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스며드는 아침 - 제139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양이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를 살아가면서 과거를 되새기면서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나 역시 가끔 언론을 통해서 언급하는 과거를 볼 때 말고는 평소에 생활하면서 과거를 되새기며 생활하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그런 과거가 없었다면 지금은 현재가 있기나 한 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과거는 참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그런 아픈 과거가 있음에도 굳건히 딛고 일어나 현재까지 이르렀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현재가 있기 위한 과거의 이야기를 담은 책을 만났다. 「시간이 스며드는 아침」이라는 제목은 책이었다. 제목에서부터 무언가를 의미하는 느낌을 받았기에 읽어내려갔다. 이 이야기는 과거 20년 전의 배경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1989년 천안문 사태를 중심으로 일어난 일이었다. ‘량 하오위엔’과 ‘즈챵’은 문학에 관심이 많았고 문학에 꿈을 품고 있었다. 그렇게 꿈을 향해 대학생활을 하던 중 ‘깐’ 교수의 수업을 듣게 된다. 그리고 그 수업에 매료되어 함께 활동을 한다. 그렇게 대학생활을 하면서 중국의 난국에 맞서게 된다. 하지만, 중국은 곧바로 진압에 나서게 되고 그렇게 점점 시위가 커져 1989년 6월 4일 ‘천안문 사태’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깐’ 교수는 학교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지만 높은 현실의 벽 앞에 부딪혀 있던 학생들은 답답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술을 마시러 학교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던 중 시비가 붙어 퇴학까지 당하게 된다. 그렇게 ‘하오위엔’은 우여곡절 끝에 일본까지 가게 된다. 

 그는 자신에게 일어났던 그리고 자신이 살았던 배경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는 치열하게 맞서 싸웠지만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과거 자신이 품었던 꿈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 본다. 지금은 비록 결혼까지 해서 가정을 이루고 있지만, 과거에는 자신의 꿈을 잃어버린 것에 대한 분노가 서려 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이제 과거의 시간은 추억으로 변해버린 것처럼 ‘시간이 약’이라는 말처럼 과거 이야기를 하고 있다. 과거 자신 아버지의 추방과 함께 자신 또한 꿈을 잃어버리고 일본까지 건너온다. 달라지는 세상을 위해 그리고 자신의 꿈을 위해 힘겹게 투쟁해야 했던 그 시간을 돌이켜보며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과거 우리나라의 배경을 봐도 민주화를 위해 많은 투쟁을 했다. 그리고 과거에 투쟁했던 사람들이 오늘날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과거는 과거일 뿐이다가 아닌, 과거의 아픔과 고통으로 현재에는 더 나은 그리고 함께 투쟁하며 싸웠던 사람들의 바람과 꿈이 이루어졌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그들이 민주화를 꿈꾸며 투쟁하고 항쟁했던 것은 과연 누구를 위한 투쟁이었는지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과거의 희생과 투쟁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존재했었을까? 그리고 자유를 부르짖으며 희생을 했던 그들이 없었다면 자유가 존재할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교훈과 함께 과거의 희생과 자유에 대한 투쟁에 대해서 되돌아보게 하였다. 나 역시 현재를 살아가면서 과거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지 못할 때가 잦았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과거에 대한 고마움과 희생정신에 과거를 되돌아보게 해준 이 책이 고맙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일째 매미 사건 3부작
가쿠타 미쓰요 지음, 장점숙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세상을 살아가면서 인정해야 하는 것과 인정할 수 없는 것은 항상 공존하며 존재하고 있다. 단, 선택은 자신의 몫이고 받아들이는 것 또한 자신의 몫이다. 이처럼 극과 극 혹은 반대의 상황이 늘 공존해 있는 가운데 현실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인정할 수 없는 일들도 때로는 인정해야 할 때가 있다. 나 역시 그럴 때가 있었으니까. 

 남자와 여자가 사랑하는 가운데 진심과 믿음이 통한다면 그 사랑은 진정한 사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이라는 감정 앞에서 어떤 이는 아픈 감정을 느끼기도 할 것이고 또 어떤 이는 행복함과 즐거움을 느끼기도 할 것이다. 이처럼 ‘사랑’은 때론 아픔이나 행복으로 다가오는 마약 같은 존재이라는 생각을 잠시 해본다. 하지만 ‘사랑’에서 남자와 여자의 사랑이기는 하지만 불륜이 바탕이 되는 ‘사랑’은 과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모르겠다. 「8일째 매미」라는 충분히 궁금증을 일으킬만한 제목을 가진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사랑’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리고 그 사랑으로 일어나는 사건을 이야기하고 있다. 

