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말한다
이창건 지음 / 숨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 예일초 교장으로 퇴임하시고,

(사) 한국아동문학인협회 이사장으로 활동하셨던

이창건 승훈 베드로 선생님의 시집을 읽습니다.

반갑게도 젊은 선생님의 얼굴에 가득 찬 미소가 정겹습니다.

사인 체도 편안 그 자체입니다.



향기롭고 슬픈 밥

점심시간에 나는 집으로 오곤 했다

외할머니는 먹을 것도 없는데

뭐 하러 오느냐며 하시다가

부엌으로 들어가

찬물 한 그릇을 떠다 주시곤 했다

나는 물을 국처럼 마시고 학교 뒷산으로 달려가

아카시 꽃을 한 움큼씩 따

밥처럼 먹었다

어린 날, 목이 메도록 먹고 또 먹은

--------------------------------------------

강원도 깊은 산골에서 자란 선생님의 어느 한나절 같은

그림이 그려지는

'향기롭고 슬픈 밥'은 가난하지만 인정 넘치는 가족이 있어

희망을 말해주는 것만 같습니다.

슬픔 속에 아카시 산뜻한 향기가 숨어 있지요.

눈물이 터지는 시들이 연이어 나타나서 가슴이 아립니다.



오래된 기차

어둡고 긴 터널을 지나

넓은 들을 지나

평생 얼마나 많은 역을 달려왔을까

구부러지고 휘어진

바람 앞에서

눈비 속에서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보아 왔을까

------------------------------------------------

(영등포역, 서울역, 용산역, 행신역... 목포역, 광주역...)

기차가 들어오는 순간, 기차가 떠나는 순간은 눈물로 설명됩니다.

엄마, 아버지, 친구, 연인, 친지, 지인들을 기다리는 기차역이

떠올라 눈시울이 젖어듭니다.

시인의 마음이 참으로 따스하게 가슴을 지나가는 시입니다.

----------------------------------------------------------------

마음 연못

(중략)

네 마음

고요한 연못 속에// 반짝이는// 별이 있다

-------------------------------------------------------

반짝반짝 빛나는 별 여러 개씩 간직하고 있을

외롭고 초라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기에 충분하지요.

내 마음속 별들이 잘 있는지 가끔 확인해 보고 싶네요.


봄 햇살, 새봄 -봄에 읽는 봄 시들이 참 좋아요.


82편의 시가 모여있는 <<오늘이 말한다>>는

순식간에 읽히는 차분하고 몰입이 강한 시들이 많습니다.

향기, 봄, 선한, 하느님의 친절하고 따스함이 깃든 시들이

마음을 토닥여주는 것 같습니다.


언젠가 선생님이 제게 들려주신 메뉴가 떠오릅니다.

"내가 글쎄 전복을 버터에 구웠지 뭐야."

"우와, 얼마나 맛있을까요? 잘하셨어요."

향이 진하게 느껴지는 전복 버터구이처럼

오래오래 음미하며 천천히 되새김하고 싶은

철학적인 동시 같은 시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눈물이 반짝이는 시집입니다.




신지영(아동문학평론가)과 등단 42년 차 선생님이 주고받은 인터뷰를 읽다 보니

선생님의 문학정신과 삶이 그대로 다가옵니다.

세월호, 반지하 참사에 대한 시처럼 상처받고 외로운 영혼들에게 위로가

되어야 하는 연민과 측은지심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우리는 다 함께 따뜻하게 살아야 해요."

일흔 살 아동문학가 하느님의 포도밭을 가꾸는 농부 이창건 선생님이 전하는

봄날 같은 시집입니다.


거울//그래, 웃는 거다/ 활짝 웃는 거다//거울에 비친 / 일그러진 내 허상에서 빠져나와// 깔깔깔 웃는 거다//슬픈 얼굴은 지우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금똥을 누는 고래 단비어린이 문학
장세련 지음, 황여진 그림 / 단비어린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덟 편의 단편이 들어있다. 그중의 표제작인 <황금 똥을 누는 고래>는 사고로 아빠, 엄마를 잃은 향유고래의 단단한 슬픔을 뚫고 성장해가는 과정이 잘 그려졌다.
각각의 이야기가 품고 있는 결핍과 상처를 보듬는 작가의 따스한 눈길과 입말이 읽는 재미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시산국 이바구』 

  /김이삭 / 
                                                                       


어린 시절 저녁을 먹고 따뜻한 온돌방에 누워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이야기에 푹 빠져있던 시간이 그리워지는 겨울이다.

이야기의 정겨운 경상도말 이바구를 동시로 듣는다. 아름다운 우리말 바람을 상상하면서 우시산국에 들어찬 옛이야기와 맛난 특산물과 풍경을 그려본다.

울산에는 한 번 가보았다. 반구대 암각화를 강 건너에서 바라보면서 신석기 시대의 선조들을 생각해보며 가슴 설렜던 기억과 세계 최강이라는 울산 현대 조선소 관람이 떠오른다. 고래가 출동하는 멋진 광경을 연상하며 해질 무렵 공룡 발자국이 남아 있는 바위에서 건너뛰던 특별한 경험이 남아 있는 울산광역시다.

