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록 5.18 광주민중항쟁
김영택 외 지음 / 창작시대 / 1996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 다시 나오지 않는가요? 5.18 당시 동아일보 기자로서 광주에서 취재한 책으로서 매우 소중한 기록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클베리 핀의 모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
마크 트웨인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허클베리핀의 모험'을 아끼고 사랑한다. 그러나 민음사의 번역본을 읽을 때마다 거슬리는 게 있다. 지금이 2014년이고, 민음사에서 이 책이 나온 것 1998년이니까 번역된 지가 17년 정도 지난 책인데, 전혀 고쳐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뿐이다. 고친 게 있기는  있다. 그건 내용이 아니고 표지다.

 

이 책에 나오는 흑인 노예 짐의 이야기를 번역한 부분을(24쪽) 일부 소개하겠다.

"어이- 누구냥께? 어디 있는 거여? 분명히 무슨 소리가 나기는 났는디 말이여. 옳지, 어떻게 할낀지 알았지라우. 이렇게 하면 되겄제. 내 여기 주저앉아서 다시 한번 그 소릴 들을 때꺼정 귀를 기울이고 있을 거구먼"

나는 이 작품을 번역하면서 번역자가 미국에서 차별의 대명사인 흑인(작품에서의 신분은 노예)의 말투를 왜 이런 말투로 번역할 생각을 했는지 궁금하다.

 

나는 문학의 위대성을 믿는다. 동서고금을 관통하는 인류애와 인간의 심성에 뿌리 내리고 있는 선한 양심과 사랑을 표현하는데 문학만큼 아름답고 힘있는 매체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하더라도 그 작품을 번역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본다. 번역은 어느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고 치환하는 기계적인 작업과는 다르다. 작품 번역을 고유의 창작활동이라고 인정하더라도 사회에서 가장 하층에 있던 흑인 노예의 말투를 번역함에 있어서 어느 특정 지역의 말투를 사용한다면 그리고 그 번역을 읽는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고, 또 어느 지역을 비하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면 그 번역은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나는 이렇게 생각하면서, 번역자와 출판사에 정식으로 요구하고자 한다. 민음사의 "허클베리핀의 모험"은 번역에 문제가 있으니 바꿔주기 바란다. 흑인 노예의 말투를 경상도 말투, 제주도 말투, 강원도 말투, 함경도 말투 등등 어떤 말투로 번역을 하더라고 항의를 면치 못할 것이다. 그럴 때는 차라리 표준어로 쓰되 무식한 느낌이 나도록 문체를 바꾸면 될 것이다. 아니라면 굳이 흑인들의 말투를 한국의 어느 지방의 말투로 치환할 수 있다는 생각자체를 버려야 하지 않겠는가?

 

2011년으로 기억되는데, 그 해는 마크트웨인 100주기가 되는 해였다. 미국의 한 출판사가 이 해를 기념해서 마크트웨인의 대표작들을 묶으면서 소설 속에 나오는 인종차별적 용어들을 모두 바꾸었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예를 들면 "허클베리핀..."에는 흑인을 멸시하는 '검둥이(nigger)'라는 말이 219차례 나온다고 한다. 이걸 모두 '노예'로 바꾸는 식이다. 인디언을 낮춰 부르는 인전(Injun)은 인디언(Indian)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1982년에 미국 버지니아주 한 중학교는 "허클베리핀..."을 인종차별적 쓰레기라며 도서관 반입을 금지한 사실도 있다.

 

