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지 한 장의 기적 라임 그림 동화 40
나가사카 마고 지음, 양병헌 옮김 / 라임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화지한장의기적

#나가사카마고__그림

#양병헌_옮김

#라임

 

한 사람의 열정이 개인은 물론 지역 전체를 변화시키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도화지 한 장의 기적>에 소개된 이야기도 일본 화가인 나가사카 마고가

가나의 수도 아크라에 있는 아그보그볼로시의 전자 쓰레기 마을에서

아이들과 활동한 이야기를 엮은 책이예요.

 

이곳에 사는 아이들이 아빠를 도와 하루 종일 쓰레기를 줍고

번 돈 1세디(100)는 사탕 1개 값이지요.

아이들은 달콤한 사탕 한 개를 먹기 위해 종일 열심히 일해요.

어느 날 우연히 이 마을에 찾아온 화가 아저씨는

그림 그리고 싶은 아이들을 모읍니다.

그리고 베지와 오스만, 엘이 지원해요.

하지만 도화지를 사려면 1세디가 필요해요.

달콤한 사탕의 유혹을 이기지 못한 베지는 그림 그리기를 포기하고

오스만과 엘은 그림 그리기를 시작합니다.

화가 아저씨가 말한 도화지에 마음을 담아 그리는 게 중요해.”라는 말을 기억하고요.

 

두 아이가 그린 그림을 선생님이 10세디씩 주고 삽니다.

1세디 도화지로 10세디를 만들었으니 기적이 일어났지요.

이 두 아이는 계속 그림을 그리고 있을까요?

이 책을 읽으며 계속 제 마음을 두드리는 두 가지 사실이 있었어요.

나가사카 마고 작가의 타인에게 빚진 마음을 자신의 방법으로 갚아나가는 행동과

선택의 길에 섰을 때 어떤 선택을 해야할지에 대한 고민의 중요함 이었어요.

 

실화를 다룬 이야기라 자료를 찾아보고 알게 된 마고의 삶은 참 멋졌습니다.

전자 쓰레기를 태우는 폐기장의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는 가나 사람들에게

그들의 고단한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내고 방독면을 선물하는 모습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어요.

지금도 그 작업들을 계속 이어나가고 있는 것은 우리의 풍요로운 삶이

결국은 그들의 희생을 발판으로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라고 해요.

 

그리고 베지, 오스만, 엘 세 소년이 각각 선택한 삶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택의 순간이 정말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어요.

신중하고 삶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습관이 가져오는 결과는

참 많이 달라진 우리들의 미래 모습을 만나게 할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마레인저
박지선 지음, 박소연 그림 / 발견(키즈엠)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마레인저

#박지선_

#박소연_그림

#발견

 

오랜만에 아이들을 육아하며 경험했던 순간들을 떠올려보게 된 책을 읽었네요.

<마마레인저>!

아이들이 좋아하는 파워레인저가 마마레인저로 바뀐 것 같아요.

직장 생활하는 엄마를 둔 우리 아이들도 네 살부터 유치원 종일반을 다녔는데

퇴근하고 데리러 가면 지쳐 자고 있는 경우도 있었고

눈 빠지게 엄마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보며 미안할 때가 참 많았거든요.

딱 그 상황을 마음 아프지 않고 유쾌하고 사랑스럽게 풀어낸 책이예요.

 

비 오는 날 엄마가 우산을 가지고 데리러 오기를 기다리는 온이와

누군가가 자신을 사용해 주기 바라며 사물함 속에 잠자고 있던 양산 비비가 처음 만난 후

온이는 엄마가 우주를 날아다니며 악당을 물리치고 지구를 구하는

마마레인저여서 늦게 온다는 특급비밀을 비비에게 털어놔요.

그리고 이렇게 비가 오는 날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맑은 우산을 만들어 오느라 더 늦는거라고 말해줍니다.

