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기 한 장 우주나무 그림책 19
정하섭 지음, 정인성.천복주 그림 / 우주나무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자기한장

#정하섭_

#정인성_천복주_그림

#우주나무

 

오랜만에 보는 물레와 베틀, 그리고 실.

<보자기 한 장> 속표지에 있는 그림이다.

이 그림 한 장면이 펼쳐질 이야기를 상상하게 해준다.

옷감과 관련된 것 같고 제목과 이어보면 보자기를 만드는 사람의 이야기일까?

궁금함을 갖고 상상하다 책장을 넘겼다.

 

평생을 옷감 짜는 일로 살아온 할아버지는 솜씨가 좋아

누구나 할아버지가 짠 옷감을 좋아했다.

생을 마감할 날이 다가옴을 느낀 할아버지는 평생 옷감을 짜며 살아온 인생이

큰 어려움 없이 지내온 것 같아 감사했지만

남에게 충분히 베풀며 살지 못한 것 같아 후회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보자기 한 장을 만들기로 했다.

보는 사람에 따라 색깔과 무늬가 달라 보이는 신비한 보자기!

 

할아버지의 영혼이 담긴 노란 보자기는 할아버지의 소망대로

위로가 필요한 우리 주변의 이웃들에게 날아간다.

보자기 안에 담긴 사랑, 배려, 우정, 그리움, 응원, 그리고 희망으로 말미암아

이웃들은 새 힘을 얻고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춥고 외로운 이웃들에게 따순 온기를 전해 준 할아버지의 보자기는

할아버지가 숨을 거둔 이후에도 여전히 바람을 타고 새로운 위로가 필요한

이웃들을 향해 날아갈 것이다.

할아버지의 온기와 함께.

 

가끔씩 들려오는 주변의 외로운 죽음들이 떠오르며

할아버지의 노란 보자기가 더 많아지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할아버지처럼 날릴 수 있는 보자기가 있을까?

내 혼신의 힘을 모아 많은 사람들에게 따뜻한 온기를 전해줄 수 있는

한 장의 보자기를 찾아봐야겠다.

마음이 자꾸 말랑거리고 한없이 착해지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 책이다.

<보자기 한 장>을 읽는 동안에 내 마음에도 할아버지의 노란 보자기에 덮였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미 분식 - 우리 동네 냠냠 쩝쩝 으라차차 할미 분식 1
할미잼 지음 / 트리앤북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미분식

#할미잼__그림

#트리앤북

 

요즘 같은 장마철에 땡기는 음식은

자극적인 매운맛의 떡볶이나 바삭바삭 튀김,

그리고 쫄깃하고 구수한 국물과 함께 먹는 어묵 같은 분식 종류의 음식들이죠.

 

<할미 분식> 간판을 단 푸드 트럭엔

솜씨 좋은 할머니 쉐프가 계시는데 이 할머니의 요리엔 뭔가 특별한 능력이 있어요.

뭔가 실수해서 기분이 꿀꿀할 때,

또는 피로에 찌들어 온몸이 쑤시고 노곤할 때도

매콤한 떡볶이와 튀김, 어묵탕에 할머니의 비법 가루가 뿌려지면

음식이 약으로 변하는 것 같아요.

다들 기분도 좋아지고 새 힘이 나는 걸 보니 말이예요.

 

음식이 곧 보약이다.’ 라는 말이 있지요?

할머니는 음식만 만들어 파는 게 아니라

그 음식을 먹는 사람들의 마음까지 헤아릴 줄 아는 지혜를 가진 분이셨어요.

우리가 아플 때 엄마의 음식을 그리워하는 이유는

내 마음까지 헤아려주고 보살펴 주셨던 엄마의 사랑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잖아요.

 

<할미 분식>이 우리 아파트에서 찾아오면 좋겠네요.

저도 먹고 싶은 할머니의 음식이 있거든요.

음식뿐만이 아니라 내 마음을 보여 드리고 싶은 일이 있어서요.

할머니의 조언과 함께 먹는 분식은 분명히 제게 보약 같은 음식이 될거예요.

 

<할미 분식>!

진짜 외할머니가 해주시는 음식과 말씀 같은 속 편안한 책이니

헛헛하신 분들은 할미 분식으로 따뜻하게 채움받아 보시길 권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콩콩콩콩 달리 창작그림책 4
지영우 지음 / 달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콩콩콩콩

#지영우__그림

#달리

 

<콩콩콩콩>은 텃밭에서 막 따온 듯 싱싱한 초록빛으로 무장한

완두콩 사형제의 여행 모험담을 그려낸 이야기다.

