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 동화로 만나는 사회학
박현희 지음 / 뜨인돌 / 2011년 6월
평점 :
요즘은 고전 동화를 곧이곧대로 읽는 일이 없다. 고전 동화를 재해석하고, 까발리는 작업은 한때 유행처럼 번졌었고, 동화를 둘러싼 온갖 진실과 거짓은 한동안 우리에게 재밌는 이야깃거리를 안겨 주었다. 어릴 적 우리에게 따뜻한 교훈과 권선징악의 쾌감을 주었던 고전 동화가 왜 이런 시련을 겪게 된 것일까? 단순히 고지식하고 허무맹랑한 동화에 대한 반발 심리 때문일까?
따지고 보면 고전 동화는 의혹투성이다. 어린 나이에 처음 고전 동화를 접했을 땐 미처 깨닫지 못했지만, 어른이 돼서 읽은 동화엔 차마 그냥 넘길 수 없는 온갖 의혹들이 넘친다. 가끔은 너무 시시콜콜해서 지적하는 거 자체가 웃긴 일이 되어버린다. 말하자면, ‘백설공주는 왜 자꾸 (왕비에게) 문을 열어 줄까?’나 ‘왕좌는 왜 구두로 신데렐라를 찾았을까’와 같은 것들 말이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사인 박현희는 그런 의문과 의심들이 당연하다고 말한다. 그게 곧 세상에 대한 의문과 의심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서평작인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는 그 의문과 의심의 기록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단순히 동화를 조롱하는 데 목적을 두진 않는다. 오히려 등장인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도와준다고 할까. 동화 속 등장인물에게 무슨 죄가 있겠는가. 죄가 있다면 동화를 훈육의 도구로 삼은 사회적 맥락에 있는 것이지.
백설공주는 수동적이고 멍청한 공주 캐릭터의 전형적인 인물이지만, 그녀의 인간적인 고독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위험한 줄 알면서도 낯선 사람에게 자꾸 문을 열어주는 그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 볏짚으로 집을 지었던 아기 돼지 삼형제의 첫째 이야기도 들어 봐야 한다. ‘견고함’이 집의 유일한 덕목은 아니다. 볏짚이나 풀로 엮은 집도 충분히 실용적이고 아름답다. 우리는 오늘날 그런 집을 환경친화적이라고 말하지 않는가? 부지런한 노동자와 가난한 예술가에 대한 은유인 개미와 배짱이 이야기도 있다. 동화 뒤집기의 일환으로 개미와 배짱이의 삶에 대한 우리의 평가가 다소 유보적이게 됐지만, 그래도 여전히 우리는 개미의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나 그 개미의 근면이 소유에 대한 이기적인 욕심, 미래지향적이고 본인안위만을 챙기는 태도에서 기인한다면, 여전히 그걸 모범적인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쉽게 간과해 버리지만, 다른 문학과 마찬가지로 동화도 사회를 보는 창이다. 우리는 어른인양 동화의 순진함을 비웃기도 하지만, 오히려 동화는 그 순진하고 뻔뻔한 주제의식으로 도덕적 헤게모니를 차지한다. 이 책은 동화에 대해 계속 의문부호를 날리지만, 오히려 그건 사회에 던지는 의문에 가깝다. 동화 뒤에 숨은 사회의 진면목을 까발리는 것이, 어쩌면 저자의 숨은 의도가 아닐까 싶다.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