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차이를 만드는 사람들 - 효율성을 넘어 창의성으로
라인하르트 K. 슈프렝어 지음, 강민경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효율성을 넘어 창의성으로

궁극의 차이를 만드는 사람들

원제는 RADIKAL DIGITAL : Weil der Mensch den Unterschied macht - 111 Führungsrezepte

Radikal Digital(근본적으로 디지털 : 사람이 차이를 만들기 때문 - 111가지 리더십 레시피)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경영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에 미국 경영서적이 아닌 유럽의 시각이 궁금하였는데, 인더스트리 4.0을 주도한 독일의 경영철학자라는 저자 소개에 이끌려 읽게 되었다. 궁극의 차이를 만드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 인가 싶었는데, 사람이 궁극적인 차이를 만들기 때문에 사람에 포커싱해야 한다는게 메인 메세지였다.

모든 디지털 기술과 기기는 아날로그에서 시작해서 아날로그로 끝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며, 디지털 화의 뿌리는 사람이라고, '디지털화를 이룩하기 위해 경영진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한다.

책을 보면 항상 목차(차례)와 머리말을 꼼꼼히 읽어 보는데, 이 책은 차례가 1. 고객이 중심이 되는 회사, 2. 함께 협력하는 법을 배우기, 3. 창의력을 키우는 기업 문화 등 3장으로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는게 눈에 띄었다. 1장에 38원칙, 2장에 30원칙, 3장에 43원칙 총 111개의 원칙이자 조언으로 되어 있으며, 굳이 처음부터 읽지 않아도 되게 어느 부분이든 펼쳐서 읽을 수 있도록 신경써서 구성해 놓았다고한다.

책을 다 읽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머리말, 들어가는 말을 꼭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으며, 111개 조언 타이틀만 훑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기술이 아니라 사람에 포커싱하자는 저자의 따뜻하면서도 깊이 있는 통찰력이 매우 인상적이었으며, 독일이 미국의 창의적 기업을 모방하거나 쫓아가기 급급하다며 독일의 보수적인 사고뿐만 아니라 사람보다 기술이 먼저라는 잘못된 생각이 오랜 기간동안 지배해 왔는데, 오직 사람만이 해낼 수 있는 근본에 집중하는 행위가 디지털화이다라는 저자의 이야기에 연신 고객을 끄덕였다.

다양한 기업의 다양한 사례들뿐만 아니라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 방법등을 제시 해 주는 저자의 조언을 모든 리더들이 꼭 읽어보았으면 한다. 곁에 두고 틈틈히 다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표님, 이달의 영업이익이 얼마입니까? - 왠지 잘 풀리는 회사에는 이유가 있다
김상기 지음 / 치읓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왠지 잘 풀리는 회사에는 이유가 있다

대표님, 이달의 영업이익이 얼마입니까?

부자 CEO가 3년차에 곡 한번은 넘었던 경영전략이 숨겨진 비밀

지금 돌이켜보면 결국 내가 지나온 기른 '배움과 성장'의 과정이었다.

프롤로그에 나오는 저자의 말에 공감이 갔다. 세무회계, 경영관리관련 직장 생활과 독립하여 컨설팅 등의 업무를 하고 있는 저자의 경험, 인사이트를 읽을 수 있는 살아 있는 책이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지만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일반 직장인들에게도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 사회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관심을 갖고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특히 대기업 등 회계 서비스가 원할하게 되고 있지 않은 기업에게는 실질적이고 도움되는 내용들을 제공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왠지 잘 풀리는 회사에는 이유가 있다. 3년차에 꼭 한번은 넘어야 할 '숫자'경영전략, 부자 CEO가 작성하는 경영 장부의 비밀, 자산의 크가가 아닌 현금의 흐름에 집중하라, 사업하지 말고 장사하라 등 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오랜 직장 생활과 아웃소싱, 컨설팅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인지, 인용과 사례, 어디에 관심을 갖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지 알찬 내용을 어렵지 않게 잘 담고 있음이 느껴졌다. 저자 본인의 지식과 통찰을 이 책을 통해 널리 공유하고 싶다는 것이 와 닿는 책이었다.

