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장식도 1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오귀스트 라시네 지음, 이지은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라마다 문화와 역사가 다르듯이

그에 따른 전통 장식 또한 제각각이다.

이 책은 오랜 세월에 걸쳐 완성되고

전해내려오는 수많은 나라들의

장식들을 수록했다.

장식 하나하나들이 오묘하게

그 나라의 이미지와 들어맞는다.

그 나라 사람들의 성향과 분위기 등이

그대로 장식에 투영되는 것이다.

대체로 장식들이 다 아름답다.

보고 있기만 해도 멋있고 고귀한

느낌이 든다.

그런 장식들이 매우 다양하게

실려 있어 감상하는 재미가 좋다.

오늘날에도 가방이든 옷이든

이런 장식들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 책을 보면 주위에 있는

문양들을 보는 시각도 달라질 것이다.

아름다운 장식과 그 역사를

알아볼 수 있는 괜찮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예구 나와 23인의 노예 10 - 만화
오오이시 히로토 지음, 이승원 옮김, 오카다 신이치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7년 5월
평점 :
품절


인간 본연의 욕망, 그 추악함의 바닥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맛있는 산행기
스즈키 미키 지음, 조민경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강산도 식후경의 의미를 제대로 보여주는 만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해 마술의 역사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34
쿠사노 타쿠미 지음, 김진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마술은 영화, 애니, 만화 등에서

아주 단골 메뉴다.

흑마법이나 흑마법이나, 게임에서도

대활약이다. 특히 게임을 하다 보면

그 복잡한 상성 관계에서

혀를 내두르기도 한다. 이 깊고 어려운

마술의 체계를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들어왔고, 어떠한 경로를 거쳐

오늘날까지 발전해왔을까.

마술에 바탕을 둔 비밀결사 비스무리하게

있는 것도 현실이다.

마술 신봉자들은 무엇 때문에

빠지게 된 걸까.

그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마술의 원류부터, 역사에 이름을 새긴

쟁쟁한 마술사들까지, 그리고

서양마술, 동양마술 모두 아울러서

흥미진진하게 설명한다.

여러 재미있는 전설도 잔뜩 있고~

왜 마술이 그 명맥을 오늘날까지

유지하고 있는 것인지,

확실히 알 수 있다.

단순히 미신으로 치부하기에는

그 심오한 철학과 매력이 보통이 아니다.

인류와 마술이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역사를 이루어왔는지

한눈에 흥미롭게~ 파악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은 대단하다
다나카 오사무 지음, 남지연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위의 눈에 띄는 수많은 식물들. 항상 때 되면

그냥 자연스럽게 꽃이 피는구나 싶었는데,

그렇게 당연한 것처럼 단순히 생각할 문제가 아니었다.

비록 작은 생명이지만, 꽃과 열매를 맺기 위해

치열하게 외부 환경과의 싸움을 벌인다.

날씨에 저항하고, 동물들에게 저항하고

주어진 능력 한도에서 최대한으로

버티고 버티고 살아 남아서

겨우 꽃과 열매를 맺는 것이다.

이 책에서 그 고난의 과정들을 보고 나니

작은 꽃 하나라도 무심코 꺾어서도 밟아서도 안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 힘든 역경을 다 견뎌내고

비로소 피어나는 꽃송이.

날씨가 따뜻해졌다고 알아서 피는,

그런 것이 아니었다.

우리로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외적, 내적 고통의 기간을

지혜롭고 과감하고 유연하게 지내오면서

그토록 목표로 하는 꽃과 열매를 맺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길가의 작은 꽃 하나라도

허투로 볼 수가 없다.

이 책에서, 우리 인간이 주어진 환경과 능력 안에서

최대한 스스로의 힘으로 현실을 헤쳐나가는 것처럼

식물들도 마찬가지라고 하는데,

그 말이 참 가슴에 와 닿는다.

식물들도 우리 인간 사회와 같이, 여러 동료와 환경과 상대방과

부대끼면서 살길을 모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작은 식물들이 그런 인고의 세월 견디며 매년

꽃을 피웠다고 생각하니 뭔가 뭉클해지기도 하고 숙연해지기도 하는

기분이다. 이런 작은 생명도 이렇게 열심히 살아가는데,

나는 어떤가,,,하는 그런 기분이 든다.

다 읽으면, 정말 딱 이 생각이 든다.

식물은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