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어서, 더 살리고 싶었다 - 외과 의사가 된 어느 심장병 환자의 고백
신승건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초반, 저자 신승건 님과 아버지가 나눈 대화가 있다. 어떤 사유지를 방문하고 나서 이러진 대화라고 했다.

"여기는 사유지구나. 너는 그게 무슨 뜻인 것 같으냐?" 묻는 아버지에게 신승건 작가는 대답했다고 했다. "뭐, 주인이 있는 땅이란 뜻이겠죠." 그의 대답을 들은 그의 아버지가 말을 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그가 가진 철학의 거의 전부를 대변하는 듯 했다.

"그래. 누군가 이 땅의 주인이란 의미지. 하지만 그게 누군지는 몰라도 아마 여기에 놓인 돌멩이 대부분을 단 한 번도 만져보지 못한 채 이 산 주인으로서의 신간을 마감하게 될 거야. 그리고 다음 누군가에게 주인 자리를 넘겨주게 되겠지. 그게 그 사람 자식이든 아니면 새롭게 산을 산 사람이든."

소유라는 것은 인간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존재한다. 우리가 소유하고자 하는 것들이 얼마나 부질 없는 것들일까. 그는 전문의 시험을 무사히 치르고 외과전문의가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공무원이 되었다. 해운대 보건소의 건강증진 과장으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그가 외과의사였기 때문에 대단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가 어려운 공부과정을 마쳤기 때문에 존경스럽지도 않는다. 그것들은 그가 가진 철학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그가 갖고 있는 대단한 철학 만큼은 존경스럽고 대단하다. 사람들은 돈을 위해 움직인다. 돈은 삶의 원동력이자 '일'의 추진력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사회를 위험하게 만드는지 우리 스스로는 모르고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돈'을 위해 그 직업을 선택했다면 어떨까? 나의 아이를 가르치는 선생님이 '돈'을 위해서 그 선택을 했다면 어떨까? 내가 좋아하는 예술가 혹은 음악가가 '돈'을 위해서 그것을 작품했다면 어떨까? 모든 건 끔찍한 결과를 이야기하게 된다.

돈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빌게이츠', '일론 머스크', '스티브잡스'의 꿈은 '돈을 모으자'가 아니라, '세상의 패러다임을 바꾸자'였다. '마이클잭슨'의 꿈은 '돈을 벌기 위해 노래와 춤을 추자'가 아니였고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이 돈벌이가 좋더라'라는 생각을 갖고 직업을 선택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거짓들 사이에서 속아 넘어가기 쉽상이다. 사실 '돈'이란 내가 희생한 댓가를 지불받는 것이 아니다. 누군가에게 주었던 기쁨의 댓가를 표현받는 물질일 뿐이다. 살다보면 '돈'을 벌기 위해 의사를 했다는 사람들을 많이 만난다. 아직도 의사는 다른 직종에 비해 고연봉직에 속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좋은 돈벌이'로 치부된다.

그의 책은 시작하면서 그의 이름의 의미를 되짚는다. 책을 펴기 전, 그리고 들어가면서 작가의 소개와 이름을 당연히 보게 되지만, 글에서 시작과 마지막에 그의 이름을 두 번을 더 거듭이야기 하면서 이 책은 그가 얼마나 자신의 이름에 자부심을 갖고 있는지 보여준다. 그의 이름에서 그는 자신이 의사가 되어야 할 명분을 찾았다. '돈'이 아니라, 그가 갖고 있던 컨플렉스와 신체적, 정신적 아픔 그리고 자신이 그 길을 가야만 하는 운명과도 같은 삶과 이름에서 그 명분을 찾았다. 그는 '와파린'이라는 약을 먹고 있다. 이 약은 피를 굳지 않게 하여 혈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약이라고 한다. 그에게는 다른 환자들의 마음을 공감할 수 있는 마음을 갖고 있다. 나는 그런 사람들을 좋아한다. 나는 '박진영'이라는 가수가 지은 노래를 좋아한다. 간혹 TV에서 소속 연예인들이 완벽주의자 성향이 있는 그가 한 구절을 수 백 번 씩 시켜가며 미묘한 감정의 변화를 체크해낸다고 우스께 불평을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나는 그의 작품을 신뢰한다.

내가 들은 음악은 나의 감정을 자극하고 공감되어준다. 내가 철저하게 그 음악에 빠져 있는 동안, 그 목소리를 전달하는 가수의 머릿속에는 '어떻게 하면 한번이라도 더 듣게 해서 '아우디 R8' 할부금을 때우지?' 따위의 생각을 하고 있다면, 얼마나 배신감이 느껴질까.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기업들이 세상을 좌우하는 이런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을 추구한 다는 것은 '악'이 아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작가 님과 같이 명확한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결코 뜻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것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는 매일밤 살고 싶다고 기도를 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고 자신과 비슷한 소망을 하고 있을 타인의 소망을 이뤄 줄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신체적인 결함은 곧 마음으로도 직결된다. 그가 공부를 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와 고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들이켜 마셔야 했던 한 바가지의 막걸리처럼 그는 자신의 병을 철저하게 숨기고 싶어 했다. 그것은 나와같이 태어나면서 건강해왔던이들이 공감 할 수 없는 일종의 그들만의 슬픔일 것이다.

그런 슬픔을 알고 있는 의사를 만나는 일은 신체적 치유뿐만아니라 마음의 치유도 함께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국종 작가 님(글쓴이의 직업을 분류하지 않고 글쓴이를 모두 작가로 표현)의 글을 보고 느낀바가 있다. 아직 그래도 우리나라는 이런 외골수 같은 전문가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말이다. 뉴스를 켜면 떠들어대는 온갖 가십거리를 뒤로하고도 사실 세상은 살만한 이유들로 가득하다. 그 이유들 중 하나는 이런 철학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많은 걸 배운다. 사실 진정한 자신의 길을 찾기 위해선 자신이 누구인지를 잘 알아야 한다. 이 책을 읽기 얼마 전에는 일본에서 변호사가 된 시각장애인의 책을 읽었었다. 자신의 컴플렉스를 확실하게 극복해버리는 그들은 무결점이라는 사람들에 비해 월등한 능력이 있는 것 같다.

나의 컴플렉스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어떤 누군가는 그것이 자신의 약점이며 인생의 걸림돌이 자 넘어서지 못할 벽이라고 생각해버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을 넘어섰을 때, 그 걸림돌은 디딤돌이 되어 다음 단계로 쉽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준다. 내가 누군지 잘 알아야 한다. 그리고 내 컴플렉스가 곧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이타적인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한지 살펴봐야한다. 돈과 명예, 인기 그런 것들은 그 다음이다. 책은 어렵지 않게 읽힌다. 사실 조금 더 길게 들어도 괜찮을 것 같은 그의 이야기가 짧게 끝나는 듯 해서 입맛이 쩝쩝하고 다셔지는 듯한 아쉬움도 남는다. 이 책이 내 서재에 꽂히게 되는 것은 나에게 행운이다. 앞으로 커갈 나의 딸들에게 '이런 사람도 있었단다' 의 흔적을 남겨 줄 수 있다는 것 또한 매우 행운이다.

누군가 자신의 아픔과 컴플렉스로 힘들어하고 있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