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 묘보설림 2
루네이 지음, 김택규 옮김 / 글항아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에서 살았던 기억때문인지 소설 속 이야기가 남의 일 같지 않았다. 순박한 모습을 보이다가도 갑자기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친밀하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속이는 그들의 모습이 당연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백만명이 기아로 죽었던 대약진 운동에서 살아 남은 자들이 겪어야 했던 고난의 세월과 산업화를 통한 부의 집중화로 다시 빈민이 되는 공장 직공들의 삶은 특별한 누군가의 이야기가 아니다. 살아남기 위한 그 치열한 경쟁 속에 '자비'는 모순이지만 또 엄연히 존재했던 가치였다.

 

소설을 끝내고 역자(김택규)의 후기를 읽고 나자 작가(루네이)에 대한 궁금증이 참을 수 없이 커져 짧은 중국어 실력으로 바이두에서 찾아 보았다. 풍채 좋은 중년 남자의 모습엔 삶의 궁색함은 더 이상 찾아 볼 수 없고 어딘가 예술하는 사람들이 풍기는 그런 기운이 감돈다.

 

소설의 내용은 가히 충격적이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끝까지 읽을 수 있는 것은 충격적인 내용을 너무나 담담하게 써 내려간 문체때문이다. 역자는 이런 스타일을 '낯빛 하나 변하지 않는 참혹함'이라고 명명된다고 했다.

 

루네이도 본명이 아니라 인터넷에 글을 올릴 때 쓰던 아이디라고 한다. 그는 기술학교를 나오고 대학교육도 받지 않은 전형적인 공원 출신이지만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해 뒤늦게 작가가 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그의 소설에는 유식한 사람들의 글냄새가 나지 않고 인물들이 가식없이 생생해서 읽기 편하다. 대단한 이야기꾼이다.

 

그의 다른 소설들도 읽어 봐야겠다. 

"나는 가난하고 능력이 없어서 텔레비전은 살 수 있었지만 배는 곯고 있어. 벌써 두 달이나 아침밥을 못 먹었다고. 그래서 보조금을 신청한 건데 당신이 나한테 이렇게 나온다 이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강머리 앤이 하는 말 - 아직 너무 늦지 않았을 우리에게 빨강머리 앤이 하는 말
백영옥 지음 / arte(아르테)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강머리 앤의 팬이기 때문이 아니었다. 목차를 보는데 꼭 읽어야겠다,는 열망이 차 올랐다. 그동안 신문 칼럼에서만 읽었던 백영옥 작가의 글은, 솔직하고 유쾌하면서 페이소스가 있어 좋아했다.

 

마음에 쏙 쏙 들어오는 문장들이 많아서 필사를 제법 했다. 겉표지를 벗기면 빨간색 하드 커버가 나오는데, 책 크기도 한 손에 쥐고 딱 읽기 좋아 늘 들고 다니면 읽었다.

 

화를 내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대목에서 나 자신의 건강하지 못한 분노방출을 반성했다. 이런 걸 좀더 빨리 알았다면 그동안 화가 중금속처럼 몸 속 여기저기에 쌓여 크고 작은 혹들이 되도록 하지는 않았을 텐데. 발가락도 부러지지 않았을 텐데. 그러면 앞으로는 화를 내야 할 상대에게 분출을 어떻게 해야 할까? 폭발하지 않으면서 내가 화가 나서 불편한 상태라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역시 문을 박차고 나아갸 할까? 정답도 없고 한번에 맞는 방법을 찾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여러 번의 시도와 실패를 통해 아프게 배울 수 밖에.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이든 우정이든 '떠날 필요가 없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라는 대목에서 안도감을 느꼈다. 내가 바라는 바로 그런 관계였다. 달이 보이지 않는다고 사라진 것이 아니듯 늘 그 자리에 지지하고 믿고 기다려 주는 그런 자유롭지만 든든한 관계. 결혼 생활을 20년 넘게 하면 그런 관계를 만들 줄 알았는데, 세상 일은 내뜻대로 안되는 게 당연지사라, 남편은 젊을 때보다 떨어짐을 더 힘들어하고 모든 곳에 언제나 함께 있어야 마음을 놓는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함께 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강한 유대를 유지할 수 있다고 믿는 날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내가 이상했던 것이 아니다. 내가 꿈꾸는 관계, 죽기 전에 가질 수 있을까?

 

직업이란 '내'가 아니라 '남'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합당한 대가를 받는 일, 이라는 대목은 우리 딸들에게도 읽혀 주고 싶었다. 자신이 원하는 일을 못하면 패배자라는 사회적 패러다임을 꼬집는 작가의 통쾌한 어법이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직업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한다는 명제가 마음을 따뜻하게 했다.