한 꼬투리 속에서 태어나 세상 밖으로 여행을 떠나는 콩콩콩콩 사형제는

예쁜 꽃이 피어있는 마당 텃밭의 봄,

시원한 파도가 넘실대는 바닷가의 여름,

단풍으로 붉게 물든 산의 가을,

눈밭에서 뒹굴며 눈사람을 만드는 겨울을 여행하며

스스로 정착할 곳을 찾아 삶의 자리를 만들어 가는 여정을 그렸다.

작고 귀여운 쪼꼬미들이 등장하는 글과 그림으로 귀여움은 한도 초과,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세상 속으로 스며드는 완두콩들의 당당함이

독자들에게 웃음과 만족감을 선물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맙소사, 책이잖아!
로렌츠 파울리 지음, 미리엄 체델리우스 그림, 이명아 옮김 / 올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맙소사책이잖아

#로렌츠파울리_

#미리엄체델리우스_그림

#이명아_옮김

#올리

 

사람은 죽을 때까지 배워며 사는 벱이여.”

할머니들이 종종 쓰시는 말이다.

인생을 다 알 것 같은 분들이 일상에서 만나게 되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받아들이는 유연한 태도를 보여주는 말이기도 하다.

흔히 아이는 어른에게 뭔가를 배우는 존재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각자의 입장에 따라 관점과 시각이 바뀌는 경험을 선사해주는 책이 있다.

<맙소사, 책이잖아!>는 그림책을 읽으며 경험하게 되는 상상력의 세계가

얼마나 큰 재미를 더해주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글자를 모르는 유리에게 아스페릴라 이모가 책을 읽어주는 모습은

너무 어이가 없어 유리뿐 아니라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맙소사, 책이잖아!” 라는 말을 여러 번 외치게 만든다.

오히려 상상하고, 소리내어 읽으며 내용에 몰입하는 유리를

아스페릴라 이모가 방해하고 있다는 생각에 답답하기도 했다.

 

책이라는 매체는 얼마나 매력적인가!

쥐가 고양이를 잡아먹을 수도 있고,

머리가 셋 달린 공룡을 등장시킬 수도 있고,

집을 지을 수도 있고 부수기도 하고,

쓰는 대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상상의 세계가 가득한 마법의 공간이니 말이다.

 

유리와 아스페릴라 이모를 통해 책이기 때문에 가능한 장면들을 이해하고

각자의 입장에서 달리 보면 달리 보이는 세계를 경험하게 하는

이 책을 통해 읽는 즐거움을 찾아보면 좋겠다.

 

#그림책수업 #어린이책추천 #초등독서 #다양한관점 #비판적사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머니 나무 풀빛 그림 아이
석양정 지음, 조영지 그림 / 풀빛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머니나무

#석양정_

#조영지_그림

#풀빛

#초그신서평단

 

낯익은 재개농이 그려진 표지만 보고도 내용이 짐작이 갔던 책,

<할머니 나무>는 예상대로 포근하고 따뜻한 외할머니를 떠올리게 했다.

석양정 작가의 할머니로부터 이 책이 시작됐다고 한다.

 

뜨개실로 아이들 스웨터며 장갑이며 목도리를 손수 짜 입혔던 할머니는

이제 노년의 고단한 몸을 누이며 주변의 일상적인 물건들을 뜨개실로 연결해 놓았다.

굳이 일어서지 않아도 누워서 당기면 사용할 수 있도록...

보청기가 사라져 대바늘로 자개장 아래를 훑으니 걸려 나오는 게 또 뜨개실이다.

실을 감으며 바라본 자개농 구멍에서 빛이 쏟아져 들어오고

그 빛을 따라 들어가는 할머니......

 

할머니의 인생이 한올한올 짜아 올린 목도리, 장갑 속에 담겨

꽃피는 봄도 만들었고 태풍 몰아치는 여름도 담았으며

기쁨 가득한 가을과 단단한 나이테를 만들어 가는 겨울도 지나게 했다.

그리고 한코한코 연결된 뜨개실은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가 닿아

따숩게 몸과 마음을 데워주었고, 그 온기로 쑤욱쑤욱 자라게 했으니

할머니 손끝에서 얼마나 많은 열매가 맺혔을지는 짐작하고도 남는다.

그 할머니의 단단한 중심이 자손들 대대로 깊이 뿌리 내리고,

어느 날 홀가분하고 하늘로 소풍을 떠날 때

그 열매들은 또 다른 꽃과 열매를 피우며 그 뿌리를 지켜가는 힘이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흘러가는 이치를 다시 깨닫고 돌아보게 한다.

 

우리 엄마, 아빠들의 삶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기에

이 책을 읽고 나면 부모님께 전화하고픈 마음이 생기는 책이었다.

할머니의 이미지처럼 포근하고 따뜻한 그림과 자개농을 보면 떠오르는 추억,

그리고 뜨개실이 전해주는 그 느낌을 오래 기억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