 

자신을 기다리느라 애태울 아이의 마음을 달래주느라

엄마가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 마마레인저인걸 알지만

전 그렇게만 생각되지 않았어요.

사실 일과 육아를 병행하느라 24시간이 모자라는 세상의 모든 엄마들은

다 울트라 메가 파워 초능력을 보유한 마마레인저 아닐까요?

 

자신을 보며 방긋 웃어주는 아이의 미소에 한번,

정성들여 만든 음식을 맛있게 먹어주는 아이에게 한번,

살며시 다가와 볼에 뽀뽀를 날리는 아이에게 한번,

엄마 사랑해하며 꼬옥 안아주는 아이에게 한번.

이렇게 소소하게 채워주는 아이의 응원에 마마레인저의 파워 충전은 끝이지요.

오늘도 아이들과 함께 하는 모든 마마레인저의 충전을 소망합니다.

마마레인저의 충전은 곧 아이의 행복 충전이기도 하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을 찾아서 - 2024 칼데콧 영예상, 2024 아시아·태평양·미국문학상 대상 수상작 열린어린이 그림책 32
줄리 렁 지음, 차호윤 그림, 장미란 옮김 / 열린어린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을찾아서

#줄리렁_

#차호윤_그림

#장미란_옮김

#열린어린이

 

한국인 최초로 칼데콧상을 수상한 차호윤 작가의

<용을 찾아서>는 동양과 서양의 용을 찾아 나선 주인공의 모험이야기가

,서양의 옛이야기들을 품고 있어 더 흥미로웠어요.

 

용으로 대표되는 동, 서양의 문화들이 어떻게 우리 안에서 살아 공존하는지를 보여주며

우리를 판타지 속으로 인도합니다.

동양의 청룡과 서양의 붉은 용을 각각 다른 기법을 사용해 표현함으로써

좀 더 역동적이고 섬세하게 표현하는데 붉은 용은 화면 가득 위용을 자랑하며

불을 뿜어 냅니다. 반면에 청룡은 드넓은 하늘을 날며 여백의 미를 보여주지요.

 

또 지혜로운 할머니를 찾아가는 길도 서양은

빨간모자나 헨젤과 그레텔 같은 장면이 연상되는 숲길을 걸어가고

동양은 대나무 숲길, 오작교, 기와집 같은 장면을 배경으로 표현됩니다.

이렇듯 동양문화(청룡)와 서양문화(붉은 용)는 서로 다른 듯 보이지만

지혜로운 할머니들을 통해 아이의 마음 속에서 서로 조화롭게 하나되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이 아이의 마음 안에 간직하고 있는 강력한 마법이라는 걸

엄마를 통해 확인한 아이가 평안하게 잠든 모습을 보여 줍니다.

 

이 책은 그림이 무척 많은 힌트를 주는 책인데

마지막 장면에 나와 있는 사진 액자를 보면 이 아이의 환경도 짐작할 수 있고

이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아들에게 용을 빗대어 응원하며

용기를 심어주는 엄마의 마음이 전해지는 책이라고 생각했어요.

다양한 문화의 유전자를 가진 주인공 아이는 더 넓은 세계를 향해 달려 가겠지요?

그러다 보면 용의 여의주를 찾게 될지도 모르겠어요.

 

#문화정체성 #청룡 #붉은용 #문화공존 #가족

#초그신

#초그신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길을 잃었어 풀빛 그림 아이
알리체 로르바케르 지음, 리다 치루포 그림, 이승수 옮김 / 풀빛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을잃었어

#알리체로르바케르_

#리다치루포_그림

#이승수_옮김

 

<길을 잃었어> 라고 말하는 순간의 느낌은

가슴이 쿵 하고 내려 앉아요.

어디로 갈지를 몰라 멈춰버린 그 지점이 얼마나 막막하게 다가올까요?

우리가 느끼는 그 막막함을 길의 입장에서 서술해 낸 이 책을 읽으며 묘한 느낌을 느꼈어요.

