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작가와 작품에 대한 모종의 의심을 갖고 묵혀두었다가 뒤늦게 읽었다. 팟캐스트와 기사 등에서 잠깐씩 접했던 작가의 인상과 이 작품을 좋아하는 주변의 사람들의 반응에서 나는 이들의 '착함'을 견뎌내기가 쉽지 않았다. 이 폭력적인 세계를 바꿔나가는 과정에서 민감한 윤리적 감수성의 역할이 무시될 수 없으며 그것이 중요한 출발이 되긴 하겠으나, 이 소박한 출발의 중요성만을 나지막히 읊조리는 모습들이 너무나 순진하고 나약하고 무책임해 보이기까지 했다. 


사소한 존재들의 의미에 대한 주목, 개별적 사연들에 대한 예의, 타인에 대한 귀기울임 등을 넘어서 내딛는 발걸음이 나오기를 기대하며 끝까지 읽었지만 작품은 착함으로 일관했다. 황정은의 소설과 신형철의 평론을 읽고서 나는 이들의 윤리학적 세계 인식에 심각한 결함이 있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폭력적이지 않기 위해 폭력에 민감해져서 아무것도 하지 않게 또는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이 세계에 대한 항의로 볼 수 있을까? 폭력적 세계에게 그것이 항의로 들릴까? 콩밭 매는 아낙네의 사연에 목이 매어 칠갑산 노래를 부를 수 없다거나, 가마의 생김새가 다 다른데 모두 가마라고 부르는 것이 '폭력'이라고 하는 부분에서는 동일성 사유에 대한 상투적이고 진부한 비판이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우리의 세계가 폭력적인 이유는 우리가 폭력에 대한 예민함이 없는 사람들이어서인가? 아니면 이 세계가 돌아가는 방식이 폭력적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렇게 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어떤 힘이 있어서인가? 소설가는 그 힘의 정체를 밝혀주어야 하지 않는가? 그리고 이 더러운 세계의 밖에서 윤리적으로 살아가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 한 몸 더럽히더라도 그 힘과 맞붙어 싸워야 하지 않는가? 혹자는 이 작품이 소설의 정치성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작품이라 했다는데, 내가 보기엔 오히려 최근 한국 소설의 비정치성을 잘 보여주는 전형이 아닌가 싶다. 정치학과 사회학을 버리고 윤리학으로 퇴각한 것이 정치성의 첨단이라 여겨지는 이 상황이야말로 문학이 폭력적 세계와 의도치 않게 공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같다는 생각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풍오장원 2021-02-10 17: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에 대한 가장 멋진 리뷰가 아닐까 싶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청루 2021-02-10 22:10   좋아요 0 | URL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