 

먼저, 반구대 암각화에 깃든 골바람을 만나러 간다.

 

 

반구대 암각화랑 산이랑

 

누가

누가

발 오래 담그고 있나

 

누가

누가

숨 오래 참나

 

아주 가끔

골바람 편에

시합을 해요

 

 

골바람 -골짜기에서 산꼭대기로 부는 바람

 

산을 품은 넓은 바위에 새겨진 반구대 암각화를 휘돌아 나오는 골바람이 그려진다. 높고 경쾌한 사투리가 지원되는 김이삭 시인의 음성이 들리는 듯한 우시산국 이바구에는 울산이야기가 한 상 푸짐하다. 울산 생활 21년차 김이삭 시인 풀어낸 간결하고 상큼한 동시들이 울산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순 우리말 바람 동시집이란 부제가 있는 울산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것은 우리말 바람들이다.

 

 

꽥꽥 울주 오리쌀

 

꽥꽥

오리가 모판 사이를

왔다 갔다 살펴요

 

(중략)

 

밥맛 잃은

우리 할아버지

오리 농부가 지은 쌀밥

한 그릇 뚝딱 드시고

마파람 맞으며

논으로 가십니다

 

마파람 -물기가 많은 축축한 바람으로 봄 여름에 주로 분다

 

할아버지의 정성어린 손길이 느껴지는 현장에서 만나는 마파람은 벼들에게도 오리에게도 반가울 것이다.

쉴 새 없이 움직이며 논을 윤택하게 만들어 주는 오리농부님들 생각을 한 번 더 하게 된다.

 

 

인기스타 고래

 

봄에는 도다리

여름에는 장어

가을에는 전어

겨울에는 물메기

 

~ 라지만

 

나는야

울산 대표 마스코트

결코 헛바람 아니지

 

헛바람 -쓸데없이 부는 바람

 

힘찬 고래가 떼 지어 물차기하는 장관은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뻥 뚫린다.울산 바다의 출렁이는 느낌은 귀여운 마스코트로 연결되어 웃음 짓게 한다.

 

 

단짝

 

할아버지가 그물코를 깁습니다

 

한코

두코

반찬이 되고

약값이 되고

막내 삼촌 등록금이 됩니다

 

옆바람 타고 깃발 흔들며

장생포 바다로 나가는

배에 오르는 그물

할아버지 오랜 짝꿍입니다

 

옆바람 -배의 돛 옆으로 부는 바람

 

옆바람 맞으며 일을 하는 거친 손의 할아버지가 떠오른다. 힘겨운 노동의 현실이지만 옆바람의 시원함이 할아버지의 고단한 삶을 위로해주는 듯 하다.

 

 

숙제하는 평화호

 

평화호가 지나가자

바다가 뱃바람 타고

-

 

독도는 우리 땅

날개를 편다

 

평화통일 세월호특별법 사드 배치

 

오랫동안 끙끙대며

풀지 못한

한반도 숙제

이젠

끝냈으면 좋겠다

 

이름값 했으면 좋겠다

 

뱃바람 -배를 타고 쏘이는 바람

 

평화호가 제 이름값을 하기를 더불어 간절히 바란다. 뱃바람은 친숙하다. 배를 타고 맞는 바람결은 얼마나 상쾌한 지 가슴 안까지 넘나드는 서늘한 뱃바람을 맞으며 걱정근심을 내버리고 싶은 충동이 인다.

 

 

간절곶 도다리 쑥국

 

봄볕에 비실비실 졸고 있는

쑥을 끓이면

 

쑥은 칼바람 맞던 겨울 이야기

콩콩콩 풀어내지요

 

킁킁킁 솔솔솔

쑥국을 먹으면

출렁출렁 바다 건너

일등으로 달려온 해님이 보이지

 

칼바람 - 몹시 매섭고 독한 바람

 

칼바람을 견뎌야 하는 겨울이다. 봄을 품게 하는 도다리 쑥국을 먹으려면 일출의 뛰어난 명소 간절곶에 가야 할 것 같은 희망이 솟는다. 비바람 앞에서 꽃장기 두는 벚나무도 만날 수 있는 계절이다.

 

교과서에서 만났던 처용가, 울산 앞바다에서 자라는 돌미역 특산물에 포항과메기까지 소환한다.

하늬바람이 전해주는 소식을 듣고 있는 서생 돌미역,

산들바람 깃든 자수정 동굴, 실바람 부는 수변공원의 해바라기, 된바람 맞고 큰 언양 미나리, 꽃바람 일으킨 은장도 등 울산에 대해 가까워질 수 있다.

 

바람이 유적지를 만나고 바람과 자연이 어우러져 쌀을 빚어내고 우리말 바람들이 모셔온 울산의 명소와 맛에 빠져 울산여행을 제대로 했다.

 

 

 

독도는 우리 땅

날개를 편다



평화통일 세월호특별법 사드 배치



오랫동안 끙끙대며

풀지 못한

한반도 숙제

이젠

끝냈으면 좋겠다



이름값 했으면 좋겠다



뱃바람 -배를 타고 쏘이는 바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