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플러스 원 - 가족이라는 기적
조조 모예스 지음, 오정아 옮김 / 살림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혹시 `미 비포 유` 라는 소설을 아시는가? 소설에 한해 같은 작가라고 해서 똑같은 가치가 있다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작가 때문에 이 책을 골랐다는 걸 시인한다. `미 비포 유` 라는 책은 나에게 특별하다. 결말을 누군가에게 미리 통보받고서도 읽은 책은 처음인데다 당연히 결말을 알면서도 심각한 충격에 빠지게 한 책도 처음이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엔 조조 모예스라는 영국 작가가 발표한 많은 책들이 어서 번역되길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원 플러스 원`은 `태양을 기다리는 아이들` 과도 흡사하다. 왠지 전에 소개한 태양을 건너는 아이들과 제목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이야기란 걸 알린다. 이 두 책은 가족을 다루고 있다. 어딘가 모자라고 삐뚤어져 행복과는 거리가 먼 가족들을. 외부에서 온 멋진 이방인들로 인해 비로소 행복해 지고 새로운 가정을 이루는 모습을 찬찬히 읽다 보면 웃음도 나고 눈물도 난다.

매력적인 싱글맘 제스와 다행히 반항적이지 않은 괴짜 니키, 두 살 때부터 숫자를 갖고 놀았다는 탠지. 그리고 뚱뚱하고 냄새나는 개 노먼까지 이 비범한 가족 구성원들은 각자 개성이 넘친다. 여기에 추가된 이방인은 미인계에 넘어가 `내부자거래` 를 행한 에드다. 특이하게도 모든 등장인물들은 보통 별명으로 등장한다. 에드가 매력적인 목소리로 제스를 `제시카 레이 토머스` -혹은 그냥 `골칫덩이`- 라고 부르는 경우는 예외로 친다.

자신의 재능을 주체하지 못하고 사립학교 정문을 넘어선 탠지에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 전에도 문제가 많은 가족이긴 했지만 저런 상황까지 악화되진 않았기에 출발점은 그 시점으로 정하자. 제스는 탠지를 위해 잘 굴러가지도 않고 쥐똥으로 뒤덮힌 차를 끌고 스코틀랜드로 갈 생각을 한다. 그냥 생각만 했다면 좋았겠지만 골칫덩이 여자는 잘 하지도 못하는 운전을 하다 5000파운드의 벌금을 문다. 여기서 이야기가 끝났다면 섭섭했을 것이다. 인간성이라곤 없는 에드가 난데없이 등장해 경찰을 방해하며 방금 벌금을 문 범죄자 가족을 스코틀랜드로 데려다 줄 생각을 하지 않았다면 이야기는 그 곳에서 끝났을 것이다.

두꺼운 굵기만큼 알찬 내용을 자랑하는 이 책은 등장인물 각자가 안고 있던 무언가의 응어리를 없애 주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족을 버린 남편에게 아직 희망이 있다고 믿는 낙천주의 제스가 몰랐다면 더 좋았을 것을 알게 되는 과정이나 이웃집 못된 애들에게 맞는 니키가 자신의 개성을 없애지 않으면서 타인과 어울리게 되는 이야기. 각각 따로따로 책으로 냈어도 완성도 높은 스토리다. 하지만 가족이기에 함께 있는 모습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다만 조금 걱정되는 점은 미 비포 유처럼 원 플러스 원도 남녀 간의 사랑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뭐 이 두 책만 본다면 -책 속의 시간에서 만큼은 재력을 자랑하는 윌과 에드를 빼곤-각각 독립적인 이야기이지만, 좀 더 시간이 흐른 후 옆나라 프랑스의 기욤 뮈소처럼 비슷한 책들만 쏟아진다면 안타까울 것 같다. 이런 생각은 괜찮은 작가를 발견할 때마다 드는 생각이긴 한데, 좋은 재능을 갖고 있는 작가인 만큼 좀 더 좋은 작품을 기대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가 언젠가는 해낼 거라고, 나는 믿는다.˝

이 문장은 니키의 여동생이자 제스의 딸인 탠지가 니키의 블로그를 `슬쩍` 해서 쓴 글 중 마음에 드는 문장을 내가 `슬쩍` 한 것이다. 이 문장은 당연한 듯 보이지만 어찌 보면 복잡한데, 안 물어올 것을 알면서도 탠지가 노먼에게 공을 계속해서 던지는 것. 그리고 대수의 법칙과 결합한 확률 법칙이라는 외계어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러시아어쯤은 되는 이상한 말에 의해 증명된다. 난 러시아어를 잘 알진 못하지만 이 문제 많은 가족이 저 말을 진심으로 믿기까지 걸린 시간을 지켜봐 온 독자로써 진심으로 이 가족이 행복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