시대는 변하고 가치관도 변한다. 100년이 지난 작품에 나오는 단어가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작가의 동의를 구할 수 없다는 핑게를(작가가 죽었으니 어쩔수 없다는 등) 대지하지 않고 과감하게 단어를 바꾸는 출판사의 용기에 찬사를 보낸다. 김욱동 선생의 번역본이 다시 새롭게 단장을 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내용까지 새롭게 태어나는 날은 언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클베리 핀의 모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
마크 트웨인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인 노예 짐의 말투를 전라도, 충청도 사투리를 뒤섞은 말투로 해석한 것은 수정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몇 번 지적을 했는데 표지만 바꾸고 번역은 그대로 둔 것은 무성의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로서의 5.18 - 1 - 광주사태의 발단과 유언비어 역사로서의 5.18 1
김대령 지음 / 비봉출판사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전두환이 누구인지 광주시민이 아무도 몰랐다? 그리고 당시의 개헌반대가 직선제 반대였다고? 신군부의 이원집정제에 대한 반대가 아니고? 아! 슬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동이와 영팔이 1 한국만화걸작선
방영진 지음 / 한국만화영상진흥원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2003년 5월에 <약동이와 영팔이>가 복간되었다. 총 40권으로 구성된 원작 가운데서 1권부터 3권까지를  한 권으로 묶어서 낸 책이었다. <라이파이>이후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는 1960년대 초반의 작품을 서점에서 만난 감동은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다!  한 권으로 된 <약동이와 영팔이>를 보면서 나머지 작품 37권은 영영 구경할 수 없는 것인가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약동이와 영팔이>를 한 시도 잊은 적이 없는데, 며칠 전에 도서를 검색하다가 이 책이 다시 복간된 사실을 알게되었다. 그것도 1권부터 20권까의 내용을 5권으로 묶어서 나온 것이다! 아!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2003년 5월에 처음 복간본이 나온 후로 벌써 10년 세월이 흘렀는데  기다린 보람이 있었다. 5권이 집으로 배달되었다! 나는 그날 저녁부터 이 작품을 읽기 시작했다. 하루에 한 권 속도로 5일을 읽었는데, 너무 아까운 내용이라서 20일 계획으로 읽을 걸! 하고 후회도 들었으나 책을 덮어두고 기다릴 수가 없었다.

 

이 작품은 1962년 부터 3년간 방영진 선생이 그려낸 역작이다. 네명의 시골학생들이 서울에 올라와 고학을 하면서  우정을 나누고, 성장하는 학생만화인데 시골 마을과 학교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 그리고 서울로 전학을 가서 네 명의 친구들이 겪게되는 흥미 진진한 이야기들이 손에 땀을 쥐게한다. 때로는 웃음을 때로는 눈물을 선사한다. 특히 이 만화가 재미있는 이유는 60년대 70년대 학교를 다녔던 독자들의 추억을 아주 꼼꼼하게 보여준다는 데에 있지 않을까?

 

낮에는 학교에 다니면서 밤과 새벽 시간을 내서 신문배달,  땅콩장사, 과외지도를 하는 고등학생들의 이야기가 마치 드라마를 보는 것처럼 리얼하게 펼쳐진다. 고생 고생 하면서도 밤을 세워 공부하고 편안하게 잘 지낸다고 걱정 마라고 긴긴 사연을 담아 편지를 보내 시골 부모님을 안심시킨다. 자신들의 학비를 스스로 벌어가면서 공부하는 주인공들! 요즘의 청소년들과 얼마나 다른가! 당번을 정해서 아침 식사를 짓고, 연탄을 갈고, 돈을 아껴서 콩나물 국을 끓이고, 체력 단련을 위해 시간을 낸다. 그러는 가운데에서도 사랑은 말없이 싹이 트고 무르익어 간다.  첫사랑의 마음들은 당시의 세태가 그랬듯이(갑돌이와 갑순이 노래 가사처럼) 말없이 그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질 뿐이지만 독자들은 다 느낄 수 있다. 서투른듯 꾸밈없지만 순수한 사랑이야 어느 시대라고 다를 것인가!

 

이 만화가 진정 재미있는 이유는 또 있다. 그것은 요즘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지만 60년대 70년대 중학교과 고등학교의 생활 모습을 영화보듯이 리얼하게 묘사해 준다는 데에 있다. 그렇다고 해서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같은 방식은 아니다. 사랑을 주 테마로 잡고 끊임없이 치고 박고 방황하는 그런 이야기는 없다.

서울의 명문 북성고등학교에 합격하기 위해서 네 명의 친구들이 밤을 새워 공부하고, 서로 모르는 내용을 도와주는 모습이 참 좋았다. 드디어 네 명이 모두 다 북성고에 입학을 하고, 새로운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특히 클럽활동을 중심으로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많이 소개된다. 육상부, 당수부, 유도부, 레슬링부를 중심으로 한 훈련 이야기, 선배와 후배들이 서로 우정과 사랑을 주고 받는 이야기들이 눈물겹다. 훈련을 할 때는 매섭게 몰아붙이지만 어려운 일이 있으면 나서서 도와주고, 불의를 보면 힘을 합해서 물리치는 이야기들. 마라톤 대회가 열리는 날 훌쭉이가 선수로 뛰게 되는 장면이 있는데, 마라톤 대회 부분은 마치 현장 중계차를 따라가는 듯한 착각마져 불려 일으킨다!

 

바라기는 나머지 2부도 곧 복간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세대를 넘어서 두고 두고 읽히는 만화가 흔치 않기 때문에 이런 작품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이번에 먼저 1부를 복간한다."했으니 2부에 대한 기대도 헛되지 않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