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강아지 고동이 도토리숲 그림책 9
블링문 지음 / 도토리숲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강아지고동이

#블링문__그림

#도토리숲

 

<길강아지 고동이>를 읽고 나니 창밖에 핀 벚꽃이 더 화사해 보인다.

고동이에게 두려움 없이 푹 잠들 수 있는 밤을 선물해 준

블링문 작가님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인 것 같다.

 

누런 고동빛 털을 가진 고동이는 어느 날 주인으로부터 버림받고

길거리를 떠도는 길강아지 신세가 되어 버렸다.

같은 처지인 흰둥이를 만나 외로움을 날려 버리고

서로가 서로의 마음을 나누는 사이가 되었다.

같이 먹고 같이 돌아다니고 같이 잠을 자고....

그러던 일상이 흰둥이가 로드킬을 당하며 깨져 버렸다.

 

고동이는 마음 둘 곳이 아무데도 없다.

깜깜한 밤이 무서워 잠을 자지도 못한다.

그런데 누군가 물그릇도 채워주고 밥그릇도 채워준다.

그리고 밤을 무서워하는 길동이를 위해 전등을 켜준다.

비로소 낮잠만 자던 길동이가 밤잠을 잔다.

 

더 이상 길동이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사람을 피하지 않았다.

조용히,

천천히,

살금살금,

길동이에게 다가온 사람이 바로 작가님이었다.

 

사람과 동물이 서서히 마음을 열고 다가가는 시간이,

서로를 배려하며 따뜻하게 품어주는

사람과 동물의 교감이 따뜻하고 감동적이다.

길동이가 외롭지 않아서 정말 다행이다.

 

제발 자신이 키우던 반려견들 함부로 대하지 말아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더 보이가 된 에그 보이
레이 슈 지음, 신수경 옮김 / 뭉치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더보이가된에그보이

#레이슈_지음

#신수경_옮김

#뭉치

 

최근에 만난 그래픽 노블 <원더 보이가 된 에그 보이>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인 케빈의 일주일 생활을 통해

이민 가정의 고단함과 사회의 차별과 편견을 보여주고

그 과정에서 가족의 사랑을 통해 성장해 가는 케빈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도시락으로 싸간 송화단(냄새가 심한 계란 음식)을 먹고

일명 에그 보이라는 별명으로 친구들의 놀림을 받던 케빈은

겁 많고 소심하며 구석에 들어가 만화 그리는 걸 좋아하는 아이다.

주말엔 엄마를 도와 수선집의 단추 다는 일도 하지만

누나와 다툼이 잦아 엄마의 걱정을 듣기도 하고...

 

에그 보이를 탈출하기 위해 선택한 드래곤 탐험 열차탑승은

케빈을 한 뼘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겁 많고 소심했던 에그 보이케빈이 자신의 상황을 직면하고

용감하게 마주해서 극복해 냄으로써 마침내 원더 보이가 되는

드라마틱한 순간엔 내 일처럼 쾌감이 느껴지기도 했다.

 

이 책에서 에그 보이에서 원더 보이로 변신하는 케빈의 성장도 좋았지만

난 책을 읽는 내내 이민 온 나라에서 남편과 이혼하고

두 아이를 기르며 살아가는 팍팍한 엄마의 삶이 더 다가왔다.

요즘 인기를 얻었던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애순과 관식처럼,

자식들을 위해 자신의 희생을 당연하게 여겼던 우리네 부모들처럼

케빈의 엄마와 할머니도 다를 게 없었다.

모든 부모들의 마음인 걸까?

괜시리 마음이 시리고 아렸다.

그래도 서로 위로하고 걱정하며 따뜻하게 품어주는

가족의 울타리가 있었기에 가능한 시간이었을 게다.

작가의 경험담이라 하니 더 그 상황이 잘 그려지기도 했던 책이다.

흠이라면 활자가 너무 작아 노안으로 읽기 힘들었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은 밤 동물원에서 길벗스쿨 그림책 26
오카다 고 지음, 오카다 치아키 그림, 유지은 옮김 / 길벗스쿨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깊은밤동물원에서

#오카다고_

#오카다치아키_그림

#유지은_옮김

#길벗스쿨

 

어린아이가 엄마를 잃어버렸다면 아무 세상이 무너진 것 같은 느낌일 거예요.

더군다나 깜깜한 밤이라면 더 하겠죠?

<깊은 밤 동물원에서>에 등장하는 아기 생쥐가 그런 상황이랍니다.

아기 생쥐는 얼마나 무섭고 두려울까요?

 

해가 지고 나면 고요하고 아름다운 동물들만의 세상!

맞아요, 바로 동물원입니다.

엄마랑 숲으로 나들이 나갔다가 들뜬 마음에

여기저기 한눈파느라 엄마를 놓치고 말아요.

어마 냄새를 쫓아 들어간 곳이 바로 동물원이었지요.

아기 생쥐는 만나는 동물들에게 용기있게 질문해요.