 주인공 ‘노노미야 기야코’는 한 아기를 유괴하면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리고 자신이 유괴한 아기의 이름을 ‘가오루’라고 짓고 아기를 안고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던 중 친구인 ‘야스에’에게 전화를 걸어 거짓말을 한다. 그리고 친구의 집에서 생활하게 되고 친구의 남편인 ‘시게하루’와 친구의 아이 ‘미키’와 함께 새로운 생활이 시작된 것이다. ‘기야코’는 비록 아기를 유괴했지만, 자신의 아기라는 생각을 늘 가지고 있었다. 그 이유는 그녀에게도 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하지만, 이미 결혼을 한 유부남인 것을 뒤늦게 알고 그가 자신과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헤어지려고 하지만 유부남은 결혼 생활을 정리할 거라는 말만 되풀이한다. 그러던 어느 날 ‘기야코’는 임신을 하게 되고 자신과 불륜을 저지른 남자는 낙태를 하라고 한다. 결국, 낙태를 할 수밖에 없었고 그 이후 아기를 가질 수 없다는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그리고 그녀에게 닥쳐온 또 다른 일이 생긴다. 그 남자의 아내가 남편의 불륜을 알게 되고 ‘기야코’에게 심한 말들을 퍼붓는다. 

 이런 현실에서 그녀는 힘겹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던 중 아기를 유괴하는 사건을 저지르고 만다. 그녀에게는 아기 ‘가오루’가 희망이었을지도 모른다. 사랑의 상처와 배신으로 낙태해야 했던 그녀에게 아기는 희망 같은 존재였기 때문이다. 아기를 위해서 무엇이든 해야만 했고 자신이 저지른 사건에 불안함을 늘 안고 살아야 했지만, 그녀는 오직 아기만 생각했다. 그렇게 시간은 흘러 그녀는 또 다시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며 경찰들을 피해서 다니게 된다. 그리고 꼬리가 길면 밟히듯 그녀에게도 유괴에 대한 죗값을 치르는 날이 오게 되고 아기 ‘가오루’는 어떻게 되었을까. 

 현실에서 있을 법한 이야다.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때론 분노와 사랑에 대한 배신감으로 화가 나기도 했고, 주인공 ‘기야코’가 안타깝고 불쌍하다는 생각에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현실에서 있을 법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아기는 희망으로 그녀에게 다가왔고 그 희망을 놓치지 않기 위해 그녀는 힘겨운 나날을 보낸다. 매미는 일주일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 책의 제목처럼 「8일째 매미」가 주는 의미는 다른 매미들은 일주일만 살다가 죽지만, 자신은 하루를 더 살면서 하루에 대한 삶의 의미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해본다. 그리고 하루 더 사는 매미가 불쌍한 것인지 아니면 일주일만 살고 죽은 매미가 불쌍한 것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둘 다의 처지에서 생각할 수 있게 해준 책이었기에 많은 여운을 남겨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홍 마코앵무새의 마지막 비상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를 지키기 위한 한 여인의 투쟁
브루스 바콧 지음, 이진 옮김 / 살림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사람의 욕심과 욕망은 끝이 없다. 그리고 그 욕심을 채우기 위해 멀리 내다보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오직 이기주의가 마음속에 싹트기 시작했기에 욕심을 채우는 데에만 급급하다. 그런 인간의 욕심으로 사람을 비롯하여 자연과 동물, 식물 등 환경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사람은 그것까지는 생각하지 못하는 것일까? 아니면 알면서도 억척같이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추진하는 걸까? 인간에게서 욕심과 이기심은 끝이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인간이기에 그것을 억제할 수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주홍 마코앵무새의 마지막 비상」이라는 예쁜 책을 만났다. 이 책의 표지에 있는 앵무새를 본 적은 없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서 ‘주홍 마코앵무새’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이 앵무새는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그 이유는 인간의 욕심 때문이다. 과거와 비교하면 점점 발전하고 있고 더욱 성장하는 나라 중 ‘중앙아메리카’에서의 일을 기록한 책이다. 생태계는 서로 먹고 먹히는 먹이 사슬로 살아간다. 때론 인간이 개입되어 그 사슬을 끊어놓기도 하고 그 결과 멸종이라는 결과를 안겨다 준다. 그리고 ‘발전’이라는 눈가림으로 자연 파괴는 이루 말할 것도 없으며 단지 발전과 산업화로 급성장하는 것만 중시하게 여기고 있기에 자연은 점점 멀어져만 간다. 도심 속에서 자연을 보기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이 이야기는 중앙아메리카에서 6년간 힘겹게 싸우는 ‘샤론 마톨라’ 그녀의 이야기다. 그녀는 ‘벨리즈’라는 나라에서 6년간 댐 건설반대 운동을 하고 있었다. 법과 힘겹게 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녀는 ‘벨리즈’라는 곳에서 밀림에서 동물을 키우고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중 댐 건설을 반대하기 위해 법과의 싸움에 뛰어들게 되었고 그녀가 그렇게까지 한 이유는 댐 건설을 하고자 하는 곳에 ‘주홍 마코앵무새’가 서식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주홍 마코앵무새’를 비롯하여 자연의 파괴와 인간의 욕심을 막기 위해 혼자서 법과 싸우는 것이다. 여성이지만 그녀는 대단했고 하나를 얻게 되면 하나를 잃게 되는 것처럼 댐 건설을 함으로써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이제 다시는 볼 수 없거니와 하나를 얻기 위해서 너무 많은 것들이 희생되어야 한다는 것을 그녀는 알고 있었다. 그렇기에 어려운 싸움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뛰어든 것이다. 

