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들의 공부가 여기서 다 끝나는 것은 아니야. 개 노릇하기가 그렇게 쉽지는 않아. 여기까지는 기초에 불과해. 더 중요한 공부는 사람들이 슬픔과 고통을 정확히 알아차리고 무엇이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무엇이 사람들을 괴롭히는지를 재빨리 알아차리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야. 아주 어려운 공부지. 말하자면 눈치가 빠르고, 눈치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이야.
신바람은 개의 몸의 바탕이고 눈치는 개의 마음의 힘이라고 말할 수 있겠어. 사람들은 남의 눈치를 잘 보는 사람을 치사하고 비겁하게 여기지만 그건 아주 잘못된 일이라고 나는 생각해. 사람들도 개처럼 남의 눈치를 잘 살펴야 해. 남들이 슬퍼하고 있는지 분해하고 있는지 배고파하고 있는지 외로워하고 있는지 사랑받고 싶어하는지 지겨워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척 보고 알아차릴 수 있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는 말이야. - P27

진돗개는 어렸을 적 주인을 영원한 주인으로 섬기기 때문에 믿음직하다고 사람들은 우리를 칭찬한다. 그 말은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나는 다르다. 나에게는 현재의 주인이 영원한 주인이다. 주인이 가끔 바뀔 수도 있는데, 어떻게 지금의 주인이 영원한 주인일 수가 있겠느냐고 묻는 사람들은 개의 마음을 모르는 바보들이다. 개에게 중요한 것은 언제나 현재일 뿐이다. 그래서 주인이 바뀌어도, 지금의 주인이 영원한 주인이라는 말을 개들의 나라에서는 맞는 말이다. - P62

익어가는 벼의 향기는 두텁고 포근했다. 사람들의 마을에서, 그 냄새는 오래고 친숙했다. 수평선을 건너오는 새벽 바다의 그 낯설고 멀어서 설레는 냄새와는 전혀 다른 냄새였다. 그리고 들판에 가득 찬 벼의 향기는 흰순이의 몸 냄새와 닮아 있었 다. 흰순이는 누구의 암놈이라고 할 수도 없이 이 세상을 채우는 개처럼 느껴졌다. 나는 그 냄새를 깊이 빨아들이며 천천히 걸어서 집으로 돌아왔다. 우물가 감나무 가지에서 주인아주머니의 마른 물고기 몇 마리가 분홍빛 속살로 저녁 햇살을 받고 있었다. - P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