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는 어떻게 생각을 시작하는가 - 이응준 작가수첩
이응준 지음 / 파람북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작품들 중 2국가의 사생활』 『내 연애의 모든 것을 읽어보았던 나로서는 이 책이 기대가 참 많이 되었었다. 하지만 작가는 시인으로 시작한 작가였으며, ‘순수문학에 좀 더 가까이에 있는 작가이자 교수였다.

 

그리고 그가 착안한 글감들과 통찰에서 온 메모라 볼 수 있는 글 중에는 촌철살인 같이 날카롭게 꼬집는 것들이 있었다.

 

항상 나의 학생들에게 '읽기'보다는 '쓰기'를 권하고 강조했다. 작가가 되고 싶었으나 작가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읽는 것''쓰는 것으로부터의 도피처'로 삼은 이들이 뜻밖에 많기 때문이다.”

 

생각을 시작하는 방법, 작가처럼 하나의 소재로부터 시작해 나가는 방법, 세상을 보는 시선, 작은 것들을 놓치지 않고 고민해 글감들을 정리해온 습관들을 배울만한 것이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심오하고 다소 무게감이 있어 쉽게 읽어 나가는 데는 다소 노력이 필요했다.

 

그래서 였을까? 책의 띠지에 적혀 있는 글귀가 유난히 눈에 들어왔다.

 

이 책은 아주 천천히 부드럽게 읽으시기를. 이 책에 체하거나 감염되면 약이 없나니.”

 

하지만 지나치게 엄중하고, 진지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런 자세들이 결국 순수문학이 대중에서부터 거리감을 만들고, 지적 허영으로 이어져 독자들로부터 고립되고, 세대를 나뉘게 하는 것은 아닌가 싶은 지점도 있어 보였다.

 

물론 휘발성에 대한 우려도 있을 것 같기는 하다. 진지함의 반대가 가벼움일 수도 있다 보니, 그 진지함에 대한 나의 우려도 건방짐일 수도 있어 조심스럽다. 많은 것들은 변하고, 또 소중한 어떤 것들은 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휘발성이 현 세대의 특성인 것이지, 나쁜 것은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부디 시대와 세대와 독자와 함께 하는 작품들이 많이 나와주길 빈다.

그런 의미에서 모든 작가님, 창작자분들 모두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