우리 엄마 봤나요?” 라고요.

 

엄마를 찾아야 한다는 간절함이

자신보다 몇 배나 큰 캥거루, 카피바라, 치타, 코끼리 등에게

말을 걸 수 있었을 거예요.

물론 사자나 호랑이에겐 제대로 말을 걸지 못하기도 했지만요.

주위는 완전히 깜깜해지고

어린 생쥐는 엄마를 만나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사람들로 북적이던 동물원에 밤이 스며들면

비로소 자기들만의 휴식을 즐기던 동물들의 모습도 엿볼 수 있고

색연필로 그려낸 아름다운 그림들로 꽉 채워진 이 책은

아기 생쥐와 함께 한밤중의 동물원 사파리를 누비는 모험을 떠날 수 있어요.

밤의 동물원이 궁금한 친구들이라면 이 책을 만나보세요~~

부부 작가님의 책이라 그런지 더 포근한 느낌이 들기도 해요.

그리고 엄마 손을 놓치면 안되는 거 알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 싫어하면 어떡하지
에바 팔로마르 지음, 노영신 옮김 / dodo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싫어하면어떡하지

#에바팔로마르__그림

#노영신_옮김

#dodo(도도)출판사

 

부끄러움이 너무 많은 아이들을 보면

매사에 자신감이 없어 보이죠.

그래서 조금 안타까울 때가 있는데

그런 아이를 만나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은 책을 한 권 만났어요.

바로 <날 싫어하면 어떡하지>입니다.

 

꼬마 토끼 루페는 부끄러움이 너무 많아

새로 이사 온 집에서 한 발짝도 못 나오고 있어요.

그저 물끄러미 창밖으로 친구들이 노는 모습을 바라볼 뿐이죠.

루페는 친구들이 자신을 싫어할까 봐 걱정하다가

드디어 변신하고 밖으로 나가기로 결심했어요.

곰으로, 멋진 날개를 가진 새로, 낙엽 옷으로 변신해 봤지만

결국 꼬마 토끼라는 자신의 모습을 감출 수는 없었어요.

이런 루페를 발견한 할아버지는 루페에게 어떤 말을 해주셨을까요?

 

친구가 된다는 것은

내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친구의 모습도 그대로 인정하며 받아들일 때 시작되겠지요?

때론 먼저 다가가는 용기도 필요하고

부족한 모습도 부끄럼 없이 나눌 때도 필요해요.

다정한 할아버지의 말씀에 힘을 얻은 루페가 행동했던 것처럼 말이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무 가벼운 아이와 너무 무거운 아이 - 2023 볼로냐 라가치상 어메이징 북셸프 선정작 곰곰그림책
남기림 지음 / 곰곰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가벼운아이와너무무거운아이

#남기림__그림

#곰곰

 

완성이란 늘 새로운 차원의 합을 이루는 과정의 반복이며,

그 일을 혼자 해낼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것.(무루 작가)

 

<너무 가벼운 아이와 너무 무거운 아이>의 추천사를 쓴 무루 작가의 이 문장이

책을 덮는 순간 비로소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하게 해줬어요.

스토리 과정 속에서 살짝 아리송했던 부분들이 남았었는데

뒷표지의 이 추천사를 읽고 아~~하고 공감했답니다.

 

너무 가벼워 바람에 날아갈까 두려운 아이와

너무 무거워 멀리까지 바라볼 수 없는 두 아이는

늘 두 손을 잡고 다니며 서로의 필요를 채워 주지요.

상철 제본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두 아이가 만나도록 만든 것이

책의 물성을 잘 활용하여 편집한 것 같아요.

 

어느 날 거센 바람 탓에 두 아이는 잡고 있던 손을 놓치게 되고

서로의 공간에서 다시 만나기 위한 노력을 해요.

가벼운 아이는 바람에 날린 물건들을 모아 아래로 내려오고

무거운 아이는 땅에 흩어진 물건들을 쌓아 하늘로 향하죠.

그리고 결국 두 아이는 만나 하나가 되었어요.

 

맞잡았던 손을 놓쳤을 때,

두 아이는 모두 너무 불안정하고 두려운 상태가 되었지만

거기에서 머무르지 않고 자신들의 불완전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서로를 향해 손을 내밀어요.

그 과정이 불안정을 해소해 가는 과정이었구나 싶었어요.

가벼운 아이는 무거운 존재가 되기 위해,

무거운 아이는 가벼운 존재가 되기 위해

서로 조정하고 균형을 맞춰가는 거죠.

그리고 마침내 서로의 내민 손을 잡았을 때

가볍고 무거웠던 두 존재가 만나 하나가 되는 과정이 멋졌어요.

그리고 그 과정이 결코 쉽지 않았다는 것도

그림으로 충분히 말하고 있더라구요.

 

내면의 자신에게 손을 내미는 일,

알아차려야 하고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일이지만

단단한 개인으로 서기 위해 꼭 필요한 일임을 다시 확인하게 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