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의 현 네오픽션 ON시리즈 31
강민영 지음 / 네오픽션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민영 작가의 <작별의 현>은 세상을 파국으로 만든 존재인 인간과 인간과 닮은 형태지만 미지의 생명체인 심해의 발라비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다. 육지에 이어 바다까지 오염시킨 인간에 대해 죄책감을 갖는 인간 유진은 바다와 바닷속 살아가는 이들의 안전을 바란다. 그런 유진을 보며 망해가는 세계 속에서도 무언가를 해나가는 이들을 생각하게 되었다. 인간이 최대의 천적으로 알려진 발라비 사회에서 금지구역으로 향하고 빛을 바라보고 결국 인간과도 마주하게 되는 네하를 보며 질문하는 힘에 대해 생각하게 되기도 했다. 무작정의 경계나 공포, 혐오가 아니라 서로에게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 “우리에게 호흡하기 위해 필요했던” “서로의 눈동자”에 대해 생각해본다. 비록 서로의 음성언어로 소통할 수 없다고 해도 괜찮다. 우리가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하여 그것이 늘 소통되고 공통의 인식이 만들어지던가? 그렇지 않음을 지금도 매일 목도하고 있지 않던가. 다시는 만나지 못할지라도 그들의 작별은 서글프지만은 않다. 실패이지 않다.

<작별의 현>, 강민영 장편소설, 네오픽션

p51 그런 식으로 생활하는 심해 생물이 있다면 그걸 단지 인간의 얼굴을 닮았다는 이유만으로 '인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인간에게 심해는 아직 미지의 세계다. 빛이 닿지 않아 광합성을 할 수 없는 곳에 서사는 이 특이한 생물이 만일 인류의 조상 정도 된다면, 육지에서 숨을 쉬고 있는 우리가 어떤 면에서는 퇴화한 자들이 아닐까.

p93-94 유진이 좋아하는 바다의 고요가 사방에 깔려 있었다. 쓰레기로 뒤덮인 바다의 표면은 검고 잿빛의 혼탁수로 가득하지만, 그 아래는 유진이 평생을 사랑해온 바다의 모습 그대로 남아 있었다. 새삼스러울 것이 없는 풍경임에도 유진은 늘 이 온전함에 감사했다. 바다의 생태는 엉망이 된 지 오래일지언정 그 아래서 부단히 노력하는 생물들이 분명히 있다. 그들 덕분에 바다가 가진 고유의 색이 아직까지는 아슬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p143 심해는 우주와 더불어 인간이 정복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다. 유진은 그 단어를 좋아하지 않았기에 최대한 다른 방식으로 돌려서 심해를 묘사하고는 했다. 알 수 없는 세계, 당도하지 못한 세계, 영영 이해할 수 없는 세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