 그녀의 싸움이 이기길 기도한다. 산업화 도시로 점차 발전하면서 볼 수 없는 동물, 식물, 곤충 등이 점점 사라지고 그 모습을 지금은 감추어 버렸다. 영화 《클래식》에서 등장하는 ‘반딧불이’도 멸종 위기에 처해있기에 영화에서처럼 수많은 반딧불이를 보는 것은 힘들어졌다. 영화에서처럼 현실에서도 그렇게 많은 반딧불이를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태계를 비롯하여 자연을 지킨다는 것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것 같다. 하나가 희생되거나 파괴되어야 하나가 생기고 살아남는 것이 아닌 멀리 내다보며 파괴하면 두 번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에 더 관심을 두고 지켜나가야 하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해본다. 

 우리 집에 아침마다 날라오는 까치와 산비둘기, 그리고 참새떼들을 볼 수 없다면 그리고 아침마다 지저귀는 새소리를 들을 수 없다면 정말 끔찍할 것 같다. 새소리 대신 기계 소리와 쿵쾅대는 소리로 귀를 괴롭힌다는 생각만 하더라도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모습을 내다봤을 때 자연파괴는 절대는 해서는 안되며 나라의 발전을 위해 생태계의 균형을 깨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파괴되고 있는 자연은 반드시 큰 재앙으로 보답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에 자연파괴와 멸종 위기에 있는 동물, 식물 등은 꼭 지켜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많은 사람이 읽고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동물에 대해 조금이나마 관심을 두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시광의 공포 영화관 - 무섭고 재미있는 공포영화 재발견
김시광 지음 / 청어람장서가(장서가)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운 여름이 되면 공포 장르의 영화가 속속 개봉을 한다. 영화관에서 대형 스크린으로 공포영화를 만나고 나면 더위를 잠시나마 떨쳐버리게 하는 방법의 하나이기에 많은 사람이 더운 여름에 영화관을 찾는다. 나 역시 공포영화를 잘 보는 편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한 번의 놀람과 충격으로 말미암아 공포 영화에서의 공포는 실제로 ‘공포’로 전해져 왔기에 공포 영화를 가려보게 되었다. 

 서점에 가면 영화에 관련된 책은 넘쳐난다. 그리고 영화에 대한 주제 또한 다양하다. 하지만, 모처럼 다른 색깔을 가진 색다른 책을 만났다. 「김시광의 공포 영화관」이라는 책이었다. 책의 제목만 읽어 보아도 ‘공포’영화에 대한 이야기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단지 ‘공포영화’에 대한 소개가 아닌 ‘당신은 공포영화를 왜 좋아하는가?’에 대한 정답을 담은 책이었다. 저자 ‘김시광’ 씨는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저자 ‘김시광’ 씨는 호러광이기 전에 영화광이고, 영화광이기 전에 보통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 말인즉슨 ‘공포 장르’에 다른 사람보다 특정한 관심을 겸비했다는 차이일 뿐이라는 의미다. 그리고 보통 공포영화만 보는 사람이 공포영화를 잘 이해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인간이 느끼는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접해보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공포’영화를 봤을 때 그 속에서 나타내고자 한 감정과 느낌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글을 읽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나도 한때 공포영화만 골라보며 영화를 편식했던 기억이 난다. 그때는 단지 놀람과 무섭다는 감정이 짜릿했기에 공포영화를 좋아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은 공포영화를 보면 식은땀을 흘릴 정도로 겁이 많은 겁쟁이가 되어 버린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공포영화의 종류는 생각보다 많았다. 그 많은 영화 중에서 내가 본 것보다 못 본 영화들이 더 많았고 ‘이런 영화도 있었구나.’라며 처음 만나보는 공포영화도 있었다. 그렇기에 흥미롭게 책을 읽어내려 갔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공포영화 장르에서도 세분화된 장르로 나누어서 영화 소개를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흡혈귀(Vampire), 좀비(Zombie), 몬스터(Monster), 오컬트(Occult), 죽지 않는 망령(A devilish homicide), 귀신들린 집(Haunted house), 로맨스(Romance), 가족(Family), 정체성(Identity), 이성의 한계(Limitation of reason), 기타(The others)로 나누어서 소개하고 있었기에 공포영화의 색다른 만남으로 재미있게 읽어내려갈 수 있었다. 그리고 Tip으로 ‘내가 꼽은 공포영화 BEST 100’으로 공포영화를 추천하고 있었기에 보지 못한 영화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알게 해주었다. 

