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1.

 일단 진짜 실화인지 아닌지 간에 나는 역사를 배경으로 하거나 실제 일어난 충격적인 사건을 재구성한 영화는 '진짜'로 일어났다고, 이거 한 번 봐야겠다는 버프는 보지 않는 편이다. 별점도 그런 선입견을 버리고 준 점수다.


2.

 명량의 이순신, 동주의 윤동주, 덕혜옹주의 옹주...물론 우리는 외모지상주의를 하지 않는다면서 정작 자기 딸이 결혼하고 싶다는 남자가 주관적으로 본 거울 속의 자기 외모보다 중출하지 않으면 너같은놈한테 절대 우리 딸은 못준다는 언행불일치 국가에 사는 건 맞다. 실제로 덕혜옹주 외모는 저러지도 않을 것이며, 이순신도 중년미를 뿜는 외모보다는 우락부락한 외모였을 확률이 더 높다.


3.

 이야기면에서도 그렇다. 일본이 다케시마가 자기네 땅이라고 믿듯이 우리도 독도는 우리땅이라고 믿는다. 여기서 나는 우긴다라는 말을 쓰지 않았다. 각자 믿고싶은 것만 믿고, 역사가들도 되도록 자원이 풍부한 섬 하나를 우리 영토에 넣으려고 애쓴다. 우리도 학창시절에 '독도'라는 교과서로 공부했고, 일본 학생들도 공부한다. 따지고 보면 우리가 일본인들이랑 다를 게 무얼까? 분명히 영화초반에 과장된 이야기가 있을수도 있다고 나와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요즘엔 촬영 기술이 너무 발달되있어서 우리 뇌가 믿고 싶은 것만 믿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4.

 영화 자체는 거의 감성에 호소하는 그런 내용이었다. 내가 봐도 앞내용을 예측할 수 있는 수준의 스토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용의자 X의 헌신>의 원작 영화...라고 생각하면서 볼 영화는 아닌 것 같다...소설의 영화화라고 보기 보다는 영화 그 자체로만 감상했으면 한다.


2.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스토리가 나아간다는 느낌이 별로 들진 않는다. 하기야 마지막 반전을 위해 필요한 소재인지도 모르겠으나, 조금 스릴있는 심리전을 나름 기대했다.


3.

 마지막엔 울컷했다. 그러나 스토리의 마무리를 깔끔하게 짓지 못한 느낌이다. 오히려 소설 쪽의 결말이 더 나아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철학책을 읽는 것보다 내가 이 영화를 보고 내가 어릴 적 사람이 우주안에서 얼마나 보잘 것 없는 존재인지에 대한 개념을 깨우친 영화다.


2.

 세계관은 기본적으로 인간 중심이긴 하나 영화에서 끝임없이 제시하는 주제는 과연 만물의 권력자가 인간인가? 이 우주에 인간만이 살고 있는가? 인간은 우주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가? 


3.

 외계인들이 지구에 드나들게 되면서 그것을 관리하는 기관이 생겨나고, 덕분에 외계인들은 변장을 통해 지구인들 속에 자연스럽게 섞여 살아간다. 그것들은 모르는 인간들은 이 우주에 인간이라는 종족 하나만 있다고 살아간다. 그게 살아가는 데에 도움이 되니까. 집단이 개인보다 더 강하다는 건 말을 하지 않아도 안다.


4.

 구분은 있느나 그것을 이유로 탄압받을 이유는 없다고 본다. 서양인들이 대항해를 통해 원주민들을 발견했을 때는 오히려 환대주었던 그들을 노예로 이용하고, 90%이상 죽였던 참혹한 역사도 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는 같은 인종임에도 진짜인지도 모르는 예수를 죽였다는 신화 하나만으로 유태인들에게 가혹한 생체 실험을 반복했다. 다른 존재를 인정하기 싫어하는 본능 하나만으로 얼마나 많은 이들이 탄압받고, 죽어나갔는가?


5.

 물론 이 영화에선 그런 무거운 주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진 않는다. 오히려 코미디 영화 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솔직히 나도 일일히 영화에 의미 부여하면서 보고 싶진 않다. 책도 그렇고, 영화도 그렇고 리뷰란 자연스럽게 느낀 바를 써내려 가면 된다.


6.

 내가 돈 받고 글 쓰는 것도 아니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마블판 은혼같다. 이런 히어로는 난생 처음 봤다. 비속어를 거리낌없이 말하질 않나, 자체 검열에 걸릴 섹드립을 시전하질 않나, 관객과 세계관의 제 4의벽을 깨질 않나, 정의 말고 자기 멋대로 싸운다. 그가 이런 똘끼짓을 시전하는 것도 무한 치유 능력인 팔다리도 재생되는 '힐링 팩터'능력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힐링팩터'가 능력이라도 그의 진짜 능력은 보는 사람 어이없게 만드는 음담패설이다.  


2.

 이전엔 없었던 새로운 마케팅도 이 영화가 흥행하는데엔 일조한 것 같다. 신년인사 프로모션에서는 2016년 병신년에 걸맞게 데드풀이 한국말로 '해피 병신년'이라고 말한다. 데드풀이 말하니까 진짜 뭔소린지 알고 말한 것 같다. 


3.

 이게 왜 로맨스 영화냐면, 사실 크게 보면 한 남자가 이젠 맺을래야 맺을 수 없는 옛 여인을 되찾고자 하는 사투극이다. 본래 데드풀은 해결사일을 하는(완전 은혼인데?)전직 용병 출신 웨이드 윌슨이었는데, 어느 날 연인인 바네사와 만나면서 서로 사랑에 빠지게 되고, 그렇게 알콩달콩 끼 넘치는 시간을 보내는데, 암 말기가 웬말이냐!(아니 이게 무슨 소리요! 의사양반!)암을 고치기 위해 할 수 없이 임상 실험에 참여한 윌슨, 그런데 사실은 '웨폰X 프로그램'이라는 인간 돌연변이 만드는 실험이었던 것! 결과적으로 '힐링팩터' 능력을 얻어 암을 고칠 수 있었으나(사실 고친것도 아니다. 세포가 끝임없이 암과 싸우고 있으니까)얼굴이 개떡같이 변한 것, 얼굴 때문에 바네사와 만날 수 없는 윌슨은 이렇게 만든 장본인 '프란시스'를 찾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데드풀'이라는 이름으로 프란시스 부하들을 칼로 쑤시고 다닌다. 그러던 와중 프란시스는 바네사를 납치하게 되고, 결국 데드풀은 끝장을 보기 위해 예전부터 데드풀을 영입하기 위해 눈여겨 봤던 엑스맨들과 사랑을 위한 마지막 사투를 본다는...뭐 그런 얘기다. 


4.

 중간에 나오는 일반인 '반두'와 캐미가 가장 재밋었다. 데드풀2도 나온다는데, 또 출현했으면 좋겠다.


5.

 조금 하드코어하고, 섹드립이 난무하고, 관객과 소통도 하는 유익한 로맨스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