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블 이야기
헬렌 맥도널드 지음, 공경희 옮김 / 판미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미동 출판사의 <메이블 이야기> 서평단으로 

책을 지원받아 쓴 것을 명시합니다.


이 책을 읽고 매라는 우아한 생물과 사랑에 빠졌다

책을 덮은 지 몇 시간 남짓지금도 헬렌이 구긴 종이를 찌르며 싱긋 웃던 메이블을 잊을 수 없다

대부분의 책에서 좋지 않은 역할을 맡는무자비한 맹수인 줄만 알았던 매인데 말이다.



 


사실 책을 읽기 전설명부터 봤을 땐 어린 소녀가 아버지를 잃고 깃털 빠진 어린 매를 키우며 치유되는 힐링 소설인가 했다

알고 보니 그 소녀는 어렸을 적부터 참매에 관심이 많았던 준프로급 매잡이였고 

어린 매는 지독히도 아름다운 생물체였지만.

 

초반부엔 매잡이 아가씨 헬렌이 좀 짜증나기도 했다

아버지를 떠나보낸 사람이 매 때문에 울고는 

저 사람들은 내가 아빠 때문에 울었을 거라 생각할 테니 참 다행이라고 하질 않나 

걸핏하면 메이블의 사소한 행동들에 좋을 대로 의미를 붙이고

메이블과 첫 산책을 나갔을 땐 사람들과 마주하는 게 부담스러워 매를 숨기기까지 했으면서 

나중엔 간신히 보기만 할 뿐 질문도 관심도 표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을 다 읽은 지금여전히 뭐 이런 여자가 다 있나 싶으면서도 

메이블과 헬렌이 서로를 어떻게 의지했는지

헬렌이 얼마나 사려 깊은 여자인 지를 잘 알기 때문에 

그녀를 싫어할 수가 없다이상한 일이다.


이 책엔 동성애아픈 어릴 적 기억주체하지 못하는 삐뚤어진 성격 등으로 마음이 아픈 소설과 화이트 씨와 그의 매 고스도 등장한다

이 둘의 이야기가 헬렌메이블과 함께 진행되는 것이다

화이트 씨는 인간으로부터 외면 받은 자신의 삶을 다시 정상궤도로 올려놓길 원했고

헬렌은 메이블을 날리며 아픔도 함께 날리려 했다

둘의 공통점은 매를 좋아한다는 점과 아웃사이더라는 것

둘 중 하나는 사랑이 좀 뒤틀렸지만.


헬렌은 메이블을 길들임으로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한다

혼자 사는 여자의 적적한 집에 예쁜 매 한 마리가 추가되며 촛불처럼 환해지는 걸 느꼈다

헬렌은 메이블을 돌보며 처음엔 상처에 대한 망각이 그녀를 덮쳤다

어쩌면 나처럼 다른 독자들도 이거 매 이야기잖아어디 치유가 있단거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건 단순히 그 부분에 한정되었을 뿐진입장벽이 높지만 좋은 작품이라고 하고 싶다

흉터를 가렸다고 없어지지 않듯 상처를 잊었다고 없어지진 않는다. 

매이블의 깃털이 쓸고 지나간 헬렌의 상처가 깨끗하게 아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자연을 묘사한 부분을 읽으면서는 숨을 멈추어야 했다

이다지도 아름다운 광경을 눈앞에 그리듯이 담아놓은 헬렌이 존경스러웠던 부분이다

하늘을 둥둥 떠다니는 아기 거미들이 닿일 듯 가까웠다.


헬렌이 나는 매가 되고 있었다.’ 라고 했을 때의 전율은 평생 놓치지 못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