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권의 책을 위하여 - 한 인문주의자의 책 만들기 함께 탐험하는 책의 유토피아
김언호 지음 / 한길사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대학생 시절에 미국의 사회학자 C.W. 밀즈의 『파워 엘리트』를 읽고 나서 부터 대단히 신뢰하게 되었던 출판사인 [한길사]의 김언호 사장이 쓴 일종의 출판 회고록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한 시대에 출판이 담당해야 할 역할 중 하나로 "진실을 말한다는 것"의 깊은 의미를 깨달았다. 동아일보 해직기자를 거쳐 1976년에 [한길사]를 창립하여 7~80년대에 [오늘의 사상신서] 시리즈로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을 올바로 보고자 했고, 현재는 [한길그레이트북스]로 고전의 재해석과 인문학의 부활을 꿈꾸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출판인인 김언호의 사장의 깊은 속내가 가슴 깊이 다가온다. 내가 그동안 소장해 왔고 또 읽어 온 한길사의 책들 중에는 『해방전후사의 인식 1』, 엘리아스 카네티의 『말의 양심』,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같은 저자의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르네상스의 여인들』, 『체사레 보르자 혹은 우아한 냉혹』, 『신의 대리인』, 『르네상스를 만든 사람들』, 페르낭 브로델의 『지중해의 기억』, 리 영희 선생의 『우상과 이성』, 『분단을 넘어서』, 홍 사중 선생의 『히틀러』, 『근대시민사회사상사』, 임 철규 선생의 『그리스 비극』, 『눈의 역사, 눈의 미학』, 이 광주 선생의 『동과 서의 차 이야기』, 『교양의 탄생』, 『아름다운 지상의 책 한 권』, 영국의 역사학자 E. J. 홉스봄의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자크 루엘랑의 『성전, 문명 충돌의 역사』 등, 몇 권 되지 않지만, 언제 어디서나 그 저자와 책 제목이 떠오를 정로로 강렬한 인상을 받았던 책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대학 초년생 시절 읽었던 『해방전후사의 인식 1』은 비록 논문 모음이지만, 한 편 한 편이 우리의 역사와 민중의 저항성, 그리고 극복의지에 이르기까지, 그전까지 학교에서 배웠던 지배자의 역사를 넘어 역사의 사실성과 생동감을 전해주었던 책으로 기억에 남아 있다. 앞으로도 남은 생 동안 [한길사]의 책들은 가장 애호하는 책으로 남으리라. 곧 [한길사]에서 나온 『해방전후사의 인식』2, 3, 4, 5, 6권을 구매할 예정인데, 이 책들을 다 읽고 나야 비로소 한국 현대 현대사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참, [한길사]에 얽힌 개인적 기억도 있다. 대학원에 복학했던 1993년도에 결혼을 앞두고 취업을 준비하던 때 한길사에 입사지원서를 냈던 적이 있었고 며칠 동안 강남사옥으로 출근하던 즐거웠던 일. 그 때가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