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어타운 ㅣ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413/pimg_7302271521885122.jpg)
우리에게 익숙하고,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던『오베라는 남자』 의 작가 프레드릭 배크만의 신작 장편 소설, 이것만으로도 많은 분들의 관심을 이끌었을『베어타운』.
소설 첫장을 시작하면서부터 독자를 끌어들이기에 충분했다.
삼월 말의 어느 날 야밤에 한 십대 청소년이 쌍발 산탄총을 들고 숲속으로 들어가 누군가의 이마에 대고 방아쇠를 당겼다.
일자리도, 미래도 없이 막다른 곳에 내몰린 숲속 작은 마을, 베어타운. 유일한 희망은 청소년 아이스 하키팀의 우승이다. 온 마을의 기대를 버겁게 짊어진 천재 하키 소년 케빈은 준결승에서 이긴 날 밤, 하키단 단장의 딸 마야를 성폭행하고, 이 장면을 막 청소년팀에 합류한 아맛이 목격한다. 그날 이후 혼자서 속을 끓이던 마야는 결승전날 아침 부모님에게 사실을 모두 털어놓고, 시합장으로 출발하려던 버스에서 케빈은 체포되고 만다. 케빈이 빠진 팀은 결승전에서 패배하고, 마을 사람들은 마야와 그 부모에게 책임을 돌리며 사건을 덮으려 한다.
처음에는 단순한 스포츠 관련 소설로만 읽었다. 그런데 여기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공동체를 하나로 엮는 희망과 그 공동체를 갈기갈기 찢어놓는 비밀, 대의에 반하는 선택을 하는 한 개인의 용기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적나라하게 비추며 희망을 이야기한다.
그렇기에 이 책은 단순히 소설이 아니다. 그들의 이야기이며,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 현실을 되돌아 보며 공감할 수 있는 『베어타운』. 그래서 꼭 읽어야 할, 이 시대의 모던 클래식이라 하나보다.
p.21 이 스포츠가 요구하는 것은 단 한 가지. 당신의 전부다.
p.170 어떤 팀의 자부심은 다양한 데서 생길 수 있다. 장소에 대한 자부심,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 아니면 한 사람에 대한 자부심. 우리가 스포츠에 몰입하는 이유는 우리가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지와 더불어 스포츠를 통해 우리가 얼마나 위대해지는지를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p.323 말은 하찮은게 아니다.
p.374 증오는 매우 자극적인 감정일 수 있다.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을 친구와 적, 우리와 그들, 선과 악으로 나누면 세상을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훨씬 덜 무서워할 수 있다. 한 집단을 똘똘 뭉치게 하기에 가장 쉬운 방법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은 어렵다. 요구사항이 많다. 증오는 간단하다.
p.426 어려운 문제, 단순한 해답, 공동체라는 것은 무엇일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413/pimg_7302271521885123.jpg)
작가는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