가정을 꾸미기도 했다. 하지만 노예상은 매력적인 외모의 사르키를 내버려 두지 않았다. 그녀를 아프리카 희귀종으로 포장하여 런던에서 인종 전시(freak show)를 계획한 것이다. 
 

아프리카 인으로서는 그리 특이한 경우가 아니었지만, 유럽인들의 눈에는 그녀의 엉덩이를 비롯한 몸매가 비정상적으로 커다랗게 보였다. 전신 스타킹을 신고, 기린 가족을 걸치고, 가면을 쓰자 그녀는 육감적인 매력을 지닌 검은 비너스로 변했다. 전시 기획자는 그녀를 ‘호텐토트의 비너스’라고 선전했다. 호텐토트는 코이산족을 저열하게 부르는 명칭이었다. 이상하고 불안정한 것, 성적으로 변태적이란 의미도 있었다. 유럽인들에게 사르키는 관음의 대상이 되었다. 사람들은 그녀의 커다란 엉덩이와 긴 음부를 구경하고 관찰했다. 엉터리 과학자들은 그녀의 몸매를 ‘불량한 진화의 증표’라 여겼다. 그녀는 동물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인간 아닌 인간 취급을 받으며 치욕스런 삶을 살았고, 그렇게 죽었다. 


그녀가 사후에 밀랍으로 박제되어 파리의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었다는 사실은 인류역사의 지울 수 없는 끔찍한 장면으로 기억될 것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저널리스트인 레이철 홈스는 철저한 사료조사를 통해 남아프리카에서 영국, 다시 프랑스로 건너간 사르키 바트만의 비극적 삶을 추적했다. 이 책은 그동안 막연하게 알려졌던 사르키의 삶을 자세히 묘사한다. 


그녀는 한 인종이 다른 한 인종에게 휘두른 폭력의 상처로 남았다. 그리고 그 상처는 기억되어야 한다. 남아공의 전 대통령 넬슨 만델라는 프랑스에 사르키의 반환을 요청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용서할 수 있지만 잊지는 않겠다.” 인종주의란 이름의 차별이 존재하는 한, 우리는 그녀를 잊지 말아야 한다.  

- 1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