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가 -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 클래식 클라우드 24
이연식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가는 예술세계를 구성하는 온갖 법칙과 양식에 구애받지 않았다. 그는 인상주의를 이끌었지만 다른 화가들과는 다른 방향을 추구하였다. 클로드 모네와 알프레드 시슬레가 야외에서 자연을 그릴때, 그는 온갖 모순과 악덕의 근원인 도시에서 사람과 현실을 인공조명 아래에서 그렸다. 발레리나나 가수, 일하는 여성 등 인물의 순간적인 모습, 역동적임 모습늘 담고자 하였다. 그들의 찰라의 순간! 불가능한 순간의 포착하기 위해 드가는 시간을 담는 것이 아닌 시간의 존재를 담고자 하였다. 또한, 그림의 중앙을 비우거나 인물을 그림 모서리로 과감하게 잘라버리는 등의 이전까지 지켜오던 규칙을 탈피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일까? 그의 그림들을 하나하나 돌아보면서 가는 것이 불가능했던 것일까? 이번 클래식클라우드 드가의 이야기는 그의 그림이나 인생을 중심으로 물 흐르듯 따라가면서 읽기가 힘들었다. 그에게 영향을 주었던 인물들, 모로나 마네 이야기가 중심이 되었다가.. 파리의 상황이나 사회상에 대한 이야기로 진행되다가.. 그의 그림을 설명하기에 너무 많은 것들이 필요했을 수도 있고, 그의 삶이 너무 다양하고 예측불가였기 때문이기도 했을 듯 하다.

 

하지만, 드가는 단순히 발레리나 화가는 아니었다. 화려한 무대가 아닌 그녀들의 연습실이나 무대 뒷모습을 통해 도시와 인간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현실 화가가 아니었을까 싶다. 화가로써 이름을 날리는 유명인이 되기 보다는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파리의 관찰자이지 않았을까?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