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중학년 책가방 동시 - 섬진강 작은 학교
김용택 엮음, 우연이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섬진강 작은학교 김용택 선생님이 챙겨주신 <중학년 책가방 동시>는  김용택 선생님이 시를 고르시면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시려고 많이 노력하셨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했다. 둘째와 본 <저학년 동시>와는 또다른 맛이 난다. 좀더 생각해야 되는 부분도 들어 있고,  아이들이 시를 읽으면서 시의  배경에 대해 설명을 통해 새로이 알게 되는 부분도 있었다. 

애기의 새벽

우리 집에는 
닭도 없단다
다만
애기가 젖달라 울어서
새벽이 된다

우리 집에는 
시계도 없단다
다만
애기가 젖달라 보채어 
새벽이 된다.

미처 알지 못했던 윤동주 시인의 시였다.  예전에는 주로 닭의 울음 소리로 날이 새는 것을 알았는데, 이 집은 너무나 가난해서 시계는커녕 닭도 없었다. 애기가 배가 고파 젖달라 보채면 새벽이 된다는 것은 이 집이 얼마나 가난했는지 그 단면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사실 일제 강점기때 우리 나라 사람들은 다 이렇게 가난했다. 특히 간도쪽으로 이주해 살아갔던 이들은 더 그러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아픈 현실이 이렇게 동시 하나에 다 들어가있었다.

아이랑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도 가슴이 뭉클하고 아려왔다. 그 시절 얼마나 아프고 힘들었을까? 지금 이렇게 편안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나는 감사해야 한다!

아이의 마음을 어찌나 잘 표현했는지 저절로 공감이 갔던 시도 있었다.

개구쟁이
- 문삼석

개구쟁이래도 좋구요,
말썽꾸러기래도 좋은데요,
엄마,
제발 "하지마, 하지마"하지 마세요.
그럼 웬일인지
자꾸만 더 하고 싶거든요.

꿀밤을 주셔도 좋구요,
엉덩일 두들겨도 좋은데요,
엄마,
제발 '못 살아, 못 살아' 하지 마세요
엄마가 못 살면
난 정말 못 살겠거든요  

부모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이렇게 아이에게 영향을 끼치는 데, 정말 우리 부모들은 말을 조심해야 한다.
하지마 하지마 하면 더 하고 싶어지고, 엄마가 못 살면 난 정말 못 살겠다는 아이의 심정을 어쩜 이리 잘 표현하셨을까? 
이 시는 김용택 선생님도 가장 좋아하는 동시라고 적어놓으셨다. 이렇게 실감나게 우리 어린이들의 마음을 표현한 동시도 드물다고 같이 적어놓으셨다. 나도 전적으로 동감이다!

이 시외에도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아지게 된 동시가 있다. 문삼석 시인의 시였다. 아무래도 문삼석 시인의 시를 계속 찾아봐야 할 것 같은 예감이 든다.

바람과 빈 병

바람이 
숲 속에 버려진 빈 병을 보았습니다.

"쓸쓸할 거야"

바람은 함께 놀아주려고
빈 병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병은
기분이 좋았습니다.

"보오 보오"

맑은 소리로
휘파람을 불었습니다

좋은 동시 한 편은 아이들의 마음을 곱게 만들어주고, 세상을 보는 눈을 착하게 만들어준다. 새삼 아이들에게 동시를 자주 읽혀야겠다고 나는 생각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kdckdtjd 2010-03-29 2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zzz
























































 
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고학년 책가방 동시 - 섬진강 작은 학교
김용택 엮음, 오동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책가방 동시 중에서 고학년 파트이다. 그래서 그런지 동시 길이도 제법 길고 생각할 꺼리도 있다.  아마도 아이들이 읽어낼 만한 길이와 고학년 수준에 맞게 생각해야 하는 것들까지 고려해서 동시를 선정하신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동시마다 울림이 있고, 아이들과 읽기에 너무나 아름답고 또 너무나 뭉클하고 공감가는 동시들이 참으로 많이 있다.  또 선생님이 붙여주신 설명을 읽으면서 아이들과  잔잔한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빗방울의 발 

바닥으로 떨어지는 
소리만 들어 보아도
나는 안다

빗방울 방울마마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발 한 개씨을 달고 있다

또닥또닥 똑똑똑 탁탁탁
투덕투덕 
발소리.

