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를 위하여 - 여자가 알아야 할 남자 이야기
김형경 지음 / 창비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는 일찍이 정해진 룰이 있는 것 같다. 심리를 모르기 전과 후는 조금 다르다.

내 경우는 학문적인 확정이 이미 나 있는 원론적인 대입이 가능한 사례를 보면 정말 수긍하는 편이다.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 여자가 알아야 할 남자 이야기- 라는 부제처럼

어쩌면 여자들에게 더 유용한 책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자의 심리를 잘 아는 여자가 남자 자신의 심리를 잘 알고 있는 남자보다 필요할 거라는 모성애적 이론을 끌어와 본다.

어린 여자일 때는 도무지 이해 못할 이야기들이지만 어느 정도 나이가 든, 아니면 차였거나 차인 경험이 있는 남녀 사이를 밀당한 사람이라면 맞아, 맞아 고개를 끄덕일 장면이 여기 저기에서 등장한다.

작가도 다소 힘겹게 끌어왔을 사례들이나 심리 모임 이야기에서는 조금 숙연해졌다.

그들만의 작은 모임을 통해 이야기하고 웃고 흐느끼는 광경이 생생하게 떠올라서였다.

누군들 상처 없는 유년기와 성장기를 보냈을까마는 유독 심한 환경에 노출된 그들이(남자들) 세상을 딛고 살아가는 모습들이 읽혔다.

솔직한 작가의 사례를 곁들인 퓨전 메뉴와도 같은 리뉴얼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하지만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 남자와 여자가 서로에게서 듣고 싶어하는 말은 부드러운 위로와 사랑의 말일 것이다.- 술과 함께 삼키는 것은 부드럽지 않은 거친 말들과 내팽개쳐지는 쓸쓸함에 대한 격려가 필요한 것이다 라는 명제에 공감한다.

사물들과 철학한다는 남자들의 사례에서는 자동차를 숭배하는 심리가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명품가방을 탐하는 것과 별 다를 것이 없다고 이해하기 쉽게 말해준다.

남자들의 사악한 시선에 대한 해설도 신선했다. 유아기에 만들어진 오류와 무의식 속에 고착된 예쁘거나 귀엽다는 말을 바라는 여자들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고도 남을 응시에 대한 고찰이 웃음짓게 했다.

남자와 폭력 사이에 존재하는 의존성에 대해서도 어쩌면 마마보이를 생성해 내는 마마들의

역할이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했는데, 엄마와 아기와의 행복한 공생 시절을 겪지 못한 유토피아적 환상의 원형이 내려있다는 것은 정말 슬프고도 씁쓸한 병리라고 생각되었다.

두려운 대상을 비난하는 남자- 특히 정치에 민감하고 말로만 독설가인 남자들에 대한 시선이 조금 이해로 돌아선 예가 되었다. 그런 남자들 앞에서 그저 침묵이라는 관망자세가 답인 사람들에게 해답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남자들의 내면을 속속들이 파헤쳐 신비감이 없어지긴 했으나 사람으로서 한발짝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일상 속에서 좀 더 평화로워지지 않을까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