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에 빠지다
김상규 지음 / GenBook(젠북)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매일 쓰면서도 또 생소한 우리말, 들어본 듯도 하면서도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는 말,

종종 쓰면서도 무슨 뜻인지 몰랐던 말,

그냥 무심코 써왔던 단어, 속담을의 어원을 알아보니, 평소에 쓰는 의미와는 완전 다른 뜻이라 조금 당황하기도 했다.

우리 말, 정말 '우리 말'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국어 점수를 언제나 100점 맞는다고 해도, 언제나 모의고사에서 언어 점수 만점 받는다고 해도, 국문학을 전공한다고 해도, 완벽하게, 제대로 아는 사람은 아마... 없지 않을까?

우리가 자주 쓰는 단어들 중 여러가지를 꼽아서, 그 단어의 어원을 알려주고, 가끔은 그에 얽힌 일화, 혹은 예로 들었던 단어들의 뜻에 대해 알려주기도 한다.
특히 어떤 말에 대해 어원을 소개해주고 이러이러할 때 이러이러하게 쓰는 건 어떨까. 하는 식으로 예시를 들어주는 것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고등학교 문학 시간에 배운 기억도 있는 이야기를 볼 때는 괜히 기분이 좋기도 하고,

처음 듣는 이야기를 볼 때는 '와아~ 이런 뜻이었어?' 하고 신기해했던 유래도 있었다.

나쁜 뜻으로 써왔지만 어원은 좋은 뜻으로 쓰였던 단어... 주책맞다... 주책이라는 단어를, 마냥 나쁜 뜻일거라고만 생각했는데

'일정한 생각이나 줏대'라는 뜻이었다니, 그럼 바른 표현은 '주책 없다'는 말이겠지. 고등학교때 시험에 나왔던 문제가 생각난다.

칠칠하다. 라는 말, 나무, 풀,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 라는 뜻이었다, 우리는 칠칠맞긴, 하면서 그냥 나쁜뜻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이 중 처음 들어봤고, 가장 인상 깊었던 단어. '머드러기, 지스러기'

머드러기, 군계일학, 백미와 바꿔 말할 수 있는 단어, 많은 것들 중 그중 뛰어난 것을 골라내는 것, 평범한 사람들 중 뛰어난 사람.

지스러기, 머드러기와 반대의 뜻으로 손질하고 남은 부스러기나 찌꺼기, 사람으로 치자면 둘을 가르치면 하나를 아는, 그야말로 미련퉁이를 이르는 말이란다.

우리도 '머드러기'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최소한, 되려고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최소한, 지스러기는 되지 말아야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무심코 쓰는 말들에 대한 어원을 들으니, 그런 말들을 아무 생각 없이 썼던 내 자신의 과거가 부끄러워졌다. 앞으로는 한마디 말도 조심해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