드디어 증거를 찾아냈다.
화분 궁둥이 궁둥이마다 
흙이 잔뜩 튀었다

비 온 지난 밤 사이
발로 탕탕탕 물탕을 튀기며 
돌아다녀서

맨발로 탕탕탕 
돌아다녀서. 


빗방울에 발이 달렸다는 것을 생각하면 정말 기발하고 재미있다. 


조그만 씨앗 속에  - 김구연 

조그만 씨앗 속에 
어쩜 그리도 많은 것이 
들어 있을까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조그만 씨앗 속에
어쩜 그리도 큰 것이 들어있을까
고추 호박 참외 수박

조그만 씨앗 속에 
어쩜 그리도 많은 무지개
어여쁜 빛깔이
들고 또 들었을까?

이 시에 대해 읽으면서 같이 읽게 된 김용택 선생님이 쓰신 감상글은 이 시를 읽으면서 더욱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

섬진강 댐이라는 인공호수에서 7년 동안 물에 잠겨있었던 풀씨, 물이 빠지기가  바쁘게 물 빠진 자리에 파랗게 돋아난 풀을 보면서 선생님은 무척 놀래셨다고 한다  물 속에서 풀씨들이 썩지 않고 살아있었다는 것, 그리고 물이 빠지자마자 힘있게 싹을 틔웠다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놀랍지요, 그 조그만 것들의 생명력에 나는 놀랍니다. 그 작은 풀씨가 새봄이 되면 싹을 튀우고 꽃을 피우는 것을 보면서 생명의 신비함과 끈질김과 아름다움을 함께 느낄 수 있습니다"
-p39

아이랑 시를 읽으면서 옆 감상글도 같이 읽으니 시의 속내도 더 잘 느낄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 생각하니? - 마음을 키워주는 책 2
이규경 글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너 생각하니? 참 당돌한 질문이다. 그런데 그 당돌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꺼내보게 된 것은 너무나 책이 예쁘기 때문이었다. 액자처럼 만들어진 표지의 그림이 앙징맞고, 펼쳐 본 순간 그림과 글의 아름다운 어울림이 더 그랬다.

이 책의 저자는 어린이을 위한 <짧은 동화 긴 생각>을 쓰신 분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가 이 책 또한 글밥은 적지만, 그림과 함께 녹아져있는 글에서 주는 울림은 진폭이 크다. 제목을 붙이자면 짧막한 글 긴 생각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어린이들만이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이 책에서 주는 공감대가 크다. 하나하나 읽어가면서 내 마음을 맑게 해야겠구나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니 말이다. 

내 잘못
- 남의 잘못은 잘 보면서 내 잘못은 잘 보지 못하는 이유를 이제 알았다. 사람들은 모두 자기 잘못을 가슴에 안고 다니지 않고 등에 지고 다니기 때문이다. 


남을 보고
- 남의 새 신발을 보고 내 헌 신발을 내려다보듯이 
남의 불룩한 호주머니를 보고 내 빈 호주머니를 만져 보듯이
남의 깨끗한 마음을 보고 내 때 묻은 마음을 들여다보자
남의 넓은 마음을 보고 내 좁은 마음을 들여다보자 