 그리고 공포영화가 전달해주는 메시지나 그 의미에 대해서도 새롭게 해석하고 있기에 내가 봤던 공포영화를 색다른 해석으로 다시 만나볼 수 있어서 재미있었다. 《오멘》을 비롯하여 《악마의 씨》, 《엑소시스트》도 새롭게 만나볼 수 있었다. 그리고 《렛미인》, 《주온》, 《식스센스》, 《스크림》 등 다양한 영화 소개를 세분화하여 공포영화의 액기스만 만나게 해준 책이었기에 책을 읽으면서도 나는 영화 몇십 편을 본 것처럼 무서움을 떨어야 했다. 공포영화를 잘 보지 못하기에 이 책을 덮고 나서도 사물을 보거나 인형을 볼 때면 머리카락이 쭈뼛쭈뼛 서거나 소름이 돋기 일쑤였다. 모처럼 무더운 날씨에 이 책을 통해서 더위를 날려주었기에 여름에는 「김시광의 공포 영화관」 책 한 권으로 더위를 날려버리게 해주는 짜릿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간단 샌드위치 & 럭셔리 샌드위치 - 간식에서 일품요리까지 74가지의 다양한 맛
안영숙 지음 / 리스컴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음식은 참 소중하다. 음식의 이름에 혹은 완성된 요리에 이름이 붙여지기까지 요리하는 과정에서 정성을 비롯하여 손맛과 함께 최고의 요리가 탄생한다. 요리하는 것을 좋아하고 음식의 맛이나 간을 보는 것은 내가 담당하고 있다. 미각이 예민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이처럼 요리는 먹는 사람에게 즐거움과 포만감을 안겨주고 만드는 사람에게는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며 흐뭇해지고 뿌듯함을 느끼게 해주는 것 같다. 

 요리의 종류도 많고 만드는 방법이나 과정도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간단하면서도 든든하게 먹을 수 있는 「샌드위치」를 색다르면서 다양한 종류로 탄생하는 요리를 만나보고 싶었다. 「초간단 샌드위치 36 & 럭셔리 샌드위치 38」이라는 요리책을 만나게 되었다. 평소 서점에 가면 꼭 들리는 곳이 요리책이 한가득 진열된 곳에서 이 책 저 책을 보면서 시간가는 줄을 모를 정도로 책을 들여다본다. 

 이 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샌드위치는 특별하다. 간단하면서도 쉬운 재료로 정성만 쏟으면 일반 제과점에서 판매하는 샌드위치보다 더 맛있고 더 먹음직스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빵을 좋아하는 나에게 있어서 ‘샌드위치’는 아주 반가운 음식이기도 했다. 요리하는 것은 즐겁기에 이 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샌드위치를 만드는 방법 또한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맛깔스러운 ‘샌드위치’를 탄생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시장기를 돌게 하는 사진과 함께 말이다. 요리와 거리감이 있는 사람이라도 이 책에 요리하는 순서를 따라 하면 금방 손쉽게 만드는 방법이 담겨 있기에 신선한 채소와 여러 가지 재료들이 한데 어우러져 입안에서 살살 녹을 것 같이 군침 돌게 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샌드위치’만드는 방법을 보고 만들어 보지 못한 샌드위치들이 있기에 도전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주말에 가족과 함께 가까운 공원에 가서 직접 만든 샌드위치를 먹는 기분 또한 즐겁고 행복할 것이다. 내 손으로 정성스럽게 만든 요리가 가족이 맛있게 먹어준다면 더없이 기쁘지 않을까? 요리는 하면 할수록 는다고 한다. 나도 처음부터 요리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어찌하다 보니 관심을 두게 되었고 그 영향으로 이런저런 요리에 눈이 가기 시작했기에 이번에 「초간단 샌드위치 36 & 럭셔리 샌드위치 38」을 통해서 더욱 업그레이드 된 샌드위치를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에 샌드위치 포장지를 판매하는 곳까지 알려주기에 예쁜 포장지로 더욱 예쁘고 맛있는 샌드위치로 탄생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