충분한 수익(이익)이 창출되고 있는가? 재정(돈)의 흐름은 원활한가라는 질문에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는 메세지를 경영자들은 끊임없이 생각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현금 흐름의 중요성을 항상 인지하고, 숫자를 통한 경영전략 등 기본이면서 중요한 원칙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회계는 어려우니 나와 별개의 영역이라 생각하지 말고 경영, 회계부서가 아니더라도 회사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내용들을 담고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 머스트 리드 : 비즈니스 모델 혁신 하버드 머스트 리드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지음, 최성옥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1월
평점 :
품절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가파르게 성장하는 기업으로 탈바꿈하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출판사에서 나오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 아티클 중에서 주제별로 꼭 읽어야 하는 인사이트 있는 글들을 묶어서 펴낸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원제는 HBR's 10 Must Reads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비즈니스 모델 혁신)

읽어야 하는 10가지 인데, 11가지 비즈니스 모델 혁신 관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왜 11개를 엮었을까? 아무튼

비즈니스 모델이 중요한 이유, 비즈니스 모델을 재창조하라, 위기에 처한 비즈니스 모델 소생시키기, 비즈니스 모델 혁신으로 가는 네 갈래 길, 첨단 테크놀로지와 비즈니스 모델 연결하기, 무료 비즈니스 모델 공략하기, 실리콘밸리를 지배하는 창업 규칙 린 스타트업, 파이프라인 기업을 집어삼키는 플랫폼, 성공적으로 플랫폼을 시작하는 네 가지 전략, 여러 개의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할 때 명심해야 할 것들, 저소득층 소비자를 내 고객으로 만드는 법 등 11 LESSON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 비즈니스 모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으로 보인다.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용어가 인터넷이 붐이 일면서 각광받는 유행어가 되었지만, 결함있는 비즈니스 모델에 많은 자본이 투자가 된 일이 많기는 하지만 개념자체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는 이야기를 시작으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해 준다. '구체적인 고객이 누구인가?', '어떻게 돈을 버는가?', '우리가 고객에게 내세우는 가치와 그것을 설명하는 경제 논리는 무엇인가?'는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와 같이 아티클을 요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아이디어 요약을 HBR에서 그대로 가져와 이 책에서도 책 시작부분에 배치하여 아티클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먼저 확인하고 읽을 수 있게 해 두었다.

내가 몸담고 있는 회사에서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대로 셋업하여 실행하고 있는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전략, 비즈니스 모델 등은 한마다로 쉽게 와닿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인지 곱씹어본다.

짧은 아티클에 다양한 사례와 아이디어, 다양한 인사이트를 접할 수 있는 행복한 시간이었다. 곁에 두고 종종 다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 머스트 리드 : 인사 혁신 전략 하버드 머스트 리드
리드 호프먼 외 지음, 정수진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버드 머스트 리드 인사 혁신 전략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가장 실질적인 경영 전략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출판사에서 나오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 아티클 중에서 주제별로 꼭 읽어야 하는 인사이트 있는 글들을 묶어서 펴낸 하버드 머스트 리드 인사 혁신 전략 (원제는 HBR's 10 Must Reads on Reinventing HR; HR(인사) 혁신)

인사가 만사라고 하는데, 요즈음 HR(인사)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기에 HBR 아티클 중 꼭 읽어야할 10가지 HR혁신을 묶어놓은 이 책이 확 와 닿았다. 너무 재미있게, 그리고 크게 공감하면서 '맞아맞아', '아! 미처 생각 못해봤는데 우와.' 등 혼자말을 내 뱉으며 한달음에 읽어 내려갔다.