마주쳐서 좋은 것
- 마주쳐서 좋은 것은 다정한 눈빛이다.
손뼉이다 사랑이다
마주쳐서 좋은 건 반가운 얼굴이다.
좋은 대화다  같은 생각이다

꽃나무
- 싹트는 것을 보면 안다
작은 씨앗 하나가 얼마나 많은 희망을 가지고 있었는지
뿌리 내리는 것 보면 안다
가는 뿌리 하나가 얼마나 많은 노력을 가지고 있었는지
꽃 피는 것 보면 안다
가는 줄기 하나가 얼마나 많은 꿈을 가지고 있었는지 

하나하나 읽어내려가다보면 귀여운 그림에 빙그레 웃음도 나고, 또 마구마구 가슴 한 구석이 찔리기도 하고. 유쾌하기도 하고 그렇다.

두고두고 읽어도 좋고, 마음이 아플 때, 때로 힘내고 싶고 누군가에 응원을 받고 싶을때, 마음이 맑아지고 싶을 때 읽으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읽는 도깨비 - 책귀신 1
처음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책 읽는 도깨비라. 왠지 책을 읽는다는 것만으로도 도깨비에게 점수를 주고 싶다니... ^^ 
우리네 옛이야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인 도깨비, 때로는 무섭게 때로는 엉성하게 나오는 익살스런 도깨비가 여기에서는 학구적인 도깨비로 변신을 꾀한다.  고리짝 도깨비는 고리짝에서 나온 도깨비에요. 돈 냄새를 맡기를 좋아하고, 그래서 돈을 여기저기서 모아오지요.그래서 나무의 밑동에 난 굴에 넣어놓습니다. 어느날 빗자루도깨비와 공책 도깨비가 놀러옵니다. 공책 도깨비는 심심하면 글씨를 쓰고, 또 글을 읽습니다.
"바둑아 이리와 나하고 놀자
영이야 이리와  나하고 놀자
철수야 이리와 나하고 놀자"

돈 냄새를 맡고 개들이 짖어대자 고리짝 도깨비는 밤새 한숨도 못잡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이사가자고 이야기하자 공책 도깨비는 상황 상황마다 사람들 속담도 인용해가면서 고리짝 도깨비에게 말을 하는데, 정작 고리짝도깨비는 아무 것도 이해를 못하겠는거에요. 그래서 너무 답답해합니다.

드디어 호수가 훤히 보이는 공원에서 좋은 집을 찾아 이사를 온 세 도깨비들은 공원 생활을 즐깁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다시 개들이 짖어대서 새로운 자리를 찾으러 떠납니다. 명당을 발견한 이들은 각종 훼방작전으로 사람들이 그 땅을 떠나게 하려고 노력하다가 그만 선비한테 딱 걸리지요. 선비는 도깨비의 작전이란 것을 알고 도깨비와 내기를 합니다. 그래서 도깨비들은 정답을 찾기 위해 세종대왕에게까지 가서 묻지요. 안경까지 쓰고 계속 책 속에 파묻혀있는   세종대왕은 그와중에도 도깨비들에게 책을 사다달라고 부탁하지요.  그래서 서점을 생전 처음 가본 도깨비들은 책방을 가는 기쁨과 책을 사는 기쁨을 알게 됩니다. 더불어 책을 읽는 기쁨까지도요^^ 
땅을 선비에게 양보하고나서는 열심히 열심히 책을 읽기 시작한 도깨비들은 서로 경쟁이라도 하는 듯 책을 읽습니다. 물론 책을 읽다가 문제의 답도 스스로 찾았고요.

인통불고금이면 마우이금거니라- -사람이 고금(古今)을 알지 못하면 마소에 옷을 입힌 것과 같다. 

그래서 더더욱 책을 많이 읽게되는 도깨비들은 선비에게 땅도 양보하고, 또 도서관 지을 돈도 가져다주지요. 그래서 선비는 건물 맨 위에 통나무로 된 으슥하고 어두운 다락방을 만들었답니다. 물론 도깨비들을 위한 것이었지요^^  도서관 이름도 책읽는 도깨비 도서관! 


