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역사가들이 우리에게 전하려고 했던 생각과 감정을 듣고 느껴봄으로써 역사가 무엇인지 밝히는 데 도움될 실마리를 찾아보려 했을 뿐이다. - P5

역사가 무엇인지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당연히 역사의 역사를 들여다보아야 한다. - P6

사피엔스의 여러 능력 중에서 단연 빛나는 것은 의사소통 능력이고, 의사소통의 가장 중요한 수단은 언어다. - P13

‘사실의 기록‘은 역사 서술의 필요 조건일 뿐이다. - P14

역사는 사실을 기록하는 데서 출발해 과학을 껴안으며 예술로 완성된다. - P16

나는 들은 것을 전할 의무는 있지만, 들은 것을 다 믿을 의무는 없으며, 이 말은 책 전체에 적용된다. (학생,학부모 상담 시 유용할듯!!) - P41

제레드 다이아몬드와 유발 하라리는 헤로도토스의 길을 따랐다. - P46

처음에 가졌던 시각과 해석에 맞지 않을 때는 시각과 해석을 변경하고 달라진 시각과 해석에 비추어 사실을 다시 조사하면서 원고를 거듭 수정했다. - P47

우리가 옛 역사서를 읽는 것은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남긴 이야기에서 우리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P52

교류가 전혀 없었던 두 문명에서 비슷한 때 본격적인 역사서가 처음으로 등장했다는 사실을 과거를 기억함으로써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려는 욕망이 우리 인ㄹ의 본성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 P59

인간은 이성을 가졌지만 욕망과 검정에 휘둘리는 불완전한 존재이고, 사회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언제 어디서나 모순과 부조리가 넘쳐 나며, 개인의 삶은 예측할 수 없는 행운과 불운에 흔들린다. - P65

[사기]에서 우리는 사람답고 훌륭한 삶을 추구하면서도 부질없는 욕망과 야수 같은 충동에 휘둘리는 인간 존재의 모순을 발견한다. - P70

인물과 사건이 역사의 뼈와 살이라면, 제도와 문화는 혈관과 신경이다. (역사 지도 시 참고하자!) - P75

역사 서술에는 ‘발전‘이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미있을 것 같아사 자발적인 동기로 임하면 같은 일도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을 톰 소여 효과라고 불렀습니다. - P139

같은 일에도 앞선 경험과 질문이 어떠냐에 따라 그 일의 가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즉, 무슨 일이든 그것을 하게끔 가치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P140

누군가 먼저 하면 나머지도 맹목적으로 따라하다 자멸을 초래하는 것을 레밍 증후근(lemming syndrome)이라고 합니다. - P145

경쟁자가 많을수록 경쟁하려는 동기가 떨어지는 것을 N효과라고 하는데, 이때 N은 수를 의미합니다. - P152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우리 몸에서는 코르티솔이라는 스트레스 대응 호르몬이 나옵니다. - P158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계산할 때는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의 능력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는 반면 그에 대한 비용이나 시간은 과소평가하기 마련입니다. (학생 지도에 활용 가능하겠다.) - P165

개별적으로 쉬었을 때와는 달리 팀원이 함께 쉬자 다들 휴게실에서 더 많이 수다를 떨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 P171

사소한 대화 속에 중요한 정보가 녹아들고, 새로운 아이디어도 나오는 법입니다. - P172

어떤 일의 실행률을 높이려면 기한을 정하는 게 낫다는 것입니다. - P176

각자 가지고 있는 생체리듬이 쉽게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신체시계와 다른 리듬으로 생활하게 되면 피로감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 P188

인간의 두뇌는 편안함을 안전한 것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새롭고 어려운 것을 대하면 두려움과 불편한 마음부터 생깁니다. (학생들에게 제시해보자!!) - P195

아무리 사소한 환경 변화라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그 결과를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되는 말입니다. - P196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더라도 무지나 무능으로 인해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을 ‘더닝 크루거 효과‘라고 부릅니다. - P204

극단적이거나 이례적인 결과는 평균 방향으로 되돌아 오는 경향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 P209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꺼리는 이 현상을 ‘스놉 효과‘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 P219

인간의 뇌가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내가 관심 있는 것 외에는 들리지도 않고 보이지도 않으며 듣고 싶은 것만 더 잘 들을 수 있는 것입니다. - P228

사람들은 사물을 바라보거나 해석할 때 인식의 틀 즉, 자신의 가치와 관점에 따라 그 해석을 다르게 합니다. 이것을 ‘프레이밍 이론‘ 우리말로는 틀짓기 이론이라고 부릅니다. - P234