 

결혼에 대해 작가 자신의 글에서 인용한 긴 문장은 수십 번을 읽었다. 구구절절이 무뤂을 치게 하는 말이다. 하지만 결혼 전 이 문장을 읽었더라도 설마 그 고통이 그렇게까지 심하겠어?, 피식 웃고 말았을 것같다. 결코 경험해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어마어마한 고통과 상처. 만약 다른 사람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상처를 받았다면 좀더 견디기 쉬웠을까? 어떤 부부는 아내보다 남편이 더 많이 참고 견디고, 어떤 부부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기도 한다. 난 왜 훨씬 더 많이 아프고 그래서 더 힘들게 참아야 하는 쪽일까, 하는 질문은 의미가 없을 것이다. 주는 고통을 그 사람으로부터 받기로 내가 결정했으니까. 딸들에게 아무래도 읽어 줘야겠다.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자유가 아니라 '해야 하지만 하지 않을 자유'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 보았다. 성실하다는 것은 해야 할 일을 빠뜨리지 않고 하는 자세이다. '해야 하지만 하지 않을 자유'는 아무래도 번아웃되었을 때, 처방이고 난 아직도 '해야 하는 일을 제대로 해야 하는 노력'이 더 필요한 것 같다.

 

에필로그에서 과거를 바꿀 수도 있다고 보는 관점에 공감했다. 절대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다. 같은 일도 모두 다르게 기억하고 추억한다. 그리고 같은 일을 겪고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 아픔과 상처를 열매와 성숙으로 바꾸는 기적, 그건 지금 이 순간 여기 있는 나만이 할 수 있다.

 

p.56 삶을 야구에 비유하면 나는 이제 홈런을 치겠다는 야망보다는 출루율을 높이기 위해 연습을 거르지 않는 선수가 되고 싶다. 살면서 중요한 건 어쩌면 타율이 아니라 출루율일지도 모른다. 살다보면 좋은 볼을 보고 ‘안타‘를 욕심내기보다, 먼저 출루해 나간 사람을 위해 ‘번트‘를 쳐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안타‘찬스에 ‘번트‘를 칠 수 있는 선수는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한 더 큰 세계를 볼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보는 사람은 종종 다른 사람이 내리지 못하는 판단을 하기도 한다. 야망의 기준이 ‘나‘에서 ‘우리‘로 확장되는 것이다.

누군과와 관계를 시작하는 능력과 그것을 지속시키는 능력은 사실 전혀 별개의 능력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이든 우정이든 ‘떠날 필요가 없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떠날 필요가 없다는 건 무슨 뜻일까. 어쩌면 그것은 진짜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기적인지도 모르겠다. 사람을 가장한 욕망, 우정으로 포장된 필요가 아니라 진짜 감정 말이다. 나는 종종 그런 관계를 꿈꾼다. 모든 곳에 있고, 어디에도 없는 관계, 그리하여 우리 각자의 영혼을 자유롭게 하는 관계를.

한때의 빛나는 재능이 훗날의 아픈 족쇄가 되는 경우를 종종 봐왔다. 자신의 꿈을 직업적인 성취로 이루지 못했다고 꿈이 없다고 좌절할 필요는 없다. 스스로 실패자란 생각은 더더욱 하지 않았으면 한다.

결혼이란 건, 말하자면 앞으로 저 사람이 네게 한 번도 상상해볼 적 없는 온갖 고통을 주게 될 텐데, 그 사람이 주는 다양한 고통과 상처를 네가 참아낼 수 있는지, 그런 고통을 참아낼 정도의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를 네가 판단하고 결정하는 일이 될 거야. 살아가는 동안 상처는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누가 주는 상처를 견딜 것인가는 최소한 네가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선택해야만 해. 그러니까 이 남자가 주는 고통이라면 견디겠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결혼해. 그러면 최소한 덜 불행할 거야. 물론 행복을 장담할 수는 없겠지만. 결국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정직한 말은, 정말로 사랑하지 않는 남자라면 때때로 견디는 일은 상상보다 훨씬 더 힘든 일이 될 거란 얘기야!"

누군가의 성공 뒤엔 누군가의 실패가 있고, 누군가의 웃음 뒤엔 다른 사람의 눈물이 있다. 하지만 인생에 실패한 없다. 그것에서 배우기만 한다면 정말 그렇다. 성공의 관점에서 보면 실패이지만, 성장의 관점에서 보면 성공인 실패도 있다. 나는 이제 거창한 미래의 목표는 세우지 않게 되었다. 어차피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게 삶이란 걸 알아버렸기 때문이다. 작고 소박한 하루하루. 어제보다 조금 더 나은 나. 오늘도 그런 것들을 생각하며 글을 쓴다. 조금씩, 한 발짝씩, 꾸준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aily Book of Positive Quotations (Hardcover)
린다 피콘 지음 / Fairview Pr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he Daily Book of Positive Quotations (매일 읽는 긍정의 한 줄)


지은이: Linda Picone


목차는 없고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일 1 page씩 명언이 나오고 그에 대한 지은이의 해설과 행동 지침이 나온다.


