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스며드는 아침 - 제139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양이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를 살아가면서 과거를 되새기면서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나 역시 가끔 언론을 통해서 언급하는 과거를 볼 때 말고는 평소에 생활하면서 과거를 되새기며 생활하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그런 과거가 없었다면 지금은 현재가 있기나 한 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과거는 참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그런 아픈 과거가 있음에도 굳건히 딛고 일어나 현재까지 이르렀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현재가 있기 위한 과거의 이야기를 담은 책을 만났다. 「시간이 스며드는 아침」이라는 제목은 책이었다. 제목에서부터 무언가를 의미하는 느낌을 받았기에 읽어내려갔다. 이 이야기는 과거 20년 전의 배경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1989년 천안문 사태를 중심으로 일어난 일이었다. ‘량 하오위엔’과 ‘즈챵’은 문학에 관심이 많았고 문학에 꿈을 품고 있었다. 그렇게 꿈을 향해 대학생활을 하던 중 ‘깐’ 교수의 수업을 듣게 된다. 그리고 그 수업에 매료되어 함께 활동을 한다. 그렇게 대학생활을 하면서 중국의 난국에 맞서게 된다. 하지만, 중국은 곧바로 진압에 나서게 되고 그렇게 점점 시위가 커져 1989년 6월 4일 ‘천안문 사태’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깐’ 교수는 학교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지만 높은 현실의 벽 앞에 부딪혀 있던 학생들은 답답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술을 마시러 학교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던 중 시비가 붙어 퇴학까지 당하게 된다. 그렇게 ‘하오위엔’은 우여곡절 끝에 일본까지 가게 된다. 

 그는 자신에게 일어났던 그리고 자신이 살았던 배경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는 치열하게 맞서 싸웠지만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과거 자신이 품었던 꿈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 본다. 지금은 비록 결혼까지 해서 가정을 이루고 있지만, 과거에는 자신의 꿈을 잃어버린 것에 대한 분노가 서려 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이제 과거의 시간은 추억으로 변해버린 것처럼 ‘시간이 약’이라는 말처럼 과거 이야기를 하고 있다. 과거 자신 아버지의 추방과 함께 자신 또한 꿈을 잃어버리고 일본까지 건너온다. 달라지는 세상을 위해 그리고 자신의 꿈을 위해 힘겹게 투쟁해야 했던 그 시간을 돌이켜보며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과거 우리나라의 배경을 봐도 민주화를 위해 많은 투쟁을 했다. 그리고 과거에 투쟁했던 사람들이 오늘날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과거는 과거일 뿐이다가 아닌, 과거의 아픔과 고통으로 현재에는 더 나은 그리고 함께 투쟁하며 싸웠던 사람들의 바람과 꿈이 이루어졌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그들이 민주화를 꿈꾸며 투쟁하고 항쟁했던 것은 과연 누구를 위한 투쟁이었는지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과거의 희생과 투쟁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존재했었을까? 그리고 자유를 부르짖으며 희생을 했던 그들이 없었다면 자유가 존재할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교훈과 함께 과거의 희생과 자유에 대한 투쟁에 대해서 되돌아보게 하였다. 나 역시 현재를 살아가면서 과거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지 못할 때가 잦았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과거에 대한 고마움과 희생정신에 과거를 되돌아보게 해준 이 책이 고맙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