글 작가님이 영화감독이라는데 그래서 더 극적인 장면들이 그려졌을까요?

표지에서 사람 얼굴을 하고 있는 길과 대화하는 아이의 모습이 그려진 그림은

마치 영화 포스터 같은 느낌이 물씬 풍겨왔어요.

길을 잃은 두 존재가 서로 바라보며 힘내라고 응원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장면들을 바라보는 우리의 입장은 두 존재가 마치 나인 것 같구요.

 

어디로 가야 할지도 모른채 좌충우돌, 우물쭈물하며 아무렇게나 구르기 시작한 서툰 길은

이래라저래라 요구하는 많은 것들을 들어주느라 지쳐 버렸어요.

우리의 인생길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우며 살아내느라 지쳐 버린 내 모습이

이 서툰 길과 너무 닮아 있는 것같은 느낌이 자연스럽게 스며듭니다.

 

그래도 길을 다시 길을 내지요.

좁은 길, 고갯길, 고속도로, 휘기도 하고 포장하기도 하며

다시 길을 내며 달려가는 그 길에 응원하는 누군가가 함께 해준다면

그 길은 끝까지 갈 수 있을 거예요.

길을 잃은 두 존재가 서로를 응원하며 다시 힘을 내는 장면에서

우리는 힘차게 박수를 보냅니다. 나에게 보내는 응원도 포함해서요.

괜찮아, 우리는 길을 잃지 않았어.”

 

#내면의힘 #정체성 #자신의길 #인생 #응원 #동행 #100세그림책

#초그신

#초그신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똑똑똑! 집 지으러 왔어요
군타 슈닙케 지음, 안나 바이바레 그림, 박여원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똑똑똑_집지으러왔어요

#군타슈닙게_

#안나바이바레_그람

#박여원_옮김

#미래아이

 

특별한 나만의 필요를 반영하여 만든 집에 살고 싶은 것은

모든 사람들의 희망사항이지 않을까요?

여러분들은 어떤 집을 꿈꾸실까요?

<똑똑똑! 집 지으러 왔어요>에도 자신의 희망을 담아 완벽한 집을 짓고 싶은

이네스 아주머니가 건축가를 찾아가 상담을 한답니다.

그런데 이네스 아주머니는 말만 하면 바로 그 자리에서

자신이 원하는 집의 설계도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과연 이네스 아주머니는 자신이 원하는 집을 지을 수 있을까요?

 

집을 지으려면 제일 먼저 고려할 점이 무엇일까요?

물론 아주 다양한 관점에서 점검해야 할 사항들이 많겠지요.

집을 어디에 지을지, 누구랑 살 것인지, 어떤 목적으로 살 집인지 등등을

집을 지을 사람과 건축가가 계속 의견을 조율해 가면서 만들어야

목적에 딱 맞는 집을 지을 수 있을거예요.

 

학교의 어느 공간을 리모델링 할 때도

그 공간을 사용할 학생, 교사들이 다같이 모여 의견을 나누다보면

아이들의 요구가 어른들의 생각과 다를 때가 있는 경험을 했어요.

그런데 얘기를 들어보면 학생들의 요구가

어른들 입장에서 미쳐 생각하지 못했던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땐 아이들의 의견을 반영해서 설계를 부탁드렸고 결과는 아주 만족스러웠지요.

 

이렇듯이 집을 지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집과 함께 살아갈 사람들을 중심에 두고 미래를 상상해 가면서 설계를 해야겠지요.

텅빈 평면도에 집을 설계하며 그 안에 살게 될 사람들의 스토리와 온기를

담아야 한다는 번역가의 글이 마음에 와 닿았어요.

이 책의 글 작가, 그림 작가, 번역자 모두가 건축가라서 그런지

집에 대한 생각을 독자들 스스로 찾아가게 이야기를 전개하는 모습이 참 좋았다.

 

#집짓기그림책 #건축그림책 #설계도 #행복

#초그신

#초그신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