무사히 마친 일들은 기억에 잘 남지 않습니다. 하지만 손해를 보거나 재수 없게 일어난 일들은 또렷하게 기억에 남습니다. 이것을 ‘선택적 기억‘이라고 부릅니다. - P239

본전이 아까워서 했던 선택이 다른 손실을 가져오더라도 우리는 손실보다는 매몰비용에 더 집착하게 됩니다. - P245

과도하게 많은 선택의 상황 속에서 이도 저도 결정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빗대어 햄릿 증후군이라고 한다. (정보의 홍수로 인해서...) - P252

사람들은 정서 예측을 통해 실제보다 과장된 감정을 예측하는 오류를 범합니다. 그 일이 닥치기 전에는 과도하게 기대하거나 걱정하지만, 막상 실제로 맞닥뜨린 행복이나 불행은 훨씬 더 강도가 약합니다. (학생들에게 두려워하지만 말고 시도해보면 막상 어렵지 않다는 것을 깨닫도록, 뇌의 편안함 추구를 설명하자.) - P266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을 묶어서 생각하는 것으로, 전혀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원인으로 착각하는 것을 착각적 인과관계(illusory causality) - P275

"무엇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닙다. 그 결과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비물질적인 항목에 주로 응답한 반면,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은 소유와 관련된 항목에 응답했습니다. - P281

지금으로부터 20년 뒤, 당신은 한 일보다 하지 않은 일로 후회하게 될 것이다. 닻줄을 풀고, 안전한 항구에서 나와 항해를 시작하라. 탐험하고 꿈꾸고 발견하라." 마크 트웨인 - P287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인 특징을 자신만의 특징으로 여기는 경향을 ‘포러 효과‘라고 부릅니다. - P291

사람들은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믿음이나 신념에 비춰 그것에 반대되는 증거보다는 지지하는 증거를 더 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심리학에서는 ‘확증 편향‘이라고 합니다. - P294

소문은 전달 내용이 중요할수록, 그리고 상황이 불확실하면 할수록 강도가 더 강해진다는 것입니다. 결국 우리는 불안할수록 소문에 민감해지고 믿고 싶은 것을 믿게 되는 것입니다. - P313

어떤 부정적인 정보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다른 긍정적인 정보보다 부정적인 것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데, 이것을 부정성 효과라고 부릅니다. - P3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강한 사회에서 침묵은 금이 아니라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 P28

고슴도치 딜레마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온기를 나눌 수 있는 ‘적당한 거리‘를 찾는 것입니다. - P33

최근에는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직접 눈을 보고 말을 나누는 기회가 적어지다 보니 공감 능력 또한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존재를 이해하고 싶다면 "그림 한 점, 소설 한 편이 어떤 과학 연구보다 더 많은 사실을 보여 준다." 빅토어 바이스코프 - P12

지식과 무지를 저울에 달아 보면 지식은 조금도 눈금을 움직이지 못하겠군! - P27

그런데 말이야, 나한테 발견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교과서가 하나라도 있는지 보여 줘 볼래? - P28

무수히 많은 하찮은 사람이 과학이라는 거대한 체계에 작은 벽돌 하나를 보태는 게 고작이다. - P31

앎과 이해는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무언가를 아는 상태는 수동적이다. 그러나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상태는 능동적이다. - P32

저는 과학자들이 자신이 무엇을 한다고 말하느냐 또는 과학이 무엇이라고 말하느냐를 알고 싶은 게 아닙니다. 오히려 과학자들이 실제로 무엇을 하느냐, 그리고 어떻게 하느냐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체주의는 독립적으로 자생하는 하나의 이념이라기보다는, 사실 경제적 위기가 발생시키는 하나의 병리 현상으로 보인다. - P306

결론적으로 말해, 전체주의의 부도덕성과 자연권의 침해 관점에서 볼 때, 그동안 윤리적 담론에서 우위를 점유했던 진보의 견해는 실제로는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으며 부도덕한 주장이 되는 것이다. - P314

사실명제를 탐구하는 학문은 과학이고, 당위명제를 탐구하는 학문은 윤리다. - P342

윤리적 판단은 실제의 세계가 어떠한지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 P343

의무론자는 결과는 신경 쓰지 말고 과정과 절차를 감시할 것을 당신에게 요구했다. 목적론자는 절차나 과정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모두가 원하는 결과를 파악해서 문제를 해결할 것을 당신에게 요구했다. - P3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