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 200주년 기념 풀컬러 일러스트 에디션 ㅣ 아르볼 N클래식
메리 셸리 지음, 데이비드 플런커트 그림, 강수정 옮김 / 아르볼 / 2020년 9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만 몰랐던 건가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그 괴물의 이름이 프랑케슈타인이 아니었다! 그는 이름이 없는 프랑켄슈타인의 창조물이었다. 그리고 그는 타고난 악의 화신이 아니었다. 무시무시한 외모로 인하여 아무에게도 사랑받지 못하고, 인간들에게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던 버림받은 하나의 생명체였을 뿐이었다. 창조자에게마져도 버림받은..
어릴 적부터 탐험과 모험책을 탐닉했던 월튼 선장은 북극탐험 중에 안개 속에서 거대한 사람을 목격하고 그를 뒤쫓고 있다는 빅터 프랑케슈타인을 구출한다. 그리고 그에게 기이하면서도 불행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자연 철학과 화학에 관심이 많았던 프랑케슈타인은 생명의 원리에 심취하여 연구를 거듭하다가 생명이 없는 것에 생기를 불아넣는 법을 알게 된다. 생명창조의 열정을 불태우며 그가 창조한 것은 기괴하고 거대한 생명체였다. 하지만, 생기를 불어넣는 순간 그는 공포와 협오가 가득한 괴물을 만들었다는 깨달음을 얻고 두려움에 그를 저버린다.
프랑케슈타인은 상실의 슬픔을 극복하기 위해 떠난 여행지에서 그를 다시 만나 놀라운 그의 경험담과 요구사항을 듣는다. 막 태어난 어린아이와 같던 그는 인간의 삶과 언어를 습득하고, 인간과의 교류와 사랑을 갈구한다. 하지만, 그의 외모에 공포을 느끼고 배척하는 인간들에게 실망하고 분노한 그는 프랑케슈타인에게 자신의 짝을 창조해주길 요구한다. 자신은 선한 창조물이나 세상이 자신을 이렇게 만들었다고 주장하면서, 인간과의 공존이 불가능하기에 자신과 함께 할 여인을 만들어달라고 한다. 그러면 아무도 없는 곳에 가서 조용히 있겠다고. 아니면 자신을 창조하고 책임감 없이 배신한 프랑케슈타인이 사랑하는 이들을 다 없애버리겠다며.
프랑케슈타인은 자신이 창조한 괴물, 그가 죽인 이들에 대한 죄책감과 사랑하는 이들이 죽임을 당할거라는 공포로 새로운 창조물을 위한 작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결국엔 또다른 악의 창조를 거부한다. 그리고 프랑케슈타인은 결혼식 날에 아내를 잃고, 아버지마저 잃는다. 그 괴물에게. 결국, 그에게도 남은 건 그 괴물에 대한 복수뿐. 그들의 마지막은 어떻게 되는걸까?
공포물이라고 되어있지만, 사실은 삶에 대한 이야기였다. 자신의 열정으로 만들어낸 창조물에 대한 책임 회피, 보이는 것으로만 판단하는 인간의 부족함, 그리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뒤늦은 후회들. 프랑케슈타인과 그가 창조한 생명체에 대한 이야기에서 삶에 대한 철학을 읽을 수 있었다. 우리 후회하지말고 살자!
<이 서평은 출판사의 지원을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