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와 공자의 화해 - 21세기 중국은 왜 이 길을 선택했나 동아시아연구소 교양문화 총서 1
권기영 지음,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푸른숲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오픈 클래스에서 진행한 다섯가지 강의를 묶어서 쓰여진 책이다.21세기 들어서 후진타오가 '화홰사회 건설'을 국정이념으로 내세웠으며,이 책 제목 또한 후진타오의 국정이념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 공자와 마르크스가 상징 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여야 하며,중국의 역사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2500년간 중국의 상징이었던 공자는 중국의 자존심이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청일전쟁과 아편정쟁으로 인하여 중국인 스스로 자신들의 나약함과 낙후성을 인지 하였으며,농민들을 중심으로 개혁을 하였고. 그 중심에 마오쩌둥이 있었다.마오쩌둥이 중국의 지도자로 되면서 중국이 일본과 서강 열국과의 전쟁에서 진 이유가 자신들의 낙후성과 유교 전통에 원인이 있었다고 생각했으며,유교 사상의 상징인 공자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게 된다.


 중국 전역에 있는 공자의 흔적을들 지워나갔으며,마오쩌둥은 중국에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사회주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도입시켰으며,중국은 농업 국가에서 사회주의 국가로 새출발을 하였다.이렇게 중국의 변화의 물결은 덩샤오핑이 집권하면서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하였으며,세계 속의 중심이 되기 위해 도광양회 (韜光養晦) 전략을 채택하였고, 국가의 이념으로 정착시키게 된다.그렇지만 여전히 공자는 개혁개방의 걸림돌로서 존재했다는 것이며,중국이 공자의 이념과 가치 부활을 전면적으로 내세운 것은 등소평 후졔자 장쩌민 집권체제가 되어서야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이 공자 부활을 내세운 이유는 이제 자신들이 과거에 느끼고 있었던 낙후함에서 벗어났다는 것이며,개혁개방를 함으로서 중국이 안고 있는 도시와 농촌간의 빈부 격차와 대도시와 지방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였다.공자의 부활은 중국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의 대안이었으며, 중국이 가지고 있었던 고유의 전통문화를 부활시키는 것이다. 전통문화를 부활시키는 그 중심에는 공자의 부활이 핵심이며,중국의 국가 이념은 여전히 마르크스 사상의 사회주의 공산당 체제가 유지되고 있었기에 공자와 마르크스의 화해가 그들에게 필요했던 것이다.


이렇게 중국의 새로운 길과 중국의 변화된 모습들이 책에 담겨져 있으며, 경제 발전을 하면서 중국의 베이징 올림픽에 담겨진 중국의 변화된 모습과 자부심에 대해 알 수 있었다.그리고 기존의 경제가 베이징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면 지금은 광저우와 우리와 가까이 있는 환부하이 지역이 중국의 새로운 경제특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며, 그것은 우리에게 기회라는 것과 물류창구로서 인천이 가지는 지리적인 이점과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가야 하는지 알수가 있다.지금 중국이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문화 클러스터가 무엇인지 알 수 있으며,대한민국은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가야 하는지 진단해 볼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