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 가벼운 아이와 너무 무거운 아이 - 2023 볼로냐 라가치상 어메이징 북셸프 선정작 ㅣ 곰곰그림책
남기림 지음 / 곰곰 / 2025년 3월
평점 :
#너무가벼운아이와너무무거운아이
#남기림_글_그림
#곰곰
완성이란 늘 새로운 차원의 합을 이루는 과정의 반복이며,
그 일을 혼자 해낼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것.(무루 작가)
<너무 가벼운 아이와 너무 무거운 아이>의 추천사를 쓴 무루 작가의 이 문장이
책을 덮는 순간 비로소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하게 해줬어요.
스토리 과정 속에서 살짝 아리송했던 부분들이 남았었는데
뒷표지의 이 추천사를 읽고 아~~하고 공감했답니다.
너무 가벼워 바람에 날아갈까 두려운 아이와
너무 무거워 멀리까지 바라볼 수 없는 두 아이는
늘 두 손을 잡고 다니며 서로의 필요를 채워 주지요.
상철 제본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두 아이가 만나도록 만든 것이
책의 물성을 잘 활용하여 편집한 것 같아요.
어느 날 거센 바람 탓에 두 아이는 잡고 있던 손을 놓치게 되고
서로의 공간에서 다시 만나기 위한 노력을 해요.
가벼운 아이는 바람에 날린 물건들을 모아 아래로 내려오고
무거운 아이는 땅에 흩어진 물건들을 쌓아 하늘로 향하죠.
그리고 결국 두 아이는 만나 하나가 되었어요.
맞잡았던 손을 놓쳤을 때,
두 아이는 모두 너무 불안정하고 두려운 상태가 되었지만
거기에서 머무르지 않고 자신들의 불완전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서로를 향해 손을 내밀어요.
그 과정이 불안정을 해소해 가는 과정이었구나 싶었어요.
가벼운 아이는 무거운 존재가 되기 위해,
무거운 아이는 가벼운 존재가 되기 위해
서로 조정하고 균형을 맞춰가는 거죠.
그리고 마침내 서로의 내민 손을 잡았을 때
가볍고 무거웠던 두 존재가 만나 하나가 되는 과정이 멋졌어요.
그리고 그 과정이 결코 쉽지 않았다는 것도
그림으로 충분히 말하고 있더라구요.
내면의 자신에게 손을 내미는 일,
알아차려야 하고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일이지만
단단한 개인으로 서기 위해 꼭 필요한 일임을 다시 확인하게 된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