도서관 한 구석에 킬킬거리며 읽고 있는 도깨비 셋과 사람들 생각하니 약간 오싹(?)하기도 하고 우습기도 하네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도 책읽는 기쁨을 많이 맛보았으면 좋겠어요.
아참 엄마들은 잊지 않아야 할 것이 있군요. "책방가는 기쁨, 책 사는 기쁨"을 아이들에게 줘야 한다는 것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록달록 공화국 2 - 아이들만 사는 세상
알렉상드르 자르뎅 글, 잉그리드 몽시 그림, 정미애 옮김 / 파랑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 도서 ] 알록달록 공화국 2
알렉상드르 자르뎅(Alexandre Jardin), 잉그리드 몽쉬(Ingrid Monchy), 정미애 | 파랑새어린이(물구나무) | 2009/01/07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보기(15) | 관련 테마보기(7)

등록된 글자수 : 988 글자


알록달록 공화국 2는 앞권과는 조금 다른 시선으로 시작한다. 다프나가 엄마를 찾기 위해 세상(소위 말하는 어른들의 나라)으로 나오는 것으로 말이다. 아이들만 사는 세상인 알록달록 공화국에서 자란 나이가 다 큰 어린이 다프나는 어른들의 사회로 오자 자충우돌하면서 어른 사회를 경험한다. 그런 사회는 알록달록 공화국에서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사회여서 처음엔 다프나는 이해하기조차 어려웠다. 물론 이것은 다프나를 바라보는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런 다프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한 어른 이폴리트의 등장은 또다른 이 책의 묘미이기도 하다. 어른이지만, 자신 속에 있는 어린 시절의 꿈과 마음을 다프나를 통해 찾게 된 이폴리트는 기꺼이 다프나와의 사랑을 위해 알록달록 공화국의 시민이 되기 위해 들어가고 고난도 겪게 된다. 그리고 아이와 같은 마음으로 되돌아간 이폴리트는 알록달록 공화국의 시민(어른 아이?)들과 함께 세상으로 나와 다시금 알록달록 공화국에서 볼 수 있는 순수한 어린이의 모습처럼 사회를 바꾸기로 결심을 한다. 대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알록달록 공화국 아이들은 파리로 오고 성공적으로 그들의 작전을 수행한다.  온 국민이 변화되고, 대통령마저 변화되나 단 한 사람, 줄기차게 어른을 모방해오고 동경해오던 카시미르만이 어른들의 세계를 다시 찾겠노라고 이를 간다. 
에펠탑이 무지개색으로 칠해지고, 오후 4시 반만 되면 식당에 모여 휴식을 즐기고, 각자가 꿈꾸는 것으로 변장해서 만나는 국경일이 제안되어지고, 사람들은 각자 꿈대로 변장하고 모여든다. 천식을 앓던 노인은 잠수복으로 갈아입고 오고, 주름이 쪼글쪼글한 부부는 웨딩드레스를 입고 오고... 그렇게 말이다.

물론 소설은 허구적인 것이다. 그리고 작가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좀더 극적인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소설 또한 그런 의미에서 아이들만의 공화국이라는 극적인 배경이 도입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장치를 도입한 이유는 좀더 작가의 생각이 많은 사람들에게 울림으로 자리잡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때묻지 않은 순수한 유년의 모습을 점점 잃어버리고, 기계화되고 메말라가고, 감정 또한 무미건조해지고 변장하는 어른들의 모습을 말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랬을까?

어린이를 있는 그래도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못하고, 항상 어른의 통제와 권위 아래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감정도 의견도 조정하려고 하는 어른들의 모습에 경종을 울리고 싶었던 것일까?

과연 유년 시절 그대로 존재한다면 그것이 과연 좋은 것인가? 하는 물음표도 던져주고 싶었던 것일까?

어느새 두 권을 연속해서 읽어버렸지만, 생각해야 할 것은 아직도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