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의 맑스 - 미셸 푸코, 둣치오 뜨롬바도리와의 대담 디알로고스총서 1
미셸 푸코.둣치오 뜨롬바도리 지음, 이승철 옮김 / 갈무리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코와 이탈리아의 맑스주의자인 둣치오 뜨롬바도리와의 대담을 번역한 것이다. 번역의 원본이 된 영문판의 제목인 Remarks on Marx도 그렇고 『푸코의 맑스』라는 한국어 제목도 그렇고 무난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인터뷰어가 맑스주의자의 입장에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변을 듣는 형식이지만 대담 내내 푸코는 맑스주의와 더불어 구조주의에 대한 선긋기를 함께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푸코에 대한 가장 흔한 비판 가운데 하나는 그의 사상 속에는 저항의 가능성이 봉쇄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맑스주의를 비롯하여 강한 비판적 실천 지향을 보여왔던 이론적 조류에서 이러한 오해가 불거진 바 있는데, 이 대담에서 푸코는 그가 생각하는 실천 및 지식인의 역할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분명히 그에게 있어 실천의 개념은 이전까지의 그것과 구별된다. 푸코에게 "이론은 더 이상 실천을 표현하거나, 해석하는 것, 혹은 실천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이론 자체가 하나의 실천이 된다(192). 

그의 저작에서 반복되어 제시되는 테마는 근대 문명의 출구 없는 우울함이다. 이성에 대한 광기의 승리, 죽음을 통해서만 밝혀지는 생명의 진실, 인간의 죽음(『말과 사물』 말미에서 개진되는 이러한 입장은 후기에 가서 번복된다. 본서 119쪽 참고) 등은 해방에 대한 일체의 전망을 봉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푸코는 자신의 "모든 연구는 절대적 낙관주의에 기반하고 있"다면서 사태의 변화가능성을 신뢰한다(165). 다만 그가 생각하기에 세계의 문제는 지식인들이 정확한 처방을 내리고 그것을 따른다면 해결되는 단순한 것이 아니다. "문제는 훨씬 더 복잡하고, 뿌리 깊은 것"이어서(155), 지식인의 역할은 그러한 "예언가와 입법자들이 침묵하도록"(151) 만드는 데에 있다. "규칙을 설립하거나 해결책을 제안하거나 혹은 이런저런 예언을 하는" 것은 오히려 "권력이 특정한 상황에서 작동하는 데 도움을 줄 뿐"이기 때문이다(150). 

유일한 가능성은 "권력관계 속에 위치한 사람들이, 실천과 저항, 반란을 통해 그것들로부터 탈출하고, 그것들을 변환시켜 더 이상 예속되지 않"는 방법뿐이며, 푸코는 그렇게 "탈출하고자 결심한 사람들 자신에 의해 고안되고, 계획될 수 있는 수많은 할 일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했다(164-165). 실제로 그의 비판 개념은 "통치받지 않겠다는 의지"로 요약되기도 한다(「비판이란 무엇인가」 참고,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에 수록).  

이러한 생각에서 푸코는 자신의 작업이 "비록 작은 규모일지라도 하나의 행위자"라고 말한다(46). 그는 새로운 진리를 주장하려 하지 않고, 우리가 진리 및 자기 자신과 맺고 있는 관계가 절대적이지 않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자신의 책을 읽은 독자와 그 책을 쓴 자기 자신 역시 변하게 될 수 있으며, 이것이야말로 그가 글을 쓰는 이유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에서 그의 책은 "진리-책"이나 "논증-책"이 아니라 하나의 "경험-책"이 된다(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