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증, 마음의 메신저
이은영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5월
평점 :
요즘 들어 나이든다는 것을 제대로 실감하고 있다. 만성적으로 달고 사는 목과 허리 통증은 그렇다 치더라도 최근엔 어깨와 손가락에도 없던 통증이 생겼다. 여기에 간헐적으로 있는 소화불량과 변비 그리고 우울감까지 정말 온몸이 성한 데가 없다. 그렇다고 견디기 힘든 심한 통증은 아니다 보니 쉽게 병원으로 발걸음이 떨어지지는 않고 답답하고 막막하기만 하다.
<통증, 마음의 메신저>. 제목만으로도 반가웠다. 통증에 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알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삶의 질을 약간이라도 개선할 수 있을 것 같아서다. 책의 구성도 만족스럽다. 먼저, 통증 초기의 신호를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하여 자세하게 들려주고, 대표적인 통증 질환인 허리질환과 대상포진에 대해 알아야 할 지식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바르지 못한 자세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생기는 통증들을 알려주고, 각각 필요한 대처법들을 제시한다. 마취통증과 전문의의 진료 사례와 느낀 점들이 책 곳곳에 실려 있어 실질적인 조언과 노하우를 얻을 수 있는 책이다.
통증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따라서 원인을 바로 찾을 수 있는 급성 통증은 즉시 치료하는 것이 좋다.
만성 통증의 경우는 근골격계에서 오는 통증인지,
아니면 장기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염증이 생겨서 오는 통증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1장. 통증은 우리 몸이 보내는 신호이다 p035
책의 내용 중 가장 눈여겨 본 부분들을 소개해 본다. 알다시피 여성은 폐경기 이후 몸에 큰 변화가 찾아온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항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고 관절과 연골의 노화도 관여하는데 폐경으로 인한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몸 여기저기에 급성 통증이 올 수 있다. 부신피질 호르몬도 통증과 깊은 관련이 있다. 통증이 지속되면 부신피질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할 호르몬들이 나오는데 체내에 독소가 많거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하면 부신호르몬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직접적인 치료법은 부신 기능을 올리는 호르몬 주사제와 영양치료가 있고, 일상생활에서는 충분한 휴식과 7시간 이상의 수면, 비타민과 마그네슘 그리고 콜티솔을 끌어올릴 수 있는 감초성분과 DHEA성분의 영양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나이 들어가면서 가려움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수분과 지방질의 불균형이 원인일 수 있다. 이때는 충분한 수분과 오메가3를 섭취해 주면 되고, 갱년기 호르몬의 변화, 갑상선 기능, 자세가 안 좋아서 순환이 잘 안되어서 가려울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비타민 B12의 보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신경은 운동과 훈련을 통해서 강해지고 되살릴 수 있다.
또한 생활습관과 식습관 및 자세를 바꾸고 운동을 병행한다면
신경이 퇴화되는 것을 막고 더 젊은 신경 나이로 살 수 있다.
3장. 신경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통증 건강법이다. P165
책은 저자가 직접 치료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따뜻한 시선을 담아 현명하게 조언한다. 그래서인지 누구나 알지만 간과하기 쉬운 통증들에 관한 대처법들이 신선하게 다가와 통증을 그냥 방치하지 않고 세심하게 관찰하고 개선해야겠다는 의지를 다지게 한다. 스마트폰을 볼 때 자세나 헤어스타일, 앉아있는 시간, 잠자는 자세 등 작은 변화만으로도 통증은 개선될 수 있고, 반대로 작은 습관으로도 몸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전신의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는 시간이었다. 통증이 하루아침에 찾아온 것이 아니듯, 개선도 단시간에 되지 않기에 이 책과 함께 꾸준히 바른 자세와 식습관을 생활해나간다면 조금은 삶의 질이 올라가지 않을까 희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