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도 다르고, 자라온 환경도 다르고, 그 외에도 많은 것이 다른 두 여자.
부잣집 가정부 중 한 명이었던 여자, 그 부잣집의 주인의 아이를 가졌지만 다른 부인들에 의해 저택에서 쫒겨나야했던 여자, 그리고 그 여자를 어머니로 둔 죄로, 아버지의 저택에서 살지도 못하고, 언제나 아버지와 함께, 아버지의 다른 아이들이 하는 것을 함께 해 보고 싶어했지만, 그럴 수 없었던 미리암, 아버지와 함께 있고 싶어서, 아버지의 집에서 함께, 아버지의 사랑을 받고 싶다. 어머니와 있을 때 언제나 가슴을 짓눌렀던 '하라미'라는 멍에를 벗고, 아버지의 집에서, 다른 가족들과 함께! 살고 싶다. 그런 작은 소망을 가지고 아버지의 집에 찾아갔다가, 신뢰가 부서지고 말았던 미리암, 팔려가듯, 그렇게 시집가게 되어, 아이를 못 낳는다는 이유로 남편에게 하찮은 취급을 받게 되었던 미리암.
그리고 라일라, 학교를 다녔고, 세상의 소식에 관심을 가졌으며, 전쟁으로 인해 두 오빠를 잃고, 그로 인해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커야했던 라일라. 소꿉친구였던 타리크를 좋아했지만, 또한 전쟁으로 인해 그를 멀리 떠나보내야 했던 라일라. 그리고, 전쟁으로 인해 친구를 잃고, 부모를 잃고, 폭발의 잔해 속에서 라시드에 의해 구해져, 그의 아내가 되어야 했던 라일라.
그리고 라시드의 또 다른 아내였던 미리암.
나이도, 자라온 환경도 다른 두 여자가 '우정' 이라는 꽃을 피우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두 사람 다 전쟁 속에서 살아남았기 때문일까. 남편의 폭력 속에서 함께 견뎠기 때문일까. 갑갑한 이슬람 문화속에서 살아야 했기 때문일까. 아니면, 아이를 사랑하는, '어머니'이기 때문일까.

어째서 책 소개란에 '세상의 모든 딸들이 읽어야 할 바로 그 책' 이라고 써져있는가가 궁금했다. 하지만 소설을 끝낸 후에는 그 의견에 어느정도 공감이 갈 것도 같았다.

 

소설의 막바지 부분, 미리암의 아버지 잘릴 한이 미리암에게 보낸 편지를, 라일라가 읽는 장면에서는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어린 시절, 미리암이 잘릴에게 부탁했던 것.

"아빠, 저를 영화관에 데려다주세요. 만화영화를 보고 싶으니까요. 그 인형 소년을 보고 싶어요."

 

그리고 잘릴 한이 미리암에게 보냈던 비디오 테잎은...화면에 나오는 영화는 월트 디즈니에서 만든 [피노키오]였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 그것을 진하고 진하게 느낄 수 있었던 소설. 천개의 찬란한 태양,

전쟁 속에서도 '어머니'라는 꽃은 죽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