각 장은 제목이 있는데, quotation 문장에서 발췌한 것이 대부분으로 356개 중 반복되는 건 없다.


1월1일을 필사하고 번역을 해 보니 의미가 더 깊게 다가온다.


Little things (제목 사소한 것들)


"One resolution I have made, and try always to keep, is this: To rise above the little things."

 한가지 결심 이것만큼은 항상 지키려고 한다: 사소한 것들을 극복하자.

                                                                                               John Burroughs


The faucet is leaking, we walk out of the house with mismatched socks, we run out of milk,

수도꼭지가 새고, 짝이 안맞는 양말을 신고 집을 나서고, 우유가 떨어지고

we're low on gas, the yard needs mowing, we forget to thaw some meat for dinner-these sorts of

차에 연료가 다 되어 다고, 뜰의 잔디는 너무 자랐고 저녁으로 먹을 고기는 해동하는 것을 잊어 먹는 등 -

trivial issues can pile up to ruin a day. But only if we let them.

이런 종류의 사소한 일들이 쌓여 하루를 망친다. 우리가 그렇게 되도록 내버려 두기만 한다면 말이다.


We can't think big thoughts all the time, but we can keep the little things in perspective and

우리는 항상 큰 생각을 할 수 없지만 사소한 것들은 원거리에서 볼 수 있고 

not let their sheer numbers overwhelm us.

사소한 일들이 수적으로 우리를 압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m going to take a deep breath-maybe even two or three deep breaths- and remind myself that

나는 숨을 깊게 쉬려고 한다- 아마 두 번이나 세 번 쯤- 그리고 자신에게

as annoying as the minor problems of everyday life are, I'm not going to fret about them.

일상생활의 작은 문제들이 그런 것처럼 귀찮게 그런 문제들로 초조해 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상기시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퇴시대 나침반 - 방황하는 직장인을 위한 생애설계
김용현 지음 / 유심(USIM)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학자 조용헌선생님은 직장에서 20념 넘게 일하면 울타리 안에 머물면서 주는 모이에만 의지하며 사는 닭이 되고, 10년 일하고 나오면 급할 때 2~3m는 훌쩍 날아 오를 수 있는 꿩이 될 수 있고, 그 전에 나와서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면 독수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저자는 직장 생활 20년이 되는 해 반퇴를 결정하고 안전하고 튼튼한 울타리에서 벗어나 독수리가 되기를 꿈꾸고 있는 듯하다. 그가 닭에 머무르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미 10년이 되면서부터 온 몸으로 고민하고 성찰했기 때문이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인생의 제 2막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5년 전부터 매일 일기를 썼다는 대목에서 저자의 강한 의지와 지독한 고민의 흔적을 엿볼 수 있었다. 자신에 대해 누구보다 애정을 가지고 관찰하고 탐구했기에 지금은 다른 사람들을 돕겠다고 회사를 박차고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열정과 사명감만으로는 1인 기업가의 길을 걸을 수 없다. 자신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가족들의 신뢰, 그리고 선한 목적 의식에 대한 축복이 보이지 않게 결정을 도왔을 것이다.

 

나도 어느새 제2의 인생을 고민해야 하는 나이이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못하게 될 경우, 무엇을 하면 좋을까? 무엇을 하는가 보다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하지만 할 무언가가 하나라도 있어야지 어떻게가 따라 올 수 있다.

 

일단 나의 내면을 잘 관찰하기 위해 일기를 써 보기로 했다. 힘들면 저자가 제안하는 세 줄 일기라도 시작하자.

 

저자의 말대로 어쩔 수 없는 반퇴가 아니라 내가 선택하는 반퇴를 준비하자.

작성법은 아주 간단하다. 첫 줄은 안 좋았거나 아쉬운 기억, 다음 줄은 가장 좋았던 기억, 마지막 줄은 내일의 짧은 각오를 쓰는 게 전부다. 좋은 감정과 좋지 않은 감정을 쓰는 순서가 기본적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나중에 일목요연하게 하루를 정리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용현 2017-11-18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 가득한 리뷰 감사합니다~ ^^
 
딸에게 건네주는 손때 묻은 책 - 딸들의 삶을 당당하게 세워 주는 엄마의 책읽기 레시피
김항심 지음 / 내일을여는책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딸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딸들과 엄마들에게 강추하고 픈 책. 재미있고 짜릿하고 뭉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