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회사에는 우리 우유를 팔지 않겠습니다 모퉁이책방 (곰곰어린이) 33
알레산드로 가티 지음, 줄리아 사그라몰라 그림, 김현주 옮김 / 책속물고기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만해도 유통기한이 넘긴 시리얼이랑 대장균이 나온 그런 시리얼을 다른 것과 섞어 판 그런 회사들이 뉴스에 막나왔습니다. 그 당시에 저희집에도 그 회사 제품이 있었는지라 경악을 했었는데요, 사람 먹는 것 가지고 장난을 치면 회사는 문을 닫을 정도로 우리 소비자의 역량이 컸으면 했어요. 밀어내기를 하다가 적발된 회사들 뭐 그렇게 치면 돈만 벌면 뭐든 한다는 그런 사고방식이 문제인 거지요.

 주인공인 꼬마 페그는 할아버지랑 같이 삽니다. 할아버지는 우유맛이 이상하다고 회사에 가서 알아보겠다고 도시로 떠난 후 연락이 끊깁니다. 페그는 인형인 아클레토르페씨와 함께 할아버지를 찾으러 도시로 가려해요. 그 인형은 페그가 가장 믿고 좋아하는 친구죠. 버스를 타고 가려했는데 버스회사가 휴가에 들어갔어요. 그래서 할아버지가 만든 투덜이라는 차를 타고 가기로 합니다. 가는 도중에 경찰을 만나 따분한 소리도 들어야했고 급기야 대형광고판 밑으로 숨어야했지요. 몬테 피오리토 회사에서 파는 우유를 광고하는 사진인데 광고속 아이가 낯설지 않다는 생각을 했어요. 모에이모라는 사람을 만나서 큰 도움을 받습니다.

 다음 날 모에이모랑 몬테 피오리토 회사본사를 찾아갑니다. 안내원에게 할아버지의 근황을 물어보니 그런 사람이 여기 온 적이 없다는 소리를 듣습니다. 그럴리가 없다고 했지만 회사에서는 딱 잡아뗐어요. 모에 이모가 기지를 발휘해 소란을 피우는 틈을 타 페그가 모니터를 보니 할아버지 이름만 빨간줄이 있었습니다. 할아버지에게 문슨 일이 생긴 것이 틀림없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그 빌딩에서 일하는 분들에 따르면 몇몇의 실종 사건이 있다는 얘기를 듣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그 빌딩의 49층으로 잠입합니다. 싸이렌이 울려 당황하지만 어떤 소년이 페그를 그해줍니다. 알고보니 그 소년은 광고판에 나오는 소년으로 이름은 카일입니다. 카일은 페그를 도와 환풍구를 뜯고 그 위를 다니면서 할아버지가 계신 곳을 알아냅니다. 할아버지는 살이 많이 빠지고 환자처럼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할아버지를 구출해 세사람은 그 빌딩을 빠져 나갑니다. 알고보니 그 회사는 상한 우유들을 해외에서 싸게 들여와 팔고 있었습니다.

 그 후에 그 소년도 페그가 사는 마을에서 살게 되고 마을 사람들이 협동조을 만들어서 신선한 유제품을 생산을 합니다.

 우리나라도 보면 대기업들이 눈앞의 이익에만 어두워 소비자의 건강을 저해하는 유해식품을 파는 일이 더러 있습니다. 그들의 직업윤리의식이 강해지고 소비자가 현명한 소비를 한다면 이런 일들은 많이 줄어들거라 생각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랙 아웃 높은 학년 동화 30
박효미 지음, 마영신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년전에 우리나라 블랙아웃 직전까지 간 적이 있습니다. 갑자기 정전이 되면서 좀 정전이 길어지길래 '뭔 일인지?' 했었는데 알고보니 전기가 부족해서 그랬었고 그 주문장관은 그 시간에 청와대에 가서 그 사실도 모르고 있었던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그 뒤에 매번 전기가 모자란다며 절전을 하라고 하지만 그 원인이 뭔지는 잘 몰랐는데 원전비리 해서 원전에 필요한 발전설비에 불량제품으로 하자가 발생하고 뇌물 먹이고 또 그 불량제품의 말썽으로 원전이 가동을 멈추는 등. 비리가 끊임없었지만 결국 흐지부지 하고 마는 그런 사태였어요. 그 때 그 대안으로 순환정전이라고 해서 주거밀집지역들이 정전 1순위인걸 보고 놀랐습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공장들이 1순위로 단전될 줄 알았는데 그런 곳은 경제문제라는 이유로 더 후순위였습니다. 힘없고 권력없는 일반서민들은 그냉 피해를 봐라는 것이죠. 이 책에도 그 장면이 나와요.

 어느 여름 날  엄마,아빠가 중국으로 일때문에 가신 후로 동희와 동민이는 둘이 지내게 됐습니다. 동민이는 친구 진수랑 놀면서 새끼고양이를 보고 그 고양이를 불쌍하게 생각합니다. 하필 그날 정전이 됩니다. 그 때만해도 모두가 되수롭지 않게 여깁니다. 하지만 그 정전은 원전이 문제로 멈춰선 정전이고 그 원전이 왜 고장이 났는지 언제 다시 전기가 공급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곧 전기가 들어온다라고만 방송에서 떠듭니다. 가만히 기다려라 이 말보면 뭔가가 떠오를 겁니다. 세월호랑 너무 닮은 것 같아요. 그 사이 세상은 엉망이 되지만 지하철역 주변에 있는 큰 마트는 영업을 계속합니다. 정전을 이유로 물건값을 몇 배나 받는 폭리를 취합니다. 그리고 국가 공권력은 그런 것은 눈감아주고 폭력사태가 벌어져도 모른체합니다. 가끔 미국에서 폭동 일어나는 장면이 오버럽됩니다. 동희랑 동민이 남매는 물건을 사서 오다가 두 번이나 도둑을 맞게 됩니다. 그리고 그러한 와중에 몇몇 어른들이 지극한 이기주의랑 매점매석등등 온갖 문제가 다 드러나죠. 제일 압권은 진수엄마가 아이들의 쌀을 가져가는 장면이랑 뒤에 폭동 비슷하게 마트를 터는 일 등이었습니다. 열심히 보살피던 고양이는 결국은 죽는데 그 모양이 아이들이 당하는 거랑 비슷해요.

 블랙아웃 오는 동시에 세상은 아비규환이다. 그 말이 하고 싶네요. 완전 전쟁이랑 바를봐가 없고 사람들의 이성을 상실하는 그야말로 약육강식의 세계랑 그런 블랙아웃이랑은 아무 상관없는 그런 부류들을 보면서 우리나라의 현실에 딱 맞구나 싶어 한탄만 나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열매약- 우리딸이 그러는데 아이들은 사랑열매를 먹고 자라야 아프지 않고 맘껏 웃으면서 자란다고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에 인문키페창비에서 파란아이책 작가와늬 만남할 때 김려령 작가님 처음 만났었는데 그 때 신작 소설 이야기를 하셔서 구입했습니다. 너를 봤어는 제가 제목이 참 특이하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다 읽은 후에 다시 생각을 해보면 참 제목이 섬뜩해요. 주인공이 소설가인데 소설가들도 사람이기에 창작을 할 때 나름의 고충이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살인하는 장면을 보고 제목을 지은 것 같아요. 소설가들도 참으로 무섭다는.... 혹시 영화로 만들어지면 주인공은 박해일씨가 하시면 잘할 것 같다는 생각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