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츠제럴드, 글쓰기의 분투 - 스콧 피츠제럴드는 ‘이렇게 글을 씁니다!’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래리 W. 필립스 엮음, 차영지 옮김 / 스마트비즈니스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내 인생은 글쓰기를 향한 열망과 이를 방해하는 온갖 상황이 만들어낸 투쟁의 역사다.
_어느 작가의 오후
모든 이들이 사랑하고 인정하는 글을 쓴 작가들은 천재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을 하곤 하는데요. <위대한 개츠비>라는 명작을 쓴 피츠제럴드 역시나 그런 의심을 하게 만드는 인물이 아닐까 싶네요. 하지만, 다른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나 고민하고 연구하고 땀을 흘리면서 자신만의 글쓰기를 완성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그만의 경험과 방식에 대해 수많은 이들과 주고받은 편지와 글에 남겨놓았다고 하는데요. 동시대를 살았던 헤밍웨이와 책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도 하고, 동료 작가나 사랑하는 이들에게 충고와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그의 흔적들.. 조금은 그의 삶을, 아니 진정한 작가의 모습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 펼쳐보게 되었는데요. 과연 그에게 글쓰기란 무엇이었을까요?

“작가는 무엇 하나 허투루 허비하지 않는다”며 <위대한 개츠비> 역시나 자신이 쓸 수 있는 최선이 나오지 않는다면 세상에 작품을 내놓을 수 없다는 피츠제럴드. 그의 글쓰기에 대한 신념은 확실하네요. 진정한 작가의 모습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과감하게 자신의 작품을 버리고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 아픔도 있지만, 마음을 쏟은 인물을 고스란히 들어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말이죠. 자신만의 규칙을 엄격하게 지키면서 큰 그림을 그리는 단계부터 세부적인 내용으로 전개하는 시점까지 말이죠.
이렇게나 글쓰기에 진심인 이유가 무엇일까요? 물론 작가라는 직업을 가진 전문가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부양해야 할 가족이 있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는 유명해지기보다는 제 이미지를 누군가의 영혼에 각인시키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예술의 강렬함을 경험해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는 창작의 과정의 중요성.. 이게 바로 그가 추구하는 글쓰기의 본질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칼럼니스트이자 피츠제럴드의 마지막 연인이었던 쉴라 그레이엄, 그를 발굴한 미국의 전설적인 문학 편집자 맥스웰 퍼킨스, 미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인 존 필 비숍, 그의 아내 젤다 피츠제럴드와 그의 딸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그 외에도 수많은 동료 작가와 편집자와 선후배들에게 보낸 조언과 의견, 그리고 자신의 생각들이 가득 담긴 책이었는데요.
<위대한 개츠비>로 유명한 그를 진짜로 만날 수 있는 시간이었기에 너무 행복하고 너무 감사하고 너무 친근했던 거 같네요. 소설을 통해 만나는 작가는 창작된 그의 상상 속 세상에서 사건과 인물로 만나는 것이기에 하나의 유리벽이 있지 않나 싶거든요. 누군가 취재하고 조사해서 정리한 자서전은 각색되고 변형될 소지가 있기에 조금 조심스럽잖아요. 이렇게 그의 문장을 그대로 만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만남이 아닐까 싶네요. 글쓰기 방법을 배우는 책이기 전에 피츠제럴드를 제대로 알 수 있는 시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짝꿍 책인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도 궁금해지니 만나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