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오웰 - 자유, 자연, 반권력의 정신
박홍규 지음 / 이학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 오웰의 책들 특히나 '동물농장'은 문학을 사용한 정치적 권력을 묘사한 것에서 너무나 큰 깨달음을 얻은 책이다. 

정치의 복잡성 그리고 권력의 마성에 대해 동물로 누가 저렇게 비유를 해 책을 쓸 수 있을까? 

조지 오웰의 평전은 우리나라에는 거의 없다고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1984' '동물농장'은 그 번역본이 수십 종인 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쓴 작가에 대한 평전은 거의 없다는 것이 말이 될까? 

루쉰 선생도 마찬가지이다. 루쉰 선생의 평전은 너무 많아 다 챙겨 보다가는 기절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루쉰 평전을 출판한 책의 80% 정도를 봤다고 평가를 했다. 결국은 자신이 새롭게 루쉰 선생을 봤다고 하지만 그 내용이나 여러 면에서는 루쉰 선생의 평전도 내용들이 거의 비슷 비슷하다. 

내가 원하는 것은 루쉰 선생의 전집이다. 근데 소설도 '아큐정전'만이 끊임 없이 번역될 뿐 진정 루쉰 선생의 사상이 온건하게 다 소개된 책은 아직도 출판되지 않고 있다. 

조지 오웰 역시 올 해 들어 '워건부두 가는 길' '나는 왜 쓰는가'이 두 권의 책이 그의 잡문 실력을 음미하게 끔 나왔지만 아직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도대체 언제쯤 이 두 작가의 모든 저술을 다 읽을 수 있을까? 정말 답 없는 출판계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좋아 2010-10-21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서전을 쓰지 않았으니 전세계 어디에도 오웰의 자서전은 없을껄여 ㅋㅋㅋ
지금 출판되는 평전은 위의 언급하신 <조지오웰> 하나지요. 예전에 번역본으로 평전이 하나 있었는데 지금은 구하기 힘드실거에요. (저는 가지고 있지요 하하하)
성훈 출판사에서 나온 책인데 박홍규씨의 평전은 거의 거기서 나온 얘기더라고요. 박홍규씨가 책에서 한 말대로라면 잘못된 내용이 많다고도 하지만 일단은 정보의 양이 압도적이니 조지오웰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보물 같은 책이지요.
오웰의 소설은 우리나라에 다 소개되어있구요.
오웰의 글이 신문이나 매체 기고글이 많아서 구성하기 나름인지라 웬만한 대표글은 번역이 된 셈입니다.
영국에서 다양한 책이 출판되고있기는 합니다만,(알아봤지요^^) 중첩되는 책들이 태반이에요.
<코끼리를 쏘다>라는 산문집 하나일고 목말랐던 저도 요즘 나온 위건부두 가는 길, 나는 왜 쓰는가? 때문에 즐거운 나날들입니다. ㅋㅋㅋ

루쉰P 2010-10-22 14: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마이클 쉘던(?)인가 하는 사람이 쓴 평전을 말씀하시는거 아닌지요? 저도 그 평전이 있거든요. 예전에 헌책방에서 일하던 시절에 구입을 했었습니다. 하기사 잘못된 내용이 많다고 해도 내용의 정보가 참 많죠. 박홍교 교수님이 쓴 글은 거기에 비하면 그 양이 상당히 적죠^^ 그래도 지금 구할 수 있는 평전은 그것뿐이라는 사실 ㅋㅋ 저 역시 요즘 나온 조지 오웰의 책을 사면서 참으로 행복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근데 혹시 <1984>의 번역본 중 가장 잘 된 것은 어느 것인지 혹시 아시나요? 지금 출판된 것 중에 민음사 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게 과연 가장 나은 번역일 지 의문이라서요. 다른 번역본도 사서 보고 싶지만, 왠지 같은 책을 다시 산다는 게 좀...망설여 지네요.
하기사 조지 오웰의 자서전은 당연히 없죠. ㅋㅋ 글을 잘 못 썼네요. 수정하겠습니다. ㅋㅋ

차좋아 2010-10-22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민음사 판으로만 읽었어요^^ 아무래도 최근에 나온게 시대의 문장을 잘 반영하니 수월하게 읽히겠죠? 전 쉬운게 좋아요 ㅋㅋㅋ 전 조지오웰 작품 중에 카탈로니아 찬가를 제일 좋아해요^^
1984 문학동네에서 나온 거 재밌어 보이던데 그거 한 번 읽어볼가 생각중입니다 ㅎㅎㅎ

루쉰P 2010-10-22 14: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탈로니아 찬가'는 민음사판을 소유하고 있는데 아직도 읽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차좋아님 덕분에 그동안 어설프게 읽고 있던 조지 오웰님에 대해 아주 깊이 파보고 싶다는 의욕이 무지하게 샘솟네요. 전 사실 가장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하루키의 1큐84를 읽고 나서 사람들이 조지 오웰의 1984년에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입니다. 두 권 다 읽었지만 하루키의 책은 조지 오웰의 책과는 전혀 다르거든요.^^;;;
아마 하루키의 팬이 오웰님의 책을 읽는다면 놀랄거에요. 정말 조지 오웰에 대해 알고 싶은 것도 많으니 좋은 내용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저도 1984를 다른 책으로 사서 다시 한 번 읽을려구요. 차좋아님이 문학동네로 구입하신다니 전 펭귄클래식에서 나온 것으로 봐야 겠네요. 그래야 번역을 좀 비교하면서 보니까요~차좋아님 덕분에 제 서재도 자꾸 애정을 가지고 오게 되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