21세기형 인재 발굴론, '동맹'이라는 새로운 고용 협약, 아무도 은퇴하지 않는 시대:고령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꿈의 직장을 만드는 6가지 원칙, 넷플릭스는 어떻게 인사 혁신을 이뤘는가, HR 애자일 원칙을 도입하다, 성과 관리 시스템 재설계:딜로이트의 실험, 다양성 프로그램이 실패하는 이유, 피플 애널리틱스를 톻한 인재 활용법, 결국 사라이 먼저다:인사책임자의 새로운 역할 등 10개 Less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엇보다 LESSON5 '넷플릭스는 어떻게 인사 혁신을 이뤘는가'를 매우 흥미롭게 읽었다. 주변에도 읽어 보라고 공유를 많이 했던 넷플릭스 기업 문화와 인사 철학을 설명하는 파워포인트를 만들었던 이전 넷플릭스 최고인사책임자였던 패티 맥코드의 아티클에서 관련된 뒷이야기와 그의 생각 그리고 탁월한 이야기를 읽으며 감탄과 공감을 크게 했다. 우리나라 CEO,CHO,조직 리더들이 꼭 이 아티클을 읽고 조직을 인사정책을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바꿨으면 좋겠다 생각해본다. 업계에서 근무한 30년 동안 HR팀 프로젝트가 직원들의 사기 진작에 성공한 사례를 본적이 없다는 메세지가 인상적이었다. 실제 효과가 없는 인사정책을 고집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많은 회사들이 꼭 변화했으면 좋겠다.

인사이트 가득한 이 책은 인사 담당자 뿐만 아니라 모든 조직 리더들이 꼭 읽어야 하는 필독서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이키드 애자일 - 경영의 눈으로 애자일 바로보기
장재웅.상효이재 지음 / 미래의창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중 한명이 동아비즈니스리뷰와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제작을 담당하고 있어서 인지, 하버드비즈니스리뷰와 경영서적을 많이 인용하고 있는게 눈에 띄었다. 삼성SDS라던지 애자일관련 기업들의 사례는 장재웅 저자의 경험인 것이지 상효, 이재라는 이름의 저자 경험인지 3명의 저자의 경험과 이야기를 어떻게 버무려 책을 내었는지 궁금한 책이다. 뻔한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하고, 토머스 프리더만의 '세상은 평평하다'는 증보판이 나오기도 했고, 출시 당시에는 베스트셀러로 주목을 받기도 했지만 다양한 비판을 받은 (제목이 크게 한몫 한 느낌도 있다. 2005년 당시 혹하고 읽었지만 이내 반감이 들었고, 결과적으로도 세상은 평평하지 않았다.) 이 책을 책 초반에 언급하길래, 여기저기 내용을 짜집기 한 책인가 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내 책에 빠져 한달음에 읽어 내려갈 만큼 흥미로웠고 유익한 사례들과 이론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는 책이어서 선입견을 날려버릴 수 있는 책이었다. 충분히 괜찮은 책이지만 조금 만 더 다듬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살짝 들었다. 오타라고 해야할지 문맥상 틀린 내용도 다소 눈에 띄었다. 하지만 책 전반적으로 다양한 인사이트와 사례를 접할 수 있어 무척이나 즐겁게 책을 읽었다.

SW 개발에서 애자일 이야기를 들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애자일이 개발 방법론 뿐만 아니라 조직문하 경영에도 애자일,애질리티가 유행하기 시작하더니 요새는 가장 핫한 용어가 된 것 같다. PMP(Project Managment Professional 프로젝트관리) 6판 개정에서 애자일을 포함했고, 회사 조직 발표에서도 애자일하게 대응하기 위해 조직 개편 했다는 것이 일반화 되고 있고, 조직 및 리더십 강의 하시는 교수님께서 요즘 키워드가 애질리티라고 하시는 것을 봐도 그렇다. 아무튼 애자일을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 했으나, 이 책을 통해 애자일이 개발방법론의 협의 뿐만 아니라 문화,철학등의 광의적 의미가 있으며, 현재 경영에서 애자일이 왜 중요하며, 실질적으로 우리나라 기업에 어떻게 뿌리 내리고 있는지, 어떤 부정적 인식과 반동이 있는지 자세히 다뤄주고 있어 좋았다.

리더나 구성원 전반의 문화가 X이론에 빠져 있다면 애자일 경영 도입은 시도조차 하지 않는것이 현명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크게 와 닿았다. 말뿐만 인 애자일경영이 아니라 리더부터 애자일을 진행 할 마인드가 필요함을 이 책을 읽는 리더는 깊게 새겨